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중권, 2010, 도시공원 조성에 따른 미기후 환경 변화 분석 : 대구광역시를 사례로,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환경과학과.
2.
김택균, 2004, 가로녹화현황 및 개선방안 -진주시 사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상대학교 산업대학원.
3.
다음(Daum) 지도 서비스, 2010, http://local.daum.net.
4.
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 조직위원회, 2010, http://www.daegu2011.org.
5.
손경수, 2009, 공동주택단지 개발에 따른 바람환경변화 분석 : 대구시 신천지역을 대상으로,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환경과학과.
6.
윤용한, 송태갑, 1998, 공원녹지가 주변 열환경에 미치는 영향,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33(1), 91-98.
7.
이상석, 이상철, 1999, 광양시 가로수 식재체계 계획에 관한 연구, 순천대학교 논문집, 18, 211-229.
8.
이은엽, 1995, 도시녹지의 온도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청주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57-60.
9.
조남훈, 1995, 지면의 포장 및 식물 피복상태가 대기온도에 미치는 영향, 순천대학교 논문집, 14, 66-70.
10.
조현길, 안태원, 1999, 도시녹지에 의한 미기후개선의 기능, 한국조경학회지, 27(4), 26.
11.
佐藤理人, 村上暁信, 梅干野晃, 2008, 都市街區を対象とした実現可能な緑化案に基づく顕熱負荷の抑制可能性の検討,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 1121-1122.
12.
鈴木弘孝, 2008, 実在街衢内での樹木配置.壁面緑化の違いによる温熱環境シミュレーション, 日緑工誌, 34(2), 399-408.
13.
Bruse, M., 2007, Simulating human thermal comfort and resulting usage patterns of urban open spaces with a Multi-agent System in: Wittkopf, St. and Tan, B. K.(eds), Proceeding of the 2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assive and Low Energy Architecture PLEA, 699-706.
14.
Envi-met 공식 홈페이지, 2010, http://www.envi-met.com.
15.
Huttner, S., Bruse, M., Dostal, P., 2008, Using ENVI-met to simulate the impacht of global warming on the microclimate in central European cities in: Mayer, H.. and Matzarakis, A.(eds), 5th Japanese-German Meeting on Urban Climatology, October 2008, 307-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