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Semi Annual
- /
- 2005-0011(pISSN)
- /
- 2671-7298(eISSN)
Domain
- Information/Communication >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2010.11
-
본 논문은 구글(Google)에서 제공하는 n-gram 데이터가 사람들에게 실제로 어느정도의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는지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이를 위해, 구글의 trigram만을 이용하며, 규모를 줄이기 위해 필터링 과정을 거쳐 trigram 데이터베이스를 형성하였다. 그리고 이를 반영할 수 있는 텍스트 에디터를 구현하여, 사람의 타이핑 속도에 따라 얻을 수 있는 효율성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에서 n-gram 데이터가 업무 향상에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지만, 여전히 큰 규모의 데이터집합에서 검색하는데 소모되는 시간의 한계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
2007년 Amazon.com이 미국에서 e-Book 전용 단말기 'Kindle'을 출시한 이래, Sony와 대형 서점 Barnes&Noble등 메이저 업체는 물론 다수의 중소업체들이 e-Book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최근에는 Apple이 iPad를 출시하고 e-Book 시장에 진출한 가운데, Google 역시 6월 이후 e-Book 시장에 진출할 것을 발표함으로써 e-Book 시장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e-Book의 급속한 보급증가와 함께 이런 방대한 도서를 관리하는 곳에서 자동 도서 분류의 필요성도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문서분류 방법들은 대게 수작업, 텍스트(단어)의 집합으로 간주하여 기계 학습방법을 그대로 적용하거나 약간의 변형을 가한 방법들이 대부분 이었다. 본 제안서에서는 데이터 마이닝 분야에서 사용되는 DRFP-Tree 구조를 이용하여 e-Book 내의 문장들의 패턴을 저장하고 이를 사용하여 e-Book을 분류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컴퓨터의 활용이 다양해 지면서 예전과 다르게 다양한 이유로 많은 사람들이 여행을 하고 나서 여행에 대한 정보 블로그나 웹 상에 저장하고 공개한다. 이렇게 웹 상에 많은 양의 여행 관련 데이터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데이터들이 산발적으로 존재하고 체계적으로 데이터 베이스화 되어 있지 않아서 여전히 정보를 검색하고 여행 일정을 세우는 데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FP-tree 기반의 빈발 패턴 증가 기법을 이용한 여행 계획 수립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되는 기법에서 데이터들은 FP-tree 방식으로 저장되어 검색에 필요한 시간과 노력을 극적으로 줄이고, FP-growth 마이닝 기법을 이용해 효과적인 여행 경로를 선택할 수 있게 도와준다.
-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행동 및 서비스 이력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상황에 적합한 새로운 서비스 규칙을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상황을 고려하기 위한 컨텍스트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행동 및 서비스 패턴을 능동적으로 마이닝할 수 있는 ECA규칙 기반의 시스템 구조를 제안한다.
-
최근 무선 컴퓨팅 환경과 무선 단말기관련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관련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에서는 노드들이 자유롭게 이동하기 때문에 네트워크가 빈번하게 분리되며, 이로 인해 데이터 접근성 저하문제가 발생한다. 기존 연구에서는 데이터 접근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복제본 할당 기법이 연구되었다. 그러나, 지금까지 연구된 복제본 할당기법들은 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 환경의 제한된 자원으로 인한 노드들의 이기적인 행동에 대해 고려하지 않았다. 본 논문은 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 상의 노드들이 자신의 이득을 위해 협력이 아닌 이기적인 행동을 택하게 되는 과정을 게임이론을 통해 설명하고, 수익함수 조절을 통해 노드들의 이기적인 행동을 억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
인터넷 기반으로 다양한 웹서비스와 멀티미디어형 자료를 제공하는 디지털 도서관의 설립과 활용도가 높아지면서, 기존의 도서 서비스 시스템에서 사용하던 기술은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기존 도서시스템에서 활용하고 있는 국제 표준 메타데이터인 MARC 와 MODS 는 급속히 발전하는 인터넷 기반 디지털 도서관의 서비스를 만족스럽게 충족시키기에는 개선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도서시스템의 메타데이터 스키마를 설계하고, 검색 시간 향상을 위한 방법을 제안하고, 실용성 검증을 위한 실험결과를 보였다.
-
호적은 사회문화적으로 많은 가치를 지닌 데이터이나 체계적으로 전산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에 많은 제약이 존재했다. 또한 호적은 직접적인 세금 징수 및 군역 관리를 위한 기록이기 때문에 인구연구에 사용하기에 부정확하고 결여되거나 불일치한 데이터가 다수 존재한다. 따라서 인구학 연구에 중요한 동일인 정보에 대해 직접적인 비교로 동일인을 찾는 것은 불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웹 서버와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해 가중치방식을 통한 동일인추적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호적의 연구자원으로서의 가치를 증가시킨다. 조선시대 단성현의 93,803 개의 데이터를 대상으로 최적 가중치 한계와 소모시간의 단축을 위한 방법에 대해 서술한다.
-
원자력시설의 해체 계획을 수립하는데 해체 대상 시설의 성격을 조사하고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해체 대상 원자력시설의 특성자료 조사 결과는 해체 페기물의 양을 예측하고, 해체 사업의 비용 산정에 크게 활용이 된다. 이를 목적으로 해체사업 대상 시설의 특성 자료를 관리하는 컴퓨터 시스템인 해체시설 특성 관리시스템, DEFACS (
${\underline{DE}}commissioning$ ${\underline{FA}}cility$ ${\underline{C}}haracterization$ DB${\underline{S}}ystem$ )를 개발하였다. -
2001년 9.11 사태 이후, 미국과 우방국들은 본격적으로 테러와의 전쟁을 시작하게 되었다. 국제화 시대의 흐름에 따라 국내의 외국인의 영향력이 커져가고 있고, 2011년 11월 11일 서울에서 개최되는 G20 세계정상회의를 앞둔 시점에서 테러에 대한 사전 대응이 중요해졌다. 이를 위해 민 관 군이 협력하여 다양한 정책과 활동을 벌이고 있는데, 데이터 마이닝의 기법 중 신경망 기법을 이용하여 효율적이고 기계적으로 잠재적 테러리스트를 식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신경망 기법은 인간의 두뇌를 모델로 등장하였고, 입력 자료를 통해 학습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 신경망을 여러 기관에서 발표한 테러리스트들의 정보를 입력 자료로 변환하여 학습시킨 뒤, 검증을 거쳐 실전에 적용하는 것이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신경망 기법 적용의 목표이다.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및 방법론이 보완된다면 실전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인터넷 시장이 빠르게 성장함에 따라 사용자들의 참여도가 매우 높아졌다. 인터넷 사용자들은 인터넷 쇼핑의 상품에 관한 의견을 웹 상에 표현하기 시작했고, 실제 소비자이 판단하는 데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하지만 현재에 들어 그 양이 엄청나게 방대해 졌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원하는 정보만을 찾아내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들이 작성한 인터넷 쇼핑에서 상품평에 관한 리뷰를 모아 방대한 양에서 오피니언 마이닝 기법을 이용해 유용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도출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요약하여 제공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서 사용자는 상품을 구매하기 전에 좀 더 객관적이고 효율적으로 판단을 내릴 수 있을 것이다.
-
컴퓨터와 통신의 급속한 성장은 방대한 양의 정보를 서로 공유하는 정보화 시대를 출현 시켰고 이러한 다양하고 많은 정보들로부터 유용한 정보를 얻어 내는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그리고 기업들은 효율적인 경영을 위해 전통적인 자원들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고 관리해야할 뿐만 아니라 고객만족을 위해 제품,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켜야 하는 문제에 봉착했다. 효과적인 고객관리 전략을 수행하는 능력이 중요한 시점에서 데이터베이스 마케팅의 진보된 형태로서 데이터 마이닝 기술의 활용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마케팅에 이용되는 구매정보를 효율적으로 조회하는데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을 통해서 판매자는 마케팅에 적용하여 서비스 향상을 꾀할 수 있을 것이다.
-
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용하다 보면 하드웨어 또는 DBMS 업그레이드를 위해 데이터베이스를 이동할 필요가 있게 된다. 그 상황은 동일 OS 동일 DBMS 로 이동, 스토리지 환경의 변화에 의한 이동, 상이한 OS 동일한 DBMS 로 이동, 상이한 OS 상이한 DBMS 로 이동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 OS 동일 DBMS 로 이동 상황 즉 Windows Server, SQL Server 환경에서 하드웨어 업그레이드 및 SQL Server 및 OS 버전 업그레이드를 하는 방법에 국한하여 실제 시뮬레이션을 통해 장단점 및 서비스 중지 시간을 확인해보려 한다.
-
객체지향 설계에 사용하는 모델링 언어인 UML을 이용하여 유스 케이스 다이어그램을 도출합니다. 도출된 유스 케이스 다이어그램을 바탕으로 생성되는 클래스 다이어그램을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로 변환 방법을 소개 합니다.
-
최근 DSMS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그에 따른 고가용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환경으로 확장되고 있다. DSMS와 같은 실시간 데이터베이스 응용 시스템 분야나 임무 결정적인 응용 시스템을 다루는 산업 분야에서 가용성을 유지 하지 못하는 것은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 할 수 있다. 이런 DSMS환경에서 고가용성을 유지하는 기법으로는 Active/Active 알고리즘과 Active/Standby기법이 있다. 하지만 이 기법들의 고가용성을 유지하기 위해 주 서버와 동일한 규모의 보조 서버를 유지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질의를 두 가지 타입으로 나누어 누적 데이터가 필요한 질의들만 실시간 동기화를 통해 보조 서버에 유지하고 나머지 질의들에 대해서는 메타 데이터들만 보조 서버에 유지해 보조 서버의 규모를 줄일 수 있었다.
-
최근 비즈니스 프로세스가 주목을 받으며 기업에서는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개선을 중요하게 생각하기 시작했다. 기업은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개선하기 위해 BPR(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등의 혁신 프로그램을 도입했지만 그 효과나 성공률이 상당히 미흡했다. 성공적인 프로세스의 혁신을 위해서는 프로세스 모델의 개편과 함께 자원 및 자원의 관리 방식의 개편도 필수적이다. 그렇지만 지금까지의 프로세스 혁신은 프로세스 모델 중심으로만 이루어졌으며 자원 및 자원의 관리 방식의 개편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실제 발생한 비즈니스 프로세스 인스턴스를 기록한 프로세스 로그를 기반으로 효율적인 자원할당 및 통제방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회 연결망을 응용하여 각 자원간의 연결을 고려하여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업무에 적합한 자원을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
최근 인터넷이 보편화되면서 검색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사용자는 정확한 키워드의 입력 없이도 자신이 원하는 검색을 하고 싶어 한다. 그러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네이트의 '시맨틱', MSN의 'Bing' 등이 새로 제작되어 지고 있으며 네이버, google 등 대형 포털 사이트들도 검색분야에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본 논문은 사용자중심의 검색을 구현하기 위해서 패턴을 분석하여 연관규칙을 사용하여 검색시간을 단축함을 물론 검색결과의 정확성을 높였다. 구현을 위해서 네이버 사이트의 블로그로 검색의 범위를 한정 하여 데이터를 분석, 관리 및 시각화 하는 사이트를 개발하였다. 또한 검색을 위한 크롤러, 루씬 등을 실질적으로 직접 개발 활용 하였다. 시제품의 시험결과 정답사이트 도출 정확도는 google에 비해 20%, 재현율은 7.2%의 향상성을 보였다.
