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Volume 16 Issue 9
- /
- Pages.569-579
- /
- 2016
- /
- 1598-4877(pISSN)
- /
- 2508-6723(eISSN)
DOI QR Code
Cinematic Methods of Expression in The Film
영화 <어톤먼트>에 나타난 영상표현방법
- 윤수인 (호서대학교 영상미디어학과)
- Received : 2016.08.01
- Accepted : 2016.09.22
- Published : 2016.09.28
Abstract
Keywords
Atonement;Joe Wright;Mise-en-scene;Camera Movement;Framing
File
References
- 이채원, "자의식적 소설에서 멜로드라마로의 변형," 문학과영상, 제15권, 제3호, pp.609-610, 2014.
- 최병근, "미장센 요소들의 창의적 기능에 대한 연구," 영화연구, 제29권, p.348, 2006.
- 우정민, "한방신경정신의학으로 본 소설의 정화와 치유의 기능:이언 매큐언의 속죄 (Atonement) 에 대한 연구," 영미문화, 제8권, 제2호, p.153, 2008.
- David Murray, "Arabella in Stanley Sadie, (Ed.)," The New Grove Dictionary of Opera, Vol.One, pp.157-160, 1998.
- 김정순, "정신분석학적 윤리로 속죄 읽기:영국성이라는 환상 가로지르기," 현대영미소설, 제19권, 제3호, p.32, 2012.
- 김정희, "영화 <어톤먼트>에 나타난 브라이어니의 문제와 속죄의 의미," 영화와문학치료, pp.35-36,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