1.
연근해 주요어종의 생태와 어장, 국립수산진흥원, 1998.
2.
강용주, 강형구. 1992. 초여름 독도 근해에서의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기초생산력. 섬연구회 논문집, 1, 36-45.
3.
김훈수, 최병래. 1981. 울릉도와 독도의 해양무척추동물상. 한국자연보호협회조사보고서, 제19호, 193-200.
4.
명정구. 1998. 독도 주변해역의 가을철 어류상. 독도연구총서, 4, 157-174.
5.
박찬선, 황은경, 송철현. 1992. 독도의 해조 군락에 관한 예보. 섬연구회 논문집, 1, 46-59.
6.
손민호, 홍성윤. 1992. 독도의 해양연체동물상. 섬연구회 논문집, 1, 60-73.
7.
이원재, 강원배, 성희경, 임원애, 김무찬, 김동원. 1992. 독도 주변 해역의 해양세균분포: 하계 독도와 울릉도 사이 해역의 해양세균상. 섬연구회 논문집, 1, 25-35.
8.
해양수산부. 2000. 독도생태계 등 기초조사 연구. 한국해양연구소 BSPM 99045-00-1282-6, 서울, 1033pp.
9.
홍재상. 1981. 독도의 해양저서생물상의 잠수관찰.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보고서, 제19호, 229-236.
10.
환경청. 1986. ’86자연생태계 전국조사. 제1차 연도 보고서(생물상분포도), 서울, 444pp.
11.
국립수산진흥원. 1977. 울진근해 왕돌암 어장 개발 조사 보고. 사업보고 제38호. 58pp.
12.
명정구. 2002. 동해 왕돌초 해역의 춘계와 추계 어류상. 수중과학기술, 3(1): 1-6.
13.
명정구. 1997. 제주도 문섬 주변의 어류상. 한어지, 9(1), 5-14.
14.
국립수산과학원.한국수산회 수산정책연구소. 2003. 동해 왕돌초어장의 지속적 이용 및 관리방안 연구. p. 66.
15.
국립수산과학원. 2002. 8. 동해 왕돌초 생태계 세미나. p 34.
16.
경상북도 2중이상자망 사용관련 대책회의, 2002.3.12.
17.
국립수산과학원.한국수산회 수산정책연구소. 2003. 동해 왕돌초어장의 지속적 이용 및 관리방안 연구 : 사회경제적 기초조사 중심으로. pp. 193-194.
18.
KMI. 2002. 11. 해상국립공원의 합리적 관리방안. p. 111-135.
19.
해중경관지구 지정은 해양발전기본법 제28조(해양관광의 진흥), 동법 시행형 제20조(해중경관지구의 지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