-
문맥 광고의 의미론적 매칭에서 웹 페이지와 광고의 매칭 정확도는 웹 페이지와 광고의 분류 성능에 종속적이다. 그러나 광고의 짧은 텍스트는 광고 분류 성능을 하락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광고 분류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광고 랜딩 페이지를 활용하여 광고 텍스트를 확장시키는 방법을 제안하고, 실험을 통하여 그 효과를 입증한다. 추가로, 구문론적 매칭과 의미론적 매칭 방법을 적용하여 개발된 문맥 광고 엔진의 프로토타입을 제시한다.
-
스트리밍 XML 데이터는 고정된 저장소에 유지되지 않고 사용자 측으로 계속적으로 데이터가 전송된다는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스트리밍 XML에 대한 질의 처리를 위해서는 효과적인 메모리 관리와 빠른 질의 처리 성능이 요구된다. 최근 최소한의 메모리 사용으로 효과적으로 트윅 질의를 처리하기 위한 기법인 StreamTX가 제안되었으나 반복적인 질의 처리 알고리즘 호출로 인해 불필요한 질의 처리시간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불필요한 질의 처리 시간을 줄이기 위해 실시간으로 질의와 무관한 노드를 제거하여 보다 효과적인 질의 처리를 수행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기존 연구와 유사한 메모리 사용량을 가지면서도 빠른 질의 처리 속도를 가짐을 성능평가를 통해 검증한다.
-
모바일 네트워크에서는 모바일 노드의 이동성으로 인하여 네트워크가 빈번하게 분리되며, 이로 인해 데이터 접근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기존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복제 본 할당 기법이 연구되었다. 그러나 지금까지 연구된 복제본 할당기법들은 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 환경의 제한된 자원으로 인한 노드들의 이기적인 행동에 대해 고려하지 않았다. 본 논문은 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 상의 이기적인 노드들을 검출하기 위해 이진결정 기법과 레벨화 기법을 제안하고, 이를 통해, 이기적인 노드들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실험 결과는 제안하는 기법이 기존 기법에 비해 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 내에 이기적인 노드들이 있는 환경에서 데이터 접근성이 향상됨을 보여준다.
-
Google을 시작으로 포털 사이트들이 Maps API를 공개하면서 맵 응용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맵 응용의 개발은 대부분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맵 응용의 생산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에도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우리가 설계하고 구현한 MapAppGen은 ModuleGen, IndexGen, MapGen으로 구성되며 맵 응용을 자동으로 생성한다. MapAppGen은 Google Maps API를 사용하여 CMS(Content Management System) 중의 하나인 Drupal에 적용 가능한 모듈들을 생성해 맵 응용에 대한 생산성을 향상시켜 준다. MapAppGen처럼 맵 응용을 위해 Drupal 모듈을 생성하는 생성기는 현재 존재하지 않으며 Gmap이나 NodeMap과 같이 고정된 맵 인터페이스 모듈들은 존재한다. 그러나 Gmap이나 NodeMap 모듈은 Drupal의 기본 컨텐츠 타입 모듈에 의존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원하는 지형/지물 컨텐츠 타입을 생성해 활용할 수 없고 지형/지물들을 유형별로 맵 상에 표시하고 연관된 컨텐츠들을 검색할 수도 없다.
-
최근 몇 년간 정보 검색 분야에서 문맥 광고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관련된 연구들은 대부분 웹페이지 내용만을 활용하여 유사한 광고를 찾고자 하였다. 그럼으로써 동일한 웹페이지를 접속하는 다양한 의도를 가진 사용자들이 동일한 광고를 보게 된다는 한계가 존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웹페이지의 내용뿐만 아니라 각각의 사용자들의 웹페이지 방문 의도를 웹 페이지 방문 히스토리로부터 추출하여 이를 활용한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실험을 통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된 기법이 사용자 방문 의도를 반영함으로써 기존 기법에 비해 성능이 향상되었음을 보여준다.
-
본 논문에서는 항공 라이다 데이터로부터 지형의 유형을 분류하는 과정에서 지형적 특성에 따라 분류에 사용하는 판정 윈도우의 크기를 가변적으로 조정하여 적용시키는 가변형 판정 윈도우를 이용한 지형 분류 기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실험을 통하여 가변형 판정 윈도우를 이용한 지형 분류 기법의 시간효율과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제안된 가변형 판정 윈도우를 이용한 지형 분류 기법은 지형 분류에 사용되는 판정 윈도우의 개수를 줄여 지형 분류의 속도를 향상시켰기 때문에 빠른 분류 속도가 필요한 재해 피해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시스템에 적용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본 논문에서는 시공간 데이터 스트림에서 관심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고 복잡한 공간 패턴을 감지할 수 있는 시공간 복합 이벤트 처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 시스템은 이동 객체 및 정적 객체에서 발생하는 시공간 데이터 스트림에서 스트림 발생시각, 위치 정보와 같은 시공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와의 조인을 통해 얻은 관련 속성 정보를 활용하여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시공간 정보가 포함된 복잡한 패턴을 처리하기 위해 공간 패턴 연산자를 사용하여 시공간 복합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다.
-
본 논문에서는 무선 방송 환경에서 XML에 대한 다양한 사용자 질의에 대하여 다중 채널을 통해 효과적으로 질의의 결과를 전송하기 위한 색인 기법을 고려한다. 이를 위해 서버측에서는 질의 결과뿐만 아니라 원본 XML상에서 질의 결과가 위치하는 계층 정보까지 파악이 가능한 비트 좌표 기반 색인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다중 채널의 효과뿐만 아니라 색인으로 인해 빠른 응답시간을 가짐을 보인다.
-
아이폰을 선두로 하여 세계적으로 스마트폰이 각광을 받기 시작했다. 더불어 스마트폰의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사용자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을 이용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고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도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과 디지털 아카이브즈 시스템을 접목하여 자료 수집 전문 연구원(아키비스트)에게 보다 쉬운 자료 수집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일반 사용자들에게는 아카이브 자료를 쉽게 이용 할 수 있도록 편이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개발자에게 편리한 개발환경과 부대비용이 들지 않는 Google의 안드로이드(Android) 플랫폼을 선택하여 스마트폰 상의 디지털 아카이브즈 시스템을 구현 하였다.
-
최근 차세대 시퀀싱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서열 정보의 해독이 비교적 쉬워지면서 개인별 맞춤의학의 실현에 대한 기대와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각 개인의 서열 정보 사이에는 SNP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Indel, CNV (copy number variation) 등의 다양한 유전적 구조 변이가 존재하며, 이러한 서열 정보의 부분적 차이는 각 개인의 유전적 특성 및 질병 감수성 등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차세대 시퀀싱 결과로 산출되는 수많은 짧은 DNA 서열 조각인 리드 데이터를 이용한 SNP 추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에서는 레퍼런스 시퀀스의 각 위치에 대한 리드 시퀀스의 매핑 정보를 기반으로 SNP 후보 영역을 추출하며, 품질 정보 등을 활용하여 에러 발생률을 최소화한다. 또한 대규모 시퀀싱 데이터와 SNP 구조 변이 데이터의 효율적인 저장/검색을 지원하는 시각적 분석 도구를 구현하여 제안된 방식의 유용성을 검증한다.
-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존재하는 다양한 센서 간 상호운용성 유지를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서로 이질적인 센서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센서 간 상호운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문제들이 해결되어야 하며, 특히 센서 데이터에 대한 의미를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즉 센서가 제공하는 센서 데이터뿐 아니라 센서의 종류와 측정단위, 관리기관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보다 다양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요구된다. 지금까지 센서 데이터의 의미 처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센서 데이터의 의미관리에 대한 높은 구축비용 문제와 동적인 의미 관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을 지닌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앞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다 향상된 의미 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ISO/IEC 11179 개념을 적용하여 의미 관리 및 처리 연산을 수행하며, 동적인 의미 관리와 낮은 의미 구축비용을 제공한다는 장점을 지닌다.
-
소셜 네트워크는 인적 네트워크을 통하여 정보를 공유하거나 커뮤니티를 구성하는 시스템이다. 소셜 네트워크가 많이 활성화 되고 있지만 구성원간의 연관성 파악, 직접적 관계가 없던 구성원간의 연결 등을 통하여 관계를 확대해 나가는 것을 돕는 시스템은 아직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의 취업 네트워크를 2차원 화면에 시각화를 통하여 취업 멘토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취업 멘토 네트워크 시스템은 취업 졸업생 멘토의 출신학교, 취업회사, 동아리, 학과, 출신고등학교에 대한 정보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재학생 멘티가 이를 활용하기 위한 관심있는 멘토 필터링, 카테고리 검색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자바 애플릿을 이용해 웹상에서 가능함으로써 시공간적인 검색제약을 없앴다. 완성된 시스템은 졸업생 멘토와 재학생 멘티의 관계 형성을 효과적으로 지원한다.
-
최근 들어 다양한 기관 또는 기업에서 인터넷, 휴대폰 등을 통한 설문조사를 시행하고 이를 기반으로 필요한 사항에 대한 분석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전통적인 조사 방법에 비해 다른 특성을 지니고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불편함, 전통적 방식에 비해 비교적 높은 무응답률, 설문결과 정보의 효율적 가공을 통한 직관성 제공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인터넷 기반의 설문 조사 시스템들이 가지고 있는 취약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가 공감할 수 있는 UI를 통해 간결하면서도 편리한 솔루션을 설계, 개발하였다.
-
환경 모니터링, 교통 관리, 재난 관리 등에 사용되는 센서의 수는 사회 전반적으로 급격히 늘고 있다. 이렇게 실시간으로 발생되는 센서 데이터를 다루기 위해 기존에는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해 이들을 다루었지만, 이들은 비표준화로 인해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바로잡기 위해 OGC에서는 센서 데이터와 네트워크를 다루기 위한 표준화된 SWE 시스템을 지원한다. 본 논문에서는 CEP의 일종인 GSS가 표준화된 미들웨어인 SWE를 사용했을 때 갖는 여러 이점들을 다루며 SWE 도입 과정 및 도입 효과를 기술한다.
-
전자거래와 관련한 많은 표준 문서 및 다양한 표준 프레임워크가 존재한다. 그러나 기업이나 개발 업체에서 전자거래 시스템 도입 또는 구축할 때, 이러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참조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전자거래를 위해 요구되는 다양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전자거래 표준 참조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정보모델인 ISO/IEC 11179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를 참조하여 전자거래 표준 참조 시스템을 위한 레지스트리 정보 모델을 정의하며, 정의한 정보 모델을 기반으로 표준 참조 시스템을 구현한다. 제안 시스템은 다양한 정보에 대한 체계적이고 표준화 된 관리 및 전자거래 시스템 개발자에게 보다 나은 활용의 용이성을 제공한다.
