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http://premium.britannica.co.kr/bol/topic.asp?aticle_id=b25h2258a
2.
류택규, 2005, 강원도 화천 국유림 영림계획안의 분석, 생명자원과학연구, 27(2), 1-8
3.
김의숙, 2006, 강원도의 향토인물 : 화천 ; 화천의 곡운구곡과 김수증 연구, 강원도민속학회, 20, 435-462
4.
이우철, 백원기, 유기억, 1997, 강원도의 약용식물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0(4), 275-291
5.
유기억, 이우철, 류승열, 2000, 자생지별 금강초롱꽃의 외부형태 및 수라분류, 한국자원식물학회지,13(1), 80-88
6.
정연숙, 신광일, 안선영, 홍은정, 황태환, 2004, 강원도 북서부 지역에서 현존식생의 분포 및 군집분류: 춘천, 화천 및 양구 일대, 기초과학연구, 14, 133-145
7.
이우철, 1978, 한반도 관속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3pp
8.
윤충원, 이병천, 김광택, 임종환, 이중효, 천정화, 신준환, 오정수, 2003 , 화악산 일대 산림식생의 유형분류, 한국암학회 학술연구 발표논문집, 200-202
10.
Walter H., 1979, Vegetation of the Eatth and Ecological Systems of the Geo-biosphere, 2nded, Springer-Verlag, New York, 274pp
11.
Braun-Blanquet J., 1964, Pflanze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 der Vegetation 3. Auf, Springer-Verlang, Wien, N. Y., 865pp
12.
Muller-Dombois D., Ellenberg H., 1974,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Wiley, New York, 525pp
13.
이창복, 2003, 원색 대한식불도감, 향문사, 서울,910pp
14.
Dierssen K., 1990, Einfhrung Pflanzensoziologie, Akademie-Verlag, Berlin, 241 pp.
15.
Curtis, McIntosh R. P.,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290
16.
Greig-Smith P., 1983, Quantutative plant ecology, 3rd ed. Blackwell, Oxford, 256pp
17.
Hill M. O., 1979, TWINSPAN-A FROTRAN program for arranging multivariate data in an ordered two-way table by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and attributes, Ithaca, NY: Ecology and Systematics, Cornell University
18.
Hill M. O., Gauch H. G., 1980,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 improved ordination technique, Vegetatio, 42, 47-58
19.
김종원, 이향이, 1997, 매발톱나무의 성분에 관한 연구, 한국생약학회지, 28(4), 257-263
20.
Ter Braak C. J. F., 1986, Canonical Corresponcence analysis : a new eigenvector technique for multivariate direct gradient analysis, Ecology, 67, 1167-1179
21.
Ter Braak C. J. F., 1987, CANOCO-a FORTRAN program for canonical community ordination by (partial) (detrended)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principal components TNO Institute of Applied Computer Science, Statistics Department, Wageningen, The Netherlands
22.
송호경, 장규관, 오동훈, 1998, 설악산국립공원 지역의 신갈나무 군집과 환경의 상관관계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1(4), 462-468
23.
윤충원, 홍성천, 2000, 금강송림의 식생구조에 관한 정량적 분석, 한국생태학회지, 23(3), 281-291
24.
이병천, 윤충원, 신준환, 오정수, 2001, 면산 일대 산림식생의 군락분류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90(4), 548-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