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홍익대학교
References
- 금준연, 황지선, "이상은 시 제목의 심미성 특징 연구," 중국학논총, 제43권, pp.93-120, 2014.
- 김경희, 게슈탈트 심리학, 학지사, 2000.
- 김미혜, 전중옥, "소비자의 미술품의 유형별 구매동기와 물질주의, 동일시, 구매의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소비자학연구, 제19권, 제3호, pp.187-213, 2008.
- 김영도, "선택제약 위반을 활용한 문화콘텐츠의 네이밍 창작,"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2호, pp.164-172,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12.164
- 김종수, "독일 광고에 나타난 상품명의 분석과 네이밍 전략," 독어교육, 제32권, pp.89-110, 2005.
- 김진곤, 박영원, "시각적 패러독스에서 이미지와 텍스트의 상관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호, pp.176-184,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1.176
- 나광진, 권민택, "제품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의 심리적 반응이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감성과학, 제11권, 제4호, pp.653-667, 2008.
- 나준희, "소비자는 어떠한 제품 네이밍을 선호하는가?; 인지욕구, 기분, 독특성의 효과," 상품학연구, 제31권, 제6호, pp.39-50, 2013.
- 박광량, "심미성과 경제성 : 예술에 대한 경제학적 분석," 문화경제연구, 제5권, 제1호, pp.17-63, 2002.
- 박인성, 차명호, "시리즈 광고의 시각적 상이성과 동일성 및 관여정도가 수용자 반응에 미치는 효과," 기초조형학연구, 제6권, 제1호, pp.281-289, 2005.
- 사사키 겐이치, 최은희 역, "예술 작품 표지의 기호학: 두 텍스트의 상호관계," 기호학연구, 제3권, pp.335-348, 1997.
- 소두영, 기호학, 인간사랑, 1991.
- 소쉬르페르디낭, 최승연 역, 일반언어학 강의, 민음사, 2006.
- 신내경, 목양숙, "브랜드네이밍 전략에 따른 인지도 연구," 정보디자인학연구, 제10권, pp.99-110, 2007.
- 신영애, 임달호, "글로벌 기업의 브랜드 네이밍 전략이 소비자의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중국진출 음료관련 기업의 전문경영인 관점에서," 전문경영인연구, 제14권, 제1호, pp.209-230, 2011.
- 안성아, 김태준, "영화시장에서 광고효과 검증에 관한 연구," 문화경제연구, 제7권, 제1호, pp.109-125, 2004.
- 안현정, 송민희, "광고의 시각적 은유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포럼, 제18권, pp.93-107, 2006.
- 어지연, 정재학, "네이밍 전략이 소비자 선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소비자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제5권, pp.281-291, 2013.
- 오미형, "한국영화제목의 효과적 의사소통,"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제19권, 제2호, pp.87-110, 2011.
- 오세권, "2000년대 한국화에서 나타나는 도시의 일상성 표현 연구-인물화를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제11권, 제5호, pp.271-284, 2010.
- 이복규, "윤동주의 이른바 '서시'의 제목 문제," 한국문학논총, 제61권, pp.353-385, 2012.
- 이순희, 전성복, "네이밍 스펙트럼을 통해 본 브랜드네임 소비자태도: 국내음료브랜드 소비자 태도 조사," 기초조형학연구, 제8권, 제4호, pp.501-510, 2007.
- 이은미, 이강희, "추상화 추천 기능을 가진 인공지능 도슨트 구현," 기초조형학연구, 제15권, 제4호, pp.415-421, 2014.
- 전석환, 이상임, "이름, 그 '명명하기'와 '명명되기'의 의미-동학, 천도교의 동덕개념을 중심으로," 동학학보, 제29권, pp.391-425, 2013.
- 정장진, "미술 작품의 제목과 작품 해석의 문제를 중심으로," 프랑스문화예술연구, 제25권, pp.1-43, 2008.
- 정진영, 한국어 고유명사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조치현, "경상북도 캐릭터의 경쟁력 강화방안, 문화경제연구," 제10권, 제2호, pp.15-37, 2007.
- 태현선, "문자와 이미지로 제기되는 마그리트의 재현문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연구논집, 제24권, pp.317-334, 1993.
- 홍찬석, 박성민, 임아영, "예술작품에 있어서 관람자의 감정과 가치 평가와의 관계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제13권, 제2호, pp.537-545, 2012.
- M. A. Isen, M. M. Johnson, E. Mertz, and F. G. Robinson, "The influence of Postive Affect on the Unusualness of Word Associ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48, pp.1413-1426, 1985. https://doi.org/10.1037/0022-3514.48.6.1413
- F. E. McQuarrie and G. D. Mick, "Visual rhetoric in advertising: Text interpretive, experimental, and reader-response analyse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26, No.1, pp.37-54, 1999. https://doi.org/10.1086/209549
- J. Meyers-Levy, "The Influence of a Brand Name's Association Set Size and Word Frequency on Brand Memory,"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6, No.2, pp.197-207, 1989. https://doi.org/10.1086/209208
- B. B. Stern, "Medieval Allegory: Root of Advertising Strategy for the Mass Market," Journal of Marketing, Vol.52, No.3, pp.64-94, 1988. https://doi.org/10.2307/1251686
- D. H. Gruenfeld and R. S, Wyer, "Semantics and Pragmatics of Social Influence: How Affirmations and Denials Affect Beliefs in Referent Proposi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2, No.1, pp.38-49, 1992. https://doi.org/10.1037/0022-3514.62.1.38
- R. J. Harris and G. E. Monaco, "Psychology of Pragmatic Inplications: Information Processing between the Line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Vol.107, pp.1-22, 1978. https://doi.org/10.1037/0096-3445.107.1.1
- G. S. Carpenter, R. Glazer, and K. Nakamoto, "Meaningful Brands from Meaningless Differentiation: The Dependence on Irrelevant Attribute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31, No.3, pp.339-350, 1994. https://doi.org/10.2307/3152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