-
미래 전쟁은 과거의 재래식 전쟁과는 판이하게 변화된 환경 속에서 새로운 전투 형태와 방법으로 전개될 것이다. 특히, 첨단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전장에서 싸우는 방법을 변화시키는 주요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전장에서 적을 먼저 발견하고 타격하기 위해서는 실시간 표적 획득 및 첩보 수집과 정확한 상황판단 및 적시적인 지휘가 요구되기 때문에 정보 수집 자산이 부족한 사 여단급 부대를 대상으로 감시 정찰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평시 체계와 전시 체계의 운용 개념이 부족한 상태에서 실 세계에 적용하는 것은 유지비용의 증가, 감지 오류, 야전 환경과의 부적합 등을 야기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 대안으로 이 논문에서는 지상군 작전에서 적의 조기 발견과 전장 가시화에 필요한 전장감시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을 위한 상황 인식 프레임 워크를 제안하였다.
-
저품질의 데이터는 데이터양이 증가함에 따라 조직의 시스템 관리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을 야기 시킨다. 이에 KISTI에서는 고품질의 데이터 확보를 위해 데이터 품질관리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에서 다루고 있는 국가R&D정보에 대한 데이터표준 관리시스템에 대하여 알아본다. 구축된 시스템 활용을 통하여 일관성 있는 데이터 표준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
최근, 소셜 미디어 공유 시스템의 사용자-참여형 아키텍쳐를 구성하는 핵심요소인 폭소노미에 기반하여 이미지를 공유하고 검색하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들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폭소노미에 기반한 현재의 이미지 공유 시스템에서는 태그의 문법적, 의미적 모호성과 이미지에 대한 태그들의 중요성 또는 상관관계를 고려하지 않아 태그 기반 이미지 검색시 정확성 및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태그간 의미관계를 이용한 이미지 태그 랭킹 기법을 활용하여 태그들을 이미지와의 관련정도에 따라 정렬하여 할당한 후, 이미지의 태그 순위를 고려하여 이미지와 질의어와의 관련성에 따라 효율적으로 이미지를 검색하기 위한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한 기법이 기존의 이미지 공유 시스템의 검색 결과보다 정확성을 높일 수 있음을 실험 예제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
WBAN(Wireless Body Area Network)기반의 의료 응용으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특히 산소포화도 생체 센서들로부터 연속적으로 전송되는 스트림 데이터에 대해 다양한 조건을 포함하는 질의들이 실행 되는데 이러한 실시간 모니터링 질의들을 효율적으로 식별하기 위한 질의 인덱스를 설계하였다. 매번 모든 질의들을 실행하기에는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에 Interval Skip List 를 이용하여 빠르고 효율적으로 식별하도록 설계하였다. 이로써 위급한 상황의 환자의 건강에 문제가 생겼을 때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방대한 양의 스트림 데이터와 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Interval Skip List 를 스마트 메디컬 스페이스(m-MediNet)에 적용한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
본 논문에서는 기존 링크 기반 유사도 계산 방안에 사용되는 두 가지 정규화 방안들을 설명하고, 두 정규화 방안 중에서 논문 데이터베이스에 적합한 정규화 방안을 선정한다. 또한, 실제 논문 데이터베이스에 두 가지 정규화 방안을 적용한 기존 링크 기반 유사도 계산 방안의 정확도를 측정함으로써 선정된 정규화 방안이 다른 정규화 방안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규명한다.
-
FTA(Free Trade Agreement)는 체결국들의 자유로운 물자 이동을 기반으로 무역의 활성화와 외국자본의 직접투자를 통해 경제성장을 가져오는 중요한 협정이다. 그러나 FTA 협정의 체결조건에 따라 품목별 세율 등의 정보가 달라진다. 국제통일상품분류체계(Harmonized Commodity Description and Coding System)코드도 마찬가지로 국제 공동코드 영역인 6 자리까지 동일 하나, 7 ~ 10 자리까지는 각 국가에 의해 운영관리 되어, 국가별로 품목분류 방식이 달라진다. 또한, 품목분류코드가 갱신 될 때마다 연관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와 FTA 체결국간 세부품목분류 방식이 달라 품목분류방식의 의미에 따라 담당자가 한 건씩 비교하고 맵핑하여,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모된다. 따라서, 의미를 갖는 품목분류코드를 맵핑하면서 발생하는 문제들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 논문에서는 품목분류코드 기반의 온톨로지 모델을 제안한다.
-
우리나라 주소는 우편번호를 기준으로 한 주소체계, 법정동을 기준으로 한 주소체계, 행정동을 기준으로 한 주소체계, KT 에서 관리하는 KT 주소체계 등 주소관리가 통합되어 있지 않고, 각 기관, 기업별로 주소 관리를 별도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관과 기업들간의 상이한 주소체계 관리문제로 인해 서로간의 주소체계의 의미가 일치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여 다양한 문제가 유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주소 명칭에 대한 보다 자동화된 맵핑이 가능하도록 KT 주소, 우편번호주소, 행정동/법정동코드를 대상으로 온톨로지를 사용한 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모델은 주소정보간의 의미관계성을 유지하여 이기종 주소체계의 의미 불일치를 해결할 수 있으며, 보다 자동화된 데이터관리와 장기적인 비용절감이 가능하다.
-
무선 통신의 발달과 센서 장비의 소형화로 인하여 다양한 인체 센서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들 인체 센서로부터 생성되는 데이터를 누적하여 분석 및 예측을 해야 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누적된 인체 센서 데이터에 대한 분류화 기법을 제안하여 구현하고 성능을 검증하였다. 분류화 기법은 인체 센서 데이터에 잘 적용될 수 있는 지지벡터 기계를 활용하여 구현하였다. 인체 센서 데이터의 대표패턴 정의와 실험을 위한 잡음 생성을 통하여 분류화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실험을 설계하였고 다양한 설정 변수에서도 기법을 실험하여 빠르고 정확한 기법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
정보의 양이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방대한 정보 속에서 사용자의 검색 의도에 맞는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란 매우 어려워졌다. 따라서 웹 사용자들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한 연구들이 활발히 수행되고 있으며, 많은 방법론들이 제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회귀분석이라는 통계학적 기법을 통해 검색 토픽에 대한 사용자의 인적속성들이 미치는 영향력을 산출하였다. 이는 인간이 가진 내재적 특성이 토픽별 검색 성향과 어떠한 연관관계가 있는지를 규명한 것이다. 또한 특정 토픽에 대해 영향력이 높은 인적속성의 일치 여부가 해당 토픽에 대한 사용자 검색성향의 유사정도와 매우 큰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증명하였다. 이와 같은 사실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특정 토픽에 대해 검색 시 해당 토픽에 대해 영향력이 높은 인적속성을 확인하고, 이 속성이 일치하는 사람들의 검색 정보를 제공한다면, 사용자는 보다 만족된 검색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This paper describes business on cloud computing service and the development of solution in the business Architecture in outsourced services environment for communication. Cloud computing is so popular and make people life easier. Business process outsourcing has become attractive to both large and small businesses with the advent of service oriented and specifically web service technology.
-
분류 기법은 데이터 마이닝 기술 중 가장 잘 알려진 방법으로서, Decision tree, SVM(Support Vector Machine), ANN(Artificial Neural Network) 등 기법을 포함한다. 분류 기법은 이미 알려진 상호 배반적인 몇 개 그룹에 속하는 다변량 관측치로부터 각각의 그룹이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분류 모델을 만들고, 소속 그룹이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관측치가 어떤 그룹에 분류될 것인가를 결정하는 분석 방법이다. 분류기법을 수행할 때에 기본적으로 특징 공간이 잘 표현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실제 응용에서는 단일 특징으로 구성된 특징공간이 분명하지 않기 때문에 분류를 잘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으로써 많은 정보를 포함하면서 빈발패턴에 대한 정보의 순실이 없는 닫힌 빈발패턴 기반 분류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chi}^2$ (Chi-square)과 정보이득(Information Gain) 속성 선택 척도를 사용하여 의미있는 특징 선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이 연구에서 제시한 척도를 사용하여 특징 선택을 수행한 경우, C4.5, SVM 과 같은 분류기법보다 더 향상된 분류 성능을 보였다. -
본 연구에서는 내용 기반의 텍스타일 이미지 검색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텍스타일 이미지에 대한 색상, 질감, 모양 특성 추출 조합을 각각 혹은 가중치를 이용한 방법으로 검색한다. 검색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이미지의 색상, 질감 특성 값에 대한 검색과 결과 피드백을 보면서 진행된다. 또 검색 대상 이미지들을 유사도에 따라 다차원 비례법에 의하여 2차원 화면에 클러스터링하여 전체 이미지의 군집화 특성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하였다.
-
시맨틱 웹 기술을 활용한 OpenAPI 의미 기반 검색 시스템에서 설명정보페이지에 의미정보를 가진 메타데이터를 첨가하기 위해 RDFa 기술을 이용한 태깅을 하였다. 하지만 태깅 시 사람이 수작업을 통해 입력하기 때문에 시간소모가 크고 오류 위험이 높다는 제약사항이 있다. 이러한 제약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XML/XHTML 편집도구를 이용한 향상된 RDFa 태깅을 제안한다. 이는 속도향상과 오류 감소의 방법으로 XML/XHTML 편집도구에서 제공하는 자동완성 기능을 제안하고 있다. 그리고 자동완성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DTD를 수정하여 적용하였고 수정된 방법을 테스트한 결과 기존의 수동 태깅 기법보다 걸리는 시간이 단축됐고, 오류를 줄일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아웃라이어란 데이터 셋 내에서 다른 객체들과 상대적으로 이질적인 객체를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그래프 기반 아웃라이어 검출 방법의 문제점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HITS 를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그래프 기반 아웃라이어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실험을 통하여 제안하는 방법이 아웃라이어 검출에 적합함을 보인다.
-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산발적으로 흩어져 있던 임상시험 관련 정보를 통합하여 서비스하기 위한 방안으로 임상시험정보방을 개설하게 되었다. 임상시험승인현황 등 원시자료는 종이형태로 생산, 관리된다. 이를 통계자료로 활용하기 위해서 식품의약품안전청의 관련 시스템인 KiFDA 시스템에 입력을 하게 된다. 이 시스템에 입력된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임상시험관련 웹서비스 시스템에 구축된다. 이때에 실시간 통계정보의 정확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KiFDA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의 실시기관명과 임상시험계획승인제도(IND) 승인리스트 원본의 실시기관명이 틀린 것도 있었다. 이는 동일한 실시기관도 화면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기관으로 보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국 통계자료가 부정확하게 표출되는 데는 이런 원인들이 있었던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문제점을 개선하기위해 임상시험정보방의 효율적인 통계모델링을 설계하여 물리적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
모바일시장의 흐름이 피쳐폰에서 스마트폰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적인 시점에서 하드웨어 기술은 크게 발달했지만, 사용자가 주소록이나 발신자정보표시서비스 등의 여러 정보들을 통합 활용함에 있어서 사용자 중심적인 애플리케이션 제작에는 부족함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의 다양한 하드웨어 기능(GPS, wifi, 등)들을 이용하여 기존 피쳐폰에서 사용되어지던 다양한 정보들을 효율적으로 통합하여 활용할 수 있는 방안(통화 수신자 정보 자동검색 등)에 대해 제시하고, 오픈소스의 장점을 갖고 있는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에 설계하였다.
