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1, 해양의 부영양화와 적조-해양환경 보전활동 강화를 위한 제2차 정책 워크샵, 69-73
2.
국립수산과학원, 2005, 한국연안의 적조발생 상황, 발간등록번호, 14-18
3.
김종구, 정태주, 2003, 군산연안 해역에서의 부영양화 제어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12(9), 947-966
4.
USEPA, 1994, Water quality standard handbook, Office of Water U.S., Washington D.C. 10-80
5.
주진규, 황병기, 이정렬, 2000, 부영양화 모델을 이용한 마산만 수질예측, 한국물환경학회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351-353
6.
강시환, 박광순, 김상익, 유승협, 1999, 마산만 수중 방류수의 계절별 근역희석률 변화, 한국해안 . 해양공학회지, 11(2), 116-126
7.
이대인, 2000, 낙동강 하구해역의 식물플랑크톤 극대역 변동에 관한 수치시뮬레이션, 부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9-50
8.
조홍연, 채장원, 1998, 진해 . 마산만 오염부하량의 특성분석, 한국해안 . 해양공학회지, 10(3), 132-140
9.
Kim, D. M., 2003, Ecological Modeling for Estimation of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 Masan Bay, J.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2(8), 841-846
10.
Nakata, K, 1991, A model of the formation of oxygen depleted waters in Tokyo Bay, KAIKOU, 5(2), 1-26
11.
김종구, 박청길, 김광수, 1994, 하계 마산만의 부영양화 제어를 위한 생태계모델의 적용, 한국환경과학회지 , 3(3), 185-195
12.
마산시, 2002, 마산 . 창원 하수처리시설 고도처리 공정개선 기본 및 실시설계 보고서, 1-30
13.
한국해양연구원, 1996, 한반도 주변 조화상수 자료집
14.
해양수산부, 2001a, 환경관리해역 환경개선연구, 320-340
15.
Sohma, A., Y. Sekiguchi, H. Yamada, T. Sato and K. nakata, 2001, A new coastal marine ecosystem model study coupled with hydrodynamics and tidal flat ecosystem effect, Marine Pollution Bulletin, 43, 187-208
16.
Taguchi, K. and K. Nakata, 1998, Analysis of water quality in lake Hamana using a coupled physical and biochemical model, J. Marine Systems, 16, 107-132
17.
해양수산부, 2002, 환경관리해역 환경관리 특별 연구, 346-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