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성신여자대학교
References
- 강순제, 홍나영, 남윤자, 조효숙, 황의숙. (1999). 20대 남자 한복 기성복화를 위한 바지.저고리 패턴개발. 복식, 47(-). 61-71.
- 강순제, 김미자, 김정호, 백영자, 이은주, 조우현, 조효숙, 홍나영. (2015). 한국복식사전. 서울: 민속원.
- 경기도박물관. (2008). 경기도박물관 출토복식 명품선. 경기: 경기도박물관.
- 구혜자. (2002). 한복만들기 구혜자의 침선노트(II). 서울: 한국문화재보호재단.
- 국립중앙박물관. (2011). 초상화의 비밀.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 김문자. (2015). 한국복식사 개론. 경기: 교문사.
- 김미자. (1982). 우리나라 공복에 관한 연구. 복식, 6(-). 173-189.
- 김분칠. (1989). 한복구성학. 서울: 교문사.
- 김영숙. (1998). 한국복식문화사전. 서울: 미술문화.
- 김신애, 장민정. (2015). 조선시대 남자 포에 나타난 무의 형태변화에 관한 연구. 패션과 니트, 13(2). 10-21.
- 김정호, 이미석. (2004). 우리 옷 만들기(제2개정판). 대전: 한남대학교 출판부.
- 김희숙. (1988). 컴퓨터에 의한 한복 여자 두루마기 원형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2(3). 319-331.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12). 조선 마지막 공주 덕온가의 유물. 경기: 단국대학교출판부.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14). 유당 신태관 일가 유물. 경기: 단국대학교 출판부.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15). 분홍 단령의 비밀. 서울: 민속원.
- 랭키닷컴. (2016. 12. 30). 온라인 서점 순위. 자료검색일 2017. 1. 28, 자료출처 http://www.rankey.com/rank/rank_site_cate.php.
- 문공화. (2004). 조선시대 단령의 착용규례와 실례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문화재청 무형문화재과. (2006). 문화재대관 중요민속문화재(2) 복식.자수편. 서울: 문화재청.
- 박선영. (2001). 전통한복구성학. 서울: 수학사.
- 박성실. (1994). 천안출토 풍산홍씨 유물소고. 복식문화연구, 12(-). 119-147.
- 박성실, 조선희, 이해준. (2004). 중요민속자료 실태조사서. 문화재청. 121-167.
- 박영순. (1994). 전통한복구성. 서울: 신양사.
- 박정혜, 이예성, 양보경. (2005). 조선왕실의 행사그림과 옛지도. 서울: 민속원.
- 사이즈코리아. (2010). 제6차 한국인 인체치수 3차원형상측정 조사사업 보고서(20-39세). 충북: 국가기술표준원.
- 서옥경. (2002). 한국의상구성. 서울: 경춘사.
- 신혜성, 홍나영. (2007). 풍속화에 나타난 혼례용 단령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5(6). 23-35.
- 심화진, 장민정, 최은경, 조미나, 윤혜성, 오석란, 이혜영. (2015). 우리 옷 만들기(개정2판). 서울: 성신여자대학교 출판부.
- 안명숙, 김용서. (1998). 한국복식사. 서울: 예학사.
- 엄란이, 이예진. (2014). 20대 후반 여성의 상반신뒷면 형상에 따른 저고리 원형 개발. 한국생활과학회지, 23(6). 1191-1204. https://doi.org/10.5934/kjhe.2014.23.6.1191
- 유송옥. (1998). 한국복식사. 서울: 수학사.
- 유희경, 김문자. (1981). 한국복식문화사. 경기: 교문사.
- 이은주. (2005). 조선시대 백관의 시복과 상복 제도변천. 복식, 55(6). 38-50.
- 이은주, 조효숙, 하명은. (2005). 길짐승흉배와 함께 하는 17세기의 무관 옷 이야기. 서울: 민속원.
- 이주원, 김월계. (2013). 이론을 체계화한 한복구성학. 서울: 경춘사.
- 이춘경. (2005). 전통 단령과 현대단령에 관한 실증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정옥임. (2010). 한복두루마기 원형제도법 개발을 위한 연구.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8(4). 71-81.
- 조윤숙, 홍선옥. (2011). 한복구성. 서울: 경춘사.
- 최은수. (2004). 조선시대 백관의 단령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