-
최근 플래시 메모리뿐만 아니라 SSD 를 활용한 데이터베이스의 사용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대용량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삽입, 삭제, 검색을 빠르게 하기 위해 다양한 색인기법을 사용하는데 그 중 B-트리 구조가 대표적인 기법이다. B-트리는 삽입, 삭제, 검색을 할 때 더 나은 성능을 갖도록 도와주지만 그 구조를 유지하기 위한 비용이 많이 들어간다는 단점이 있다. 그 중 하나로 삽입 시 키가 삽입된 단말노드뿐만 아니라 그 부모노드까지 수정이 되어 한 번의 삽입에 여러 노드가 여러 페이지에 씌어져서 삽입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SSD 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때 SSD 의 병렬 접근(parallel access) 방식을 사용해서 수정된 단말노드부터 루트노드까지의 경로에 있는 모든 노드들을 연속한 논리 주소 공간에 쓰는 방식을 적용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계층적 클러스터링의 확장성(scalability)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새로운 초기 클러스터링 기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k-NN 그래프를 구축하여 초기 클러스터의 중심이 될 객체를 찾고, 이 객체를 중심으로 유사한 다른 객체들을 초기 클러스터에 포함시키는 방법을 제안하고,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방법의 성능 개선 효과를 규명하였다.
-
SaaS 플랫폼은 메타데이타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다중 사용자 지원 및 용이한 환경 설정으로 다양한 사용자 요구를 충족시키려 하고 있다. 따라서, 여러 고객이 하나의 서비스 인스턴스를 공유하고, 데이터베이스 안의 정보를 각자 관리할 수 있어 서비스로서 애플리케이션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SaaS 플랫폼의 하나로 개발중인 SaaSpia 플랫폼에서 다중 사용자 지원 및 용이한 환경 설정을 위해 관리되어야 할 메타데이타를 알아보고, SaaSpia 애플리케이션에서 메타데이타 지원을 연구한다. SaaSpia 플랫폼에서 메타데이타는 일반 웹 애플리케이션을 SaaSpia 애플리케이션으로 변환하거나, 운용중인 SaaSpia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별 설정 변경 시, 이용된다.
-
RFID를 기반으로 유비쿼터스 환경의 응용 서비스를 지원하는 미들웨어는 지속적으로 끊임없이 입력되는 데이터 스트림을 실시간으로 처리하고 응용 서비스에서 요구하는 결과를 획득하여 전달해야 한다. 이와 같은 요구사항을 만족하기 위해 데이터 스트림 관리 시스템(DSMS)이 제안되었으며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량의 이벤트가 입력되는 환경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질의를 실시간으로 처리하기 위한 DSMS를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는 스탠포드의 STREAM 프로젝트를 활용하여 설계 및 구현하였으며, 각 쿼리를 State Thread로 동작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쓰레드 라이브러리의 스케줄러 부분을 실시간 스케줄러로 개선하는 작업을 진행하였으며, 실험을 통하여 쓰레드 스케줄러가 질의에 대해서 실시간으로 스케줄링을 할 수 있음을 보이고 있다.
-
이 논문에서는 Linking Open Data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개발된 어플리케이션들의 접근제어를 위하여 기존 RBAC 모델을 연결 데이터에 적용 가능하도록 확장한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모델은 온톨로지의 구조에 RBAC 모델에 적용할 수 있도록 RBAC 모델에 사용자를 위한 제약조건을 온톨로지로 표현하였으며, 지능형 엔진을 통해 사용자에게 적합한 권한을 추론한다. 사용자에 적합한 접근권한을 주기 위해 FOAF, flickr, 트위터 등의 데이터가 연결되어있는 연결 데이터로부터 사용자 프로파일을 확장할 수 있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를 기존 정보에 확장하여 사용자의 권한을 부여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모델의 실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DBpedia Mobile을 위한 접근제어 시스템을 설계하였으며 안드로이드 SDK 환경에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여 제안 모델을 연결 데이터 환경의 어플리케이션에 적용 가능함을 보였다.
-
온톨로지 간 이질성 문제를 해결하고 상호운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최근 XMDR에 기반한 온톨로지 구축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기존 연구와의 비교 평가가 부족하여 장점을 정확하게 보이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XMDR 기반 온톨로지 구축 방법의 장점을 보다 명확하게 보이기 위해 정량적인 평가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실제 온톨로지를 구축하고, 구축된 온톨로지는 온톨로지 참조 기반 온톨로지 구축 방법, 사전 참조 기반 온톨로지 구축 방법, 기존 방법론을 이용한 온톨로지 구축 방법을 평가 대상으로 하여 5가지 평가 지표로 분석된다. 평가 지표로는 구축된 온톨로지의 어휘 및 구조의 일관성 비교를 위하여 어휘 및 구조의 빈도수 평균과 엔트로피를 사용하고 구축 비용의 평가를 위하여 각 온톨로지의 구축 시간을 사용한다. 이러한 실험 및 평가의 결과로써, 온톨로지 참조 기반의 온톨로지 구축 방법은 다른 온톨로지 구축 방법들에 비해 온톨로지 어휘 및 구조가 일관적이고 효율적임을 보인다.
-
분자 생물학을 통한 연구가 심화되면서, 생물학 정보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그에 따라 바이오메디컬(생물학, 의학) 관련 논문들의 출판 및 등록 건수도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바이오메디컬 문서들에서 유용한 정보를 추출하는 기술은 이러한 분야의 전문가 큐레이터(curator)에 의존한 경우가 많아서, 그 작업의 속도와 양적인 면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바이오메디컬 문서를 기계학습을 통하여 분석하는 기법이 도입되기 시작하였다. 아직까지는 기계학습을 이용하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가 소수에 불과하지만,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현 추이를 분석하고 향후의 추세를 예측하고자 텍스트마이닝 기술이 생물학과 의학 분야에서 어떻게 사용되며, 그 정보들이 어떻게 관리되는지 연구, 조사 하게 되었다. 현재 바이오메디컬 관련 데이터베이스들이 여러 기관 및 단체에 의해 구축 및 관리되고 있으며, 국가적인 프로젝트로서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들을 통합하는 과정을 진행하고 있다. 이처럼 국가기관의 주도하에 데이터베이스를 통합하여 관리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어, 앞으로는 바이오메디컬 자료들을 검색하기가 보다 용이해질 것으로 생각된다.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하여 바이오메디컬 정보들을 추출하는 기술은 초기에는 공동 발생(co-occurence)과 같이 단순한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였지만, 최근에는 다른 문서에서 추출된 정보와 기존의 정보들을 연계하여 새로운 정보를 추출해 내는 기법이 확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정보화 시대를 거치면서 모든 산업분야에서 대량의 데이터가 생성되고 관리되고 있다. 최근에는 비즈니스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고급 정보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IT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데이터마이닝에 대한 많은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데이터마이닝은 금융, 정부, 제조, 유통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한편 의료데이터는 다른 산업분야의 데이터와 구별되는 특징이 있는데, 데이터의 이질성과 복잡성, 부정확성과 오류가능성, 불완전성과 윤리 및 법적인 문제, 개인정보보호, 특징 선택의 제한, 모델의 투명성과 설명력에 대한 높은 요구도 등이 그것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의료데이터에 대한 접근은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그럼에도 병원 전산화를 통해 발생하는 의료데이터의 양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임상정보를 포함하는 의료데이터는 데이터 자체로도 가치가 매우 크다. 이에 본 논문은 국내 제 3차 의료기관의 2년간 내원환자에 대한 진단데이터를 사용하여 데이터마이닝의 연관법칙을 이용, 상병간의 관계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잠재고객에게는 객관화된 의료지표를 제공하고, 의료기관은 예측 가능한 정보를 종합의료시스템에 활용하여 고객만족도를 높이는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단백질의 서열 정보와 기능 정보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컴퓨터 실험을 통한 단백질의 기능 예측이 가능해졌으며 정확성이 높은 예측 시스템을 개발하려는 여러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대표적인 방법으로 서열 유사도를 기반으로 기능 예측을 하는 시스템이 제안되었으나 단백질 중에는 서열이 유사하지만 기능이 다르거나 또는 서열은 다름에도 불구하고 기능이 같은 단백질이 존재하기 때문에 서열의 유사도 만을 이용해서는 단백질의 기능 예측을 어렵다. 이러한 유사도 방법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단백질 서열로부터 추출한 특징을 기반으로 분류하는 방법도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기존 방법들의 장점을 얻기 위하여 서열 유사도 방법과 특징 기반 방법을 융합한 단백질 기능 예측 시스템을 제안하고 예측 정확성 분석을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의 결과에 따르면 제안된 융합시스템이 서열 유사도만을 이용한 방법과 특징 기반 방법보다 좋은 예측 정확률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의 소스 코드에 대한 품질 검증은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이에 다양한 시험을 통해 요구되는 품질 속성을 만족하기 위해 노력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품질 확보 활동의 일환으로 구현 단계에서 진행하는 코드리뷰에 코딩 표준을 적용한 사례를 소개한다. 코딩 표준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도메인 내의 결함 분석을 통해 몇 가지의 코딩 표준을 제안하였으며, 이를 조직에 적용하기 위한 고려사항을 언급하였다. 마지막으로 적용 결과에 대해 분석하여 향후 진행될 방향으로 마무리 지었다.
-
국내 금융권의 비즈니스와 운영환경에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따라서 생존을 위한 경쟁력을 높이고 지속적인 성장점의 확보와 계속되는 변화에 따른 위험에 대한 대응능력이 한계점에 도달한 상황은 차세대 시스템의 도입을 요구하게 되었다. 이러한 차세대 시스템을 도입하면서 기업의 단위업무 또는 기능 위주의 정보화 추진이 아닌 전체적인 관점에서의 정보화가 추진되어야 한다. 더욱이 종합적인 정보화 마스터플랜의 필요성과 정보시스템 또는 서비스의 중복 개발문제, 시스템 간의 상호운용성, 정보시스템의 복잡도 증가로 인한 정보자원 관리의 어려움 등으로 EA(Enterprise Architecture)의 도입이 불가결해지고 있다. 하지만 범정부 차원에서 시행된 EA 개발 방법을 금융권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본 논문은 금융권을 위한 EA 프로세스 개발을 위한 선행 연구로서 금융권에 EA를 도입하기 위해 일반적인 EA 개발 프로세스에 대해 알아보고, 대표적인 EA 개발 방법론을 비교분석하여 금융권의 특성에 맞는 EA 개발 프로세스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다.
-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개선모델인 CMMI에 기반한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품질인증 모델을 적용하여 중소기업 SW개발 프로세스의 개선성과를 보인다. 프로세스 개선영역은 프로젝트 관리, 개발, 지원 영역이며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품질인증 모델 대비 프로세스 이행수준 및 개선영역을 식별하고, SW개발 프로세스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SW개발 프로세스를 개선하여 프로세스 체계 수립, 요구사항과 산출물간의 추적성 관리체계 정립, 형상변경 통제체계 성립 등의 성과를 보인다.
-
IT융합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IT 지식정보화 사회에 지능형 로봇의 발전은 끝없이 연구되고 있다. 미래 인간사회에 로봇이 미치는 영향은 아주 클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인간의 실생활과 로봇의 가상공간 세계는 점점 일체화 되어 갈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인간은 로봇의 활동과 행동을 좀 더 구체적이고 자세하게 제어할 필요가 있다. 최근 현실세계를 가상공간의 세계로 표현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가상공간을 활용한 미래의 세상 환경은 점점 많아 질 것으로 예상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지능로봇 시뮬레이션 맵 자동생성을 위한 제어 동기화 설계를 연구하였다. 현실세계의 실제 로봇과 가상공간의 시뮬레이션 로봇을 동기화하여 하드웨어 로봇의 움직임에 따라 가상공간의 로봇이 맵을 자동으로 생성시킬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고 설계하여 실험하였다. 실제 로봇의 움직임을 3차원 가상공간으로 자동 생성하게 함으로서, 로봇의 제어를 좀 더 지능화 시킬 수 있을 뿐아니라, 여러 다양한 시뮬레이션 테스트 환경으로 응용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 또한 로봇을 활용한 가상공간 세계의 시뮬레이션은 미래 인간과 로봇이 함께하는 공존세계에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본 논문은 범정부 엔터프라이즈 아키텍처(EA)의 메타모델을 UML 다이어그램을 이용하여 개선 연구에 관한 논문이다. 여러 공공기관과 기업에서는 '범정부 정보기술아키텍처 적용'이란 전자정부 로드맵 과제로 정보기술을 그들의 경영혁신을 위한 전략적 도구로 도입하였으며, 조직 전체의 최적화 및 통합, 조직의 진화관리, 조직업무의 효율성 및 효과성 등을 제공하는 방법으로 EA를 개발 및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EA 프레임워크에서 제안하는 메타모델들은 단순한 네모 박스와 선으로 연결된 의미가 부족한 메타모델들을 제안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메타모델에 의미를 부여하는 작업으로 UML 다이어그램을 이용한 새로운 메타모델 다이어그램들을 제안한다. UML에서 사용된 의미를 가진 다이어그램을 범정부 엔터프라이즈 아키텍처의 메타모델에 적용함으로써 의미적인 메타모델의 다이어그램을 통해 보다 의미 전달이 용이한 메타모델로 사용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
매년 국내 많은 기업 및 단체에서 정보시스템 관련 프로젝트를 수행하는데 막대한 비용을 지불하고 있으며, 2008 년 국내 소프트웨어 및 컴퓨터관련 서비스 생산액은 24 조 4 천억 원에 이르고 있다. 그 중 컴퓨터 관련 서비스(SI 및 SM 등) 비용이 약 20 조, 응용 SW 비용이 1 조 8 천억 원에 이르고 있으며, 많은 기업과 단체들이 필요에 의해 다양한 정보시스템을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성과에 대해서 만족하지 못하고, 또 다시 정보시스템을 도입하여 운영하는 등 많은 시행착오를 겪고 있다. 이것은 기업의 필요에 맞는 정보시스템을 계획하고 구축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보시스템의 활용수준을 평가하고 이슈 및 개선사항을 도출하여 잘 활용하는 것이 정보시스템 성공의 핵심적인 요소임을 간과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개발되어 운영중인 정보시스템의 응용 소프트웨어가 효율적으로 이용되는지에 대한 활용 수준 평가/진단을 위하여 정보시스템 활용도 평가에 대한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살펴보고,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응용 소프트웨어 활용도 평가 지표를 새롭게 제시하며, 국내 기업의 차세대 CRM 응용 소프트웨어 활용수준을 적용하고 평가하여 이슈 및 개선사항을 도출하는데 있다.
-
건설현장이 공사비 대금지급, 공사비 변경요청, 실정보고 등과 같은 중요한 공문일 경우 직접 방문하거나 이메일 등을 통해 공문초안을 사전에 발주청에 보고하고 검토를 받은 후 건설사업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공문으로 발송한다. 본 연구는 건설사업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발주청과 건설현장간에 온라인으로 공문을 사전검토 및 승인 반려할 수 있도록 공문 유통 방식을 개선하고자 한다.
-
첨단 항공기와 더불어 효과적인 조종사의 임무수행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인 비행임무지원체계의 개발은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며 높은 개발 수준을 요구하고 있는 고도의 소프트웨어이다. 이러한 소프트웨어의 개발에 있어 상호 연동성과 재사용성의 도입은 개발에 필요한 많은 시간을 줄이고 보다 효율적인 구조설계를 통해 품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여러 복합적인 기능을 지원하는 항공기 특성상, 새롭고 다양한 기능을 접목한 비행임무지원체계의 개발은 빈번한 기능요구를 반영하기에는 개발 여력상 힘든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확장 가능한 구조설계를 위해 Plug-In 을 통한 기능 확장을 구현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비행임무지원체계 프레임워크의 설계 및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최근 국방 소프트웨어 분야에서는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기술이 각광받으면서 무기체계 개발을 위한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개발 사업을 늘리고 있다. 특히, 시뮬레이션 요소의 재사용성 및 신뢰성 확보를 위한 개발 프레임워크 제공이 핵심기술로 떠오르면서, 시뮬레이션을 위한 공통 서비스를 제공하는 M&S 프레임워크가 개발되었다. 하지만 고객의 요구사항이 프레임워크의 기능 변경을 요구하는 경우 프레임워크가 적용된 모든 시뮬레이션 요소의 수정이 불가피하며, 추가 구성요소의 상호작용을 위한 인터페이스 재설계가 요구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프레임워크의 요소를 DLL로 구현하여 기능 구성을 용이하게 하고, 구성요소 간 상호작용을 위해 데이터 기반 Publish-Subscribe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프레임워크와 독립적으로 인터페이스를 설계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프레임워크와 DLL 간 교환 메시지 객체에 대한 구조 설계를 제시한다.
-
소프트웨어 신뢰성 보증을 위한 소프트웨어 신뢰성 평가 프로세스는 다양한 관점에서 대상 소프트웨어 시스템뿐만 아니라 관련된 조직 및 개발 프로세스에 대한 분석을 필요로 한다. 특히, 신뢰성 평가 프로세스 수행 단계 중 단계별 척도 식별단계는 대상 시스템의 도메인 특성을 반영해야 하는 까다로운 작업이다. 현재 신뢰성 관련 척도들이 여러 문서에 다양한 의미로 혼재해 있어 이를 조사하는데 많은 노력이 들며 대상 시스템 환경에 적합한 척도 식별을 위해 불필요하게 많은 회의와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표준문서 및 관련문헌에 근거하여 신뢰성 척도 POOL 을 구성하고 각 척도 원시 데이터의 수집 조건에 기반한 적용조건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기존의 신뢰성 관련 척도 조사 및 수집, 척도 식별 과정에서 소요되는 자원, 시간의 낭비를 줄이고자 한다. 이 방법을 적용하였을 때 소요된 시간과 기존의 회의를 통해 소요되는 시간을 비교하여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방법의 효과를 평가한다.
-
소프트웨어가 점점 복잡해지면서 신뢰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소프트웨어 개발 업체는 소프트웨어 신뢰성 보장을 위한 많은 활동들을 수행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소프트웨어 신뢰성 평가는 핵심이 되는 작업 중 하나이며, 다양한 소프트웨어 신뢰성 평가 도구가 개발되어 정확하고 효율적인 신뢰성 평가를 돕고 있다. 소프트웨어 신뢰성 평가 도구는 적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개발 단계와 적용 방법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도구들은 적시적소에 적용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CASRE, SMERFS, SREPT, GERT, SRTPRO 와 같은 소프트웨어 신뢰성 평가 도구의 분석을 통해 각 도구들의 특징, 목적, 적용단계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다양한 도구 중 어떤 도구를 선택해야 하는지 판단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
최근 Application 의 취약성을 악용한 해커들의 시스템 공격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다루는 코드 분석기는 이러한 해커의 공격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Application 의 소스 코드가 사전에 탑재해 놓은 일련의 보안 규칙(Security Rule)을 제대로 준수하는지의 여부를 어휘 분석(Lexical Analysis)과 구문 분석(Semantic Analysis)을 통해 판별해 낸다. 본 코드 분석기는 미국 카네기멜론대학(CMU) 산하의 인터넷 해킹 보안 기구인 CERT 에서 제시하는 규칙을 그대로 적용하여 분석 결과의 정확도와 객관성을 높였으며, 이 분석기를 통해 프로그래머가 신뢰도와 보안성이 높은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레거시시스템 관계형 데이터의 효율적인 재사용을 위해 많은 연구가 있었다. 온톨로지 기반 분류기법의 적용으로 문제점이었던 의미적 해석 및 처리를 해결하고, 사람의 이해가 아닌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온톨로지 기반 효율적 재사용을 위해 관계형 데이터의 유형 분류기법을 적용한 SDTC 기법의 제안하였고 결과물로 생성된 정보를 저장하는 SDR 데이터 저장소가 생성된다. 도한 SDR 데이터의 통합으로 향상된 재사용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소프트웨어가 대형화되고 복잡해짐에 따라 소프트웨어에 내재하고 있는 소프트웨어 허점(weakness)의 발생률이 높다. 이런 허점은 컴파일러에 의해 탐지되지 않고, 공격자에 의해 발견되기 쉽다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소프트웨어 취약성을 야기한다. 스마트폰의 확산으로 인해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폰 앱이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 앱이 대형화되고 복잡해지고 있으므로, 여기에 내재하는 소프트웨어 허점을 사전에 예방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앱을 개발할 때, 소프트웨어 취약점을 야기하며, 개발자가 간과하기 쉬운 소프트웨어 허점을 사전에 제거하고자 안드로이드에 특화된 시큐어 코딩 가이드를 제시한다.
-
본 논문에서는 오픈 아키텍처 기반의 이기종 분산 시스템에서 애플리케이션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현한다. 전투관리 시스템이나 공정관리 시스템 등과 같은 통합관리 시스템은 다양한 이기종 분산 시스템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분산 환경에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이 동작하게 되는데 이들을 통제 감시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추상적인 정보모델을 이용하여 이기종 시스템들을 표현하고 이를 통해 상호의존성을 관리함으로써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
본 논문은 전자제어 시스템들의 소프트웨어의 설계 및 구현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의사 전달의 애매모호함을 줄여 요구사항 명세와 구현 시스템 사이의 불일치를 없애기 위한 실시간 제어 소프트웨어의 정형 명세 기법을 제안한다. 실시간 제어 시스템 이론은 미적분학에 바탕을 두고 있는 반면, 실제 동작은 대다수 임베디드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함에 따라 제어기의 설계 시 고안된 연속적인 미분 방정식의 이산화 과정을 거쳐 소프트웨어로서 구현이 된다. 이 때, 시스템 설계 엔지니어와 소프트웨어 구현 엔지니어 사이의 이해도의 불일치와 구현 엔지니어의 시스템 이론의 이해 부재로 시스템에 심각한 오류를 야기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실시간 제어 시스템의 기능 및 동작에 대한 그래픽 기반 정형적 명세 기법을 제안하여 요구사항 명세 과정에서 구현 방식을 구체화하는 방향을 제시한다.
-
현대의 시스템들은 매우 복잡해지고 있으며 그 규모 또한 점점 커지고 있다. 또한 기술의 발달로 서로 상호작용하는 시스템들이 많아졌으며, 비즈니스적 요구 사항의 증가로 인해 통합되는 시스템들도 많아지고 있다. 시스템의 유지 보수는 비용과 노력 등 시간이 갈수록 고객과 개발자에게 더 많은 부담이 되고 있다. 때문에 자율 컴퓨팅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자율 컴퓨팅 시스템은 시스템 스스로가 자신을 관리하는 자가 적응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자율 컴퓨팅이 이루어 지기 위해서는 데이터베이스화 된 시스템의 결함 정보, 각 결함에 따른 하나 이상의 전략이 존재하여 적절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본 논문은 OCL 을 기반으로 하여 설계 단계의 시스템 모델에서 예상 가능한 결함 정보를 추출하여 결함 리스트를 생성하는 연구를 내용으로 한다. 이를 통하여 개발자는 효율적으로 자가 적응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그리고 연구의 효율성을 검증하기 위해 ATM 시스템을 대상으로 평가를 한다.
-
TSP(Team Software Process)의 계획 단계에서는 계획된 프로젝트 일정에 맞춘 업무를 팀 리더 또는 계획관리자(plan manager)가 각 팀원에 할당하고, 업무수행 시에는 각 팀원이 할당된 업무를 적시에 수행하는지를 추적하여 일정지연을 방지해야 한다. 하지만 업무 할당에 있어 팀원의 능력, 일정 및 업무의 논리적인 순서가 고려되어야 하고, 업무 수행 시에도 수시로 변화하는 업무 일정으로 인해 할당된 업무를 일정에 맞추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며 이는 결국 일정지연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은 TSP 가 지원하는 업무 균등 분배(workload balancing)를 적용하여 해결하고자 하였으며, 이 활동을 지원하는 도구에 대해 소개한다.
-
스마트폰의 확산이 증대되고 있으며, 누구든지 모바일 앱을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모바일 앱을 개발하는 개인 개발자들은 접근성과 이해성이 좋고, 보안성이 고려된 표준 가이드를 적용하여 앱을 개발해야 한다. 이는 오류 발생률 감소 및 코드 수정에 소비되는 시간이 절약될 수 있는 모바일 앱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된다. 하지만 개인개발자들을 위한 적절한 가이드가 존재하지 않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개인 개발자들이 쉽게 접근 할 수 있으면서 보안성이 고려된 표준 가이드를 제시하기 위한 개발 방법론을 제시한다.
-
소프트웨어 제품 라인 개발 패러다임은 관련 제품들 사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이용해 보다 전략적인 재사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소프트웨어 개발 생산성을 높여 주는 개발 방법론이다.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고 모델링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모델이 특성 모델이다. 특성 모델은 규모가 커짐에 따라 오류를 포함할 가능성이 커지며 이를 검증하기 위한 자동화된 도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온톨로지를 자바 언어로 구현 가능하게 해주는 Protege API, OWL기반의 시맨틱 웹 규칙 언어인 SWRL, 규칙 추론 엔진인 Pellet Reasoner 등의 기술을 이용한 특성 모델 검증 도구를 제안한다.
-
위기대응 매뉴얼은 지진, 태풍 등 상황에 적절하게 적용되며 신뢰성 있게 작동한다는 것이 보장되어야 한다. 따라서 위기대응 매뉴얼의 검증은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정형기법 도구인 Statemate를 이용한 명세, 검증 및 신뢰성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모델체킹을 통해서 매뉴얼 사용자들의 임의적인 판단을 일의킬 수 있는 Non-Determinism과 대응 매뉴얼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의 도달여부에 대해 검증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사용자가 원하는 검증 속성을 Temporal Logic으로 작성해서 검증할 수 있다. 또한 도구에서 지원하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한적이지만 조치내용의 적절성 여부와 추가적으로 발생 가능한 트리거를 찾음으로써 위기대응 매뉴얼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
안전중요 소프트웨어 코드의 검증은 1%의 잠재적 가능성을 가진 오류조차 허용하지 않는 철저한 검증방식을 요구한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최근 수학적 모델을 사용한 정형검증 기법이 코드검증에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으나, 코드의 복잡도와 크기의 증가에 따른 검증비용의 기하급수적 증가가 해결과제로 부각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검증하고자 하는 특성을 중심으로 검증대상 코드를 추출, 정형검증의 대상을 자동으로 축소하는 코드추출기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코드추출기는 자동차 전장용 운영체제의 검증에 보조적으로 활용되어 검증비용을 90% 이상 절감하고 검증 사용성을 높이는데 기여하였다.
-
오늘날 모바일 시장을 중심으로 다양한 플랫폼이 등장하면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 시 여러 플랫폼을 고려해야 하는 부담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Model-Driven Development(MDD) 는 멀티플랫폼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개발의 효율성을 높여줄 수 있다. 하지만 이 기법을 이용하는 대다수의 연구 결과들은 해당 방법론을 통해 생성된 결과물의 질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없고, 이 때문에 해당 방법론의 성능 평가가 힘들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 플랫폼들이 제공하는 API 를 분석한 결과에 근거하여 공통 요소를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MDD 기반으로 개발을 진행할 수 있는 개발 프로세스를 소개하고, 이를 통해 생성된 소스 코드의 기능적 유사도 및 코드 생성률과 기능적 유사도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코드를 AST 로 바꾸고 API 맵핑 테이블에 근거하여 동일한 키워드로 변환하고 유사도를 측정하여 설계 시 의도한 기능이 얼마나 잘 코드로 생성되었는 지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방법을 이용하여 생성된 코드의 기능적 유사도와 코드 생성률을 측정하였다.
-
표준 코딩 스타일은 개발 단계에서 오류 가능성이 있는 코드를 사전에 차단하고 코드의 가독성을 높여 소스코드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대표적인 방법이다. 자동차 분야에서는 MISRA-C 와 같은 표준 코딩 스타일이 있으며 이를 검사하는 다수의 도구가 개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의 안전성 및 신뢰성을 기반으로 국제 및 산업 표준 권고 사항과 경험적인 사례를 바탕으로 가전 기기 소프트웨어에 적합한 코딩 스타일 43 종을 정의했으며 이를 구현한 자동화 도구를 개발했다. 개발된 C 코딩 스타일 검사기를 이용하여 냉장고와 세탁기에 탑재된 소스코드에 대상으로 실험해 개발자들이 쉽게 위배하는 규칙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위배한 코딩 스타일 중 주석관련 스타일이 각 소스코드 별로 64%, 24%로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으며, 제어문 관련 규칙이 12%, 17%, 코드 모양(Layout)관련 규칙이 4%, 11% 순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코딩 스타일 검사 도구는 향후 양산되는 제품에 계속적으로 적용될 것이며 소프트웨어 품질 향상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Linear Temporal Logic synthesis 는 LTL formula 로 표현된 요구 사항으로부터 그것을 만족하는 시스템을 만들어낸다. 이러한 synthesis 과정은 2EXPTIME-complete 이 요구 되지만 GR formula 라는 특수한 형태를 사용함으로써 복잡도를 Polynomial 시간으로 줄일 수 있다. LTL synthesis 는 작업 공간, 로봇이 취하는 센서 정보와 액션의 종류, 상위 수준의 작업 명세를 입력으로 받아 GR formula 형태로 변환하고, 기대되는 작업이 실현 가능하다면 그것을 성취할 수 있는 오토마타를 생성해낸다. Synthesis 알고리즘을 구현한 LTLMoP 라는 도구를 이용하여 LTL synthesis 과정을 보이고 화성 행궁의 미아 찾기 로봇 작업 계획을 구현한다. 마지막으로 시뮬레이션 과정을 통해 기대하는 작업을 성공적으로 성취할 수 있음을 보인다.
-
본 논문에서는 차량 전장용 소프트웨어의 일부인 Basic Software(BSW) 모듈 설정이 AUTOSAR 표준을 따르는 지를 평가하는 도구를 설명한다. 평가 도구는 크게 평가 속성 추출 부분과 속성 평가 부분으로 구분된다. 평가 속성 추출 부분에서는 AUTOSAR에서 제공하는 BSW 메타 모델로부터 평가 속성을 정의하는 데 사용되는 정보를 자동으로 추출하며 속성 평가 부분에서는 앞에서 추출한 정보를 이용하여 평가 속성을 정의한 후 사용자가 설정한 BSW 사용자 설정 모델에 대해서 평가를 자동으로 수행한다. 한편 평가 속성을 정의하는 데 BSW 메타 모델과 BSW 사용자 설정 모델이 이용된다. 이 두 모델은 XML 구조를 따르고 있으며 이 두 모델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XML 탐색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 우리는 XML 질의어 중 하나인 XPath를 사용하였으며 BSW 메타 모델과 BSW 사용자 설정 모델로부터 평가에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평가 속성을 정의하는 데에도 XPath 를 사용하였으며 XPath로 정의한 평가 속성을 이용하여 우리는 BSW 사용자 설정 모델을 평가할 수 있었다.
-
공공정보시스템에서 외래어 표기법에 어긋나는 귀화자 성명이나 브랜드명(법인명)을 사용할 경우에, 비표준 확장한글을 인식하지 못하여 성명이나 주소를 포함하는 글자가 "?"로 표시되는 깨짐현상이 발생하여 공공서비스 이용에 많은 불편함을 초래하고 있다. 그 원인으로는 첫째로, 외래어 표기법을 준수하지 않았다는 것, 두 번째로는 기존에 구축된 공공정보시스템 대부분이 'EUC-KR' 인코딩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비표준 확장한글을 표현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운영환경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비표준 확장한글을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 운영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는 실제 공공정보시스템 운영시에 적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
컴퓨팅 시스템이 복잡해 지면서 기존의 관리자에 의한 유지 보수는 한계에 직면하였다. 이에 따라 시스템이 스스로 상태를 감시하고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자율 컴퓨팅은 컴퓨팅 시스템의 유지 및 운영을 위한 대안으로 기대되고 있다. 자율 컴퓨팅 중 하나인 자가 치유 방법은 시스템의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스스로 치유하여 시스템을 정상 상태로 되돌리는 기법이다. 리부팅은 간단하고 실용적이며 효율적으로 다양한 시스템의 문제를 해결하는 자가 치유 방법 중 하나이다. 리부팅은 시스템의 문제 발생 원인과 위치를 알지 못해도 시스템을 빠르고 쉽게 복구할 수 있다. 그러나 리부팅 전략은 예기치 못한 데이터의 손실을 가져올 수 있으며 복구 시간이 예상보다 길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무상태 소프트웨어와 마이크로리부팅을 이용한 소프트웨어 자가 치유 방법론을 제안한다.
-
리팩토링은 프로그램의 행위를 변경하지 않으면서 프로그램의 내부 구조를 수정하는 과정이다. 소프트웨어의 유지보수 측면에서 유용하기 때문에 리팩토링이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다. 리팩토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요소 리팩토링을 정의해서 이들의 조립을 통해 새로운 복합 리팩토링을 정의하려는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에서는 복합 리팩토링을 구성하고 있는 조립된 리팩토링의 종류가 요소 리팩토링으로 제한되어 있고, 조립 방법도 대부분 요소 리팩토링들의 순차적인 결합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만 처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립할 수 있는 리팩토링의 구성 요소를 요소 리팩토링뿐만 아니라 이미 정의되어 있는 복합 리팩토링도 가능하게 하고, 조건처리와 반복 등 다양한 방법으로 리팩토링들을 조립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그리고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조립 메커니즘을 지원해주는 메타모델을 정의한다. 이를 통해 리팩토링들의 재사용성과 확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
본 논문에서는 u-City 감리를 위한 정보시스템감리와 정보통신공사감리의 통합된 감리점검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u-City 감리점검프레임워크의 요구사항을 정리하였으며, 기존의 정보시스템 감리점검 프레임워크와 정보통신감리 프레임워크를 간략히 소개한 후, u-City 감리를 위한 정보시스템감리와 정보통신공사감리의 통합된 감리점검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
임베디드 소프트웨어를 테스트하고 디버깅하려면 기능 분석, 프로세스 추적, 메모리 디버깅 등 다양한 기술들이 존재한다. 하지만 테스터가 임베디드 시스템 내부의 컴포넌트들의 사이에 결함을 발견하고 그 위치를 찾아야 하는 경우, 디버깅 기술과 도구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만약 테스터가 테스트 도구를 이용할 경우 이런 단점을 보완할 수 있지만 다양한 임베디드 시스템 환경에서는 테스트 환경만을 구축하는 데도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Aspect-Oriented Programming)을 사용한 후크(Hook) 개념을 적용하여 새로운 테스팅 아키텍처를 제안한다.
-
본 논문은 다른 프로세서간의 어셈블리 코드를 자동으로 변환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어셈블리 언어는 기계어를 사람이 알아보기 쉽도록 만든 저급 언어로서 레지스터 접근과 같은 하드웨어 수준의 작업이 가능한 반면, 컴퓨터 아키텍처에 따라 어셈블리도 다르다. 이에 따라 새로운 프로세서에서 어셈블리 코드가 포함된 프로그램을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어셈블리 코드 부분을 새로 작성하여야 한다. 어셈블리를 작성하는 것은 많은 시간이 필요하고 버그가 발생할 확률이 높다. 본 논문에서는 새로 작성할 어셈블리 코드를 동일한 동작을 하는 다른 프로세서의 어셈블리 코드를 통해 생성해내는 방법을 소개한다.
-
소프트웨어 개발초기에 모든 요구사항을 정의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모든 요구사항이 최고의 우선순위를 가지는 것 또한 아니다. 따라서, 올바른 일(Right Thing)을 올바른 순서(Right Order)로 하고, 변경에 따른 시소관계(Trade-off) 의사결정에 도움되는 고객가치 지향적인 요구사항 정제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고객 입장에서 핵심 서비스와 제품기능 만족도를 판단하는 긍정적인 가치요소와 프로젝트 팀 입장에서 구현 시 발생 비용과 기술적인 위험도를 판단하는 부정적인 가치요소에 의해 고객가치를 정량화하여 요구사항의 우선순위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정해진 일정과 한정된 자원 내에서 반드시 필요한 모든 기능을 포함한 시스템을 고객에게 제공하고 모든 이해당사자들에게 실효성 있는 가치를 제공하여 요구 결항 축소 및 시스템 만족도를 높이는데 있다.
-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는 소프트웨어의 품질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이다. 소프트웨어 개발 생명주기 초기에 아키텍처를 분석하고 평가하지 않으면, 점점 품질결함을 발견하고 수정하는 비용이 증가한다. 기존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분석 및 평가 방법은 아키텍처라는 상당히 추상화된 수준에서 분석 및 평가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평가기준이 주관적이며, 선택된 아키텍처 후보들만으로 서로에게 미치는 품질속성의 영향을 파악하기 힘들다. 따라서 품질 속성 시나리오나 아키텍처 전략을 구현하기 위한 세부적인 아키텍처 전술들의 품질평가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아키텍처 전술의 품질 평가를 위해, Q-SIG(Quantified Softgoal Interdependency Graph)을 이용한 품질속성과 이를 달성하기 위한 아키텍처 전술의 관계를 정성적, 정량적으로 표현한다. 또한 Bayesian Belief Network(BBN) 모델 구축을 통해 Q-SIG에서 표현할 수 없는 다수의 품질속성을 만족하는 아키텍처 전술들 간의 조합에 대해 분석하고, 평가하여 아키텍트가 소프트웨어 디자인 단계에서 높은 품질속성을 달성할 수 있는 아키텍처 전술들의 조합을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
Web 2.0 이 도래한 이후 SNS(Social Network Service)에 대한 관심이 널리 퍼짐에 따라 인터넷 사용자들은 SNS 를 통하여 수 많은 정보를 교류하고 있다. SNS 에서는 사용자들을 중심으로 수많은 메시지가 생성되고 있으며, 그러한 메시지에는 사람들의 성향이 그대로 묻어 있다. 수많은 사람들이 만들어내는 메시지들은 매우 방대하며 의미 있고 실속 있는 다양한 개인 정보를 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트위터를 이용하여 특정 사용자 중심의 네트워크에서 생성되는 메시지들을 집단지성의 측면에서 수집, 분석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은 사용자 주변에서 오가는 키워드들을 찾아내고, 그런 키워드를 생성하고 있는 사람들이 누구인지를 알아본다. 그 결과 한 사용자 주변에 분포되어 있는 집단들의 특성을 알아볼 수 있다. 특정 사용자 주변에는 어떠한 집단이 있는지 알 수 있고, 그 집단들의 연관성을 분석한다면 이는 마케팅, 서비스 차원의 사회 여러 분야에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이다.
-
테스트 영역에 대한 리스크 값 측정을 통해 높은 리스크 값을 가지는 영역에 대해 테스트 하는 시간 및 리소스를 투자한다면 효과적인 테스트를 할 수 있다. 그러나 리스크 식별 방법과 측정된 리스크 값을 테스트에 적용하는 방법은 아직 모호하다. 본 논문에서는 요구사항에서 제품의 리스크 항목을 이용하여 테스트 케이스 우선순위를 선정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하며, 실험을 통하여 테스트 효과성에 대해서 논의한다.
-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은 소프트웨어의 평가를 구매자가 쉽게 확인 및 작성할 수 있어 품질이 매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쳐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테스트가 요구된다. 하지만 기존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은 테스트 용이성을 고려하지 않고 개발되어 테스트를 위해 많은 비용이 증가한다. 본 논문은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소프트웨어 설계 단계에서 모델변환을 적용하여 테스트 용이성을 향상 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대상 모델은 UML의 클래스 다이어그램이고 테스트 용이성 측정을 위해서 Binder방법을 사용한다. 적용사례로 안드로이드 기반의 소프트웨어인 SnakePlus를 구현하고, 이를 대상으로 설계 모델을 모델변환을 하여 테스트 용이성을 향상 시킨다.
-
관점지향 개발 방법론은 시스템의 중복된 요소를 최소화 하여 높은 수준의 모듈화를 달성하기 위한 기법으로 그 적용 범위를 넓히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에 관점지향 개발 방법론을 적용한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많은 임베디드 시스템들이 SysML과 같은 설계 언어를 이용하여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동시에 설계하고 통합하는 방식으로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고려한 설계 언어들은 구조적 개발 방법론이나 객체지향 개발 방법론에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관점지향 개발 방법론을 지원하기에 많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에 관점 지향 개발 방법론을 지원하기 위해 확장된 SysML을 제안한다.
-
기존의 노심설계코드는 UNIX 시스템에 구현되어 있기 때문에 설계자가 입력 생성, 코드 실행, 결과 처리/분석 등의 모든 업무를 텍스트 형태로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이 방법은 문법 오류 및 실행 오류와 같은 인적 오류를 범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웹 환경에서 노심설계코드를 자동 실행하기 위한 아키텍처를 제안한다. 제안한 아키텍처는 노심설계코드를 직접 처리하는 CGI 프로그램과 WAS를 연동하여 웹에서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즉, CGI 프로그램은 실시간으로 WAS의 명령을 백그라운드로 실행하고, WAS는 CGI 프로그램의 수행 결과를 웹에서 모니터링 한다. 적용사례로써 제안한 방법으로 원자력발전소의 노심설계코드 프로그램을 수행시켜 실효성을 확인한다.
-
본 논문에서는 C언어를 이용한 자료구조를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원격 교육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각 단원별로 이론 강의 및 실습 강의, 형성평가로 이루어져 있으며, 실습 강의에서는 코딩 영역에 직접 코딩한 소스를 온라인 상에서 컴파일 및 실행이 가능하도록 구현하였다. 특히 한 화면에서 따라가기 형태로 화면의 이동을 하지 않고 실습하는 것이 가능하고 코드의 실행 결과 보기를 할 수 있으므로, 자료구조 학습 내용을 학습자 스스로 충분히 숙지하고 실습할 수 있는 웹 기반 실습 환경을 제공한다. 이론과 실습을 겸함으로써 학습자는 이해하기 어려운 자료구조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고,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실습에 참여하도록 유도함으로써 학습의 흥미를 높일 수 있게 하였다.
-
쇠퇴한 도시 지역을 활성화하기 위한 도시재생을 위해서는 경제 사회 문화 등 도시 서비스의 불균형 정도와 이를 지원하는 물리적 기반시설의 노후 및 쇠퇴 진단이 정확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아울러 도시의 잠재력 등을 평가하고 도시재생 사업의 우선대상지역을 선정할 수 있는 기능과 이를 모니터링하고 평가할 수 있는 도시재생종합정보시스템 구축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재생을 성공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도시재생종합정보시스템의 체계를 정립하고 그에 따른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
Knowledge Ecosystem은 지식이 자연생태계와 유사한 속성을 가지고 있다는 가정과 관점으로부터 출발한다. 이는 지식과 지식 그리고 이를 생성하고 활용하는 주체와 주체가 생태계의 복잡한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다양한 진화와 소멸의 과정을 거치는 과정으로 이해하고 이를 현실세계에 반영하여 긍정적 측면에서 지식을 확대재생산하거나 강화하고 부정적 측면을 약화시키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인위적 개입이나 통제보다는 생태계의 자연스러운 현상에 기반하여 이를 활성화하는데 근본적인 목적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과학기술정보를 활용하여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신제품개발 및 사업화를 수행하는 과학기술정보 커뮤니티에 Knowledge Ecosystem을 개발, 적용한 사례를 중심으로 시스템의 개념과 성과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
기존의 교육 시스템은 그 특성상 온라인 교육 시스템의 보완적인 요소로써 혹은 독창적인 특성을 직간접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온라인 교육 시스템의 역할이 확고해지는 과정에서 다양한 연구 결과를 적용하여 도입 초기에 비해 많은 발전을 보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 교육 시스템을 개발한 개발자와 학습자 간의 문의형 상호작용 유형을 채택하에 개발자가 상호작용의 내용을 만들고 학습자에 의해 교육 내용의 전달 과정을 주도하는 과정에서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해 기존의 에이전트 기반 학습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단순 적용성을 개선한 에이전트 기반 문의형 온라인 교육 시스템을 제안한다.
-
온라인 기반의 교육 시스템이 다양한 시행착오를 거쳐 많은 발전을 이루고 있다. 기존의 오프라인 교육 시스템의 교육 효과를 높이기 위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은 그 보조적 수단에서 독자적인 교육 시스템으로의 발전 양상을 보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교육 시스템 개발자와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 유형 가운데 문의형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자가 조절 학습 효과를 높였던 이전 연구에서 발생 할 수 있는 사용자 부담률을 낮추기 위해 전문가 인터럽트 방식을 도입하여 개선된 자가 조절 문의형 교육 시스템을 제안한다.
-
휠체어 사용자의 이동을 방해하는 요소에는 도로의 경사도, 보도 턱과 같은 물리적인 장벽이 있다. 하지만 물리적 장벽을 직접적으로 제거하기에는 한계가 있고, 힘든 곳들도 많다. 이러한 도로사정 속에서 휠체어 사용자들의 이동상의 어려움을 줄이기 위해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이동 가능한 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가디안을 제안한다. 가디안은 웹 상의 지도 서비스에 수치지도의 정보를 추가하여 도로 경사도 및 기타 장애시설의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도로마다 색상의 농도에 따른 안전함의 정도를 표시하고, 사용자 참여기능을 이용하여 도로의 돌발상황 상태를 입력하고 확인할 수 있으며, 보호자와의 실시간 연결 기능을 통해 혼자서 이동하는 두려움을 제거하여 안전한 이동의 완성도를 추구하였다. 여기서는 가디안 시스템의 구조 및 구현을 보인다.
-
정보통신 기술은 같은 목표를 가진 사람들의 협조를 증진 시킬 수 있는 신속하며 정확한 의사소통수단을 제공해 주고 있다. 작은 정부인 NGO 역시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많은 사람들의 참여가 이루어졌지만 NGO 간의 정보 공유는 미흡하다. 이러한 시점에서 NGO들이 서로간의 사업 정보를 쉽게 공유하고 협업할 수 있는 웹서비스 시스템인 Smart NGO 시스템을 제안한다. Smart NGO는 현재 대부분의 NGO들이 홈페이지에 등록하는 정보를 활용하여 정보를 교류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Smart Tool이라는 새로운 플랫폼을 이용해 NGO가 쉽게 자신의 사업 정보를 등록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이러한 정보들을 Smart Viewer를 통해 NGO나 일반인이 공유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사람들이 NGO의 활동에 협조하도록 하였다. 본 논문은 이러한 Smart NGO 시스템의 구조 및 구현을 보인다.
-
지식기반 사회에서 교육은 장기적인 발전을 위한 필수 요소이다. 교육을 위해서는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 능력이 필요하다. 이 중 하나라도 충족하지 못한다면 제대로 된 교육을 받을 수 없다. 하지만 전 세계에 존재하는 약 6900여종의 언어 중 6600여종의 언어는 표기할 수 있는 고유 문자가 없다. 읽기 능력과 쓰기 능력을 기르기 위한 최소 조건조차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것이다. 그래서 말은 있지만 문자는 없는 국가에 말을 표기할 수 있는 문자를 보급하여 지식기반 발전의 기반을 마련해 주는 소울(SOUL) 시스템을 제안한다. 소울(SOUL)은 두 가지 기능을 가지고 있다. 문자 교육 기능과, 지식 공유 공간 기능이다. 문자 교육 기능에서는 각 문자가 내는 소리와 조합방법, 그리고 각 문자의 표기법, 표기 순서 등을 익힘으로써 문자를 쉽게 익힐 수 있도록 하였다. SOUL은 말을 표기할 문자로 비교적 익히기 쉬운 언문인 한글을 채택하였다. 그리고 지식 공유 공간 기능에서는 문자를 익힌 사용자가 마치 위키피디아처럼 지식을 기록하고 공유할 수 있어 지식을 축적하도록 도와주도록 설계하였다. 여기서는 소울(SOUL) 시스템의 구조 및 구현을 보인다.
-
최근 휴대전화의 고성능화와 네트워크 인프라의 발달로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유비쿼터스 환경이 조성됨에 따라 LBS 응용정보 서비스 산업이 크게 성장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방문자의 IP Address를 통해 사용자의 Geolocation 데이터를 획득하고 Google Map API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현 위치와 주변의 편의시설 위치를 지도에 표시하며 편의시설 이용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
이 논문에서는 유료 콘텐츠 시장을 위한 양방향 멀티미디어 전자책의 개발 동향이 기술된다. 먼저 기존 전자책의 문제점과 실패 원인이 분석되었으며, 전자책이 최근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인정받고 있는 이유가 실제 사례와 함께 기술되었다. 전자책의 성공을 위해서는 수준 높은 콘텐츠의 제공이 필수적이며, 사용자와의 상호작용도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반영되고 있다. 단순한 형태로 구성된 기존의 전자책과는 달리 양방향성 멀티미디어적인 요소를 이용하여 콘텐츠에 대한 흥미와 학습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차별화된 전자책들이 고가에 소비되고 있다. 앞으로 유료 전자책은 단방향성 지식전달을 위주로 하는 콘텐츠보다는 양방향성 멀티미디어 콘텐츠로 개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3D 및 증강현실 등 최신기술이 적극 활용될 필요가 있다.
-
본 논문은 옵션의 표준 이격도를 정의하고, 이격도에 따른 매매 전략을 제시하며, 이의 수익을 분석하였다. 옵션 가격은 내재가치와 시간가치인 프리미엄으로 분리되는데, 프리미엄은 만기일에 가까워질수록 줄어들어 0에 수렴한다. 따라서 행사가와 선물가격과의 차이와 만기일까지의 잔존시간의 두가지 변수에 대한 옵션 평균 가격을 계산해낼수 있다. 그 평균 가격과의 가격 차이를 표준 이격도라 한다. 기본적인 스트랭글 매도 전략에 진입 시점과 청산 시점에 표준 이격도를 사용하였다. 표준 이격도가 높으면 매도 진입하고 표준 이격도가 낮으면 매수 청산하였다. 2010년 9월물을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약 8%의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었다. 향후에 옵션 표준가격을 추출하기 위한 샘플 기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기존의 M&S 프레임워크는 컴포넌트 간에 송수신되는 메시지의 구조가 유연하지 못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플러그인 기반 아키텍처는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컴포넌트들을 플러그인 형태로 구현하여 컴포넌트간의 결합도를 낮추고 유연성 및 재사용성을 강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아키텍처를 구성하는 각 컴포넌트는 메시지 지향 미들웨어 기반의 메시지 통신을 수행하게 되는데, 플러그인 간에 종속성이 생기지 않는 형태로 설계되고 구현되어야 한다. XML기반의 객체모델은 이러한 메시지 통신에 사용되는 메시지 객체의 구조를 정의한다. 이 객체모델은 사용자 정의 형식을 지원하며 이러한 형식을 조합하여 새로운 복합 형식을 정의하여 메시지 구조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객체 모델에서는 각 사용자 정의 형식과 각 형식에서 사용하는 기본형(Primitive Type)의 클래스를 추상화하여 정의함으로써 객체 모델의 유연성을 높일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
최근들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시스템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다. 아울러 스마트폰 기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들도 나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커뮤니티 및 검색을 바탕으로 스마트폰 기기에서 이동 중에 사용자의 이용성과 편의성을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SNS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커뮤니티 서비스, RSS 뉴스 서비스, 블로그 서비스, 위치 및 약속 서비스, 친구관리 및 채팅 서비스, 검색 서비스 등 다양한 내용을 서비스 할 수 있는 웹기반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서비스는 모바일을 통한 커뮤니티 및 친구간의 약속 및 메신저 기능 등의 SNS을 제공한다. 아울러 기본적으로 날씨, 뉴스, 사전 및 정보검색 등의 편리한 기능을 제공한다.
-
산업의 발전과 경제성장을 바탕으로 대한민국의 자동차 등록수는 매년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와 더불어 자동차 사고 또한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OECD회원국중 교통사고 발생건수가 높은 편이고 사망자수 또한 상위에 랭크되어 있다. 이러한 사망자 수는 각 나라별 교통사고 발생건수 대비 사망자수와 비교시 높은 사망률을 보이고 있다. 또한 자동차 충돌 사고에서 빈번히 발생되는 운전자의 의식불명에 따른 초기 응급조치의 미흡, 뺑소니 또는 사고 후 방치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차량용 블랙박스와 사고발생 통보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가속도센서를 이용하여 사고 발생시 충격 임계점을 계산한 후 사고 발생을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으로 전송한다, 또한, 교통사고 발생 후 환자의 응급 후송 및 2차 교통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의 필요성에 따라 블랙박스를 접목한 차량용 응급상황 감지 및 통보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과 더불어 안드로이드 시장이 급성장함에 따라 안드로이드기반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수요가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그 응용에 보안이 추가된 전자경매응용프로그램은 아직 개선여지가 많다.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기반으로 실시간 경매정보제공과 모바일 경매를 지원하는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에 대한 내용을 기술한다. 또한 웹과 함께 온라인 서비스를 연동하여 지원하기 위해서 xml 과 Json 을 이용하여 서버와 모바일간에 적절한 데이터통신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이 시스템은 전자상품 경매 뿐만이 아닌 실시간 경매를 필요로하는 경매시스템에 모델이 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확장이 기대된다.
-
문항은 지필평가의 핵심요소이다. 문항의 표현은 전통적으로 문항카드를 이용했다. 교육정보화가 발달하면서 온라인 평가 서비스는 다양한 문항의 표현 구조를 만들었으나,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스마트 러닝 환경에 그대로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 논문은 국내의 평가 특성과 스마트 러닝의 이동성을 고려한 문항 표현 구조를 제안한다.
-
미국, 영국, 호주 등은 도로교통시설을 기존의 사후 대응적 방식에서 예방적 유지관리 방식으로 전환하기 위해 자산관리체계를 도입하고 있다. 본 연구는 외국에서 추진하고 있는 자산관리 체계 사례와 자산관리정보시스템과 관련한 연구들 조사, 분석하여 국외의 자산관리정보시스템이 갖는 특성을 조사, 분석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국내 실정에 적합한 도로교통시설의 유지관리를 위한 자산관리정보시스템 도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
IT 기술은 최근 20 년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직무를 수행하는 기술자는 변화하는 IT 기술에 맞추어 자신의 기술능력을 개발하고 학습했다. 하지만, 체계를 갖춘 직무구분, 직무에 필요한 IT 기술요소의 정리 및 효과적인 교육과 향상된 기술력에 대한 적절한 평가 및 검증 체계의 부족함을 인지하고 있다. 일례로 ISP 혹은 HRD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도 결과를 도출하는 자사의 프레임워크는 가지고 있으나, IT 기업에 적용해야 하는 적합한 직무체계 및 기술요소의 분류, 평가 및 검증 체계는 제공해 주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IT 기업의 기술능력 향상에 필요한 체계 및 IT 산업계에서 인정하는 표준 직무, 기술, 평가 및 검증에 대한 방향과 이를 실제 기업에서 적용한 적용사례를 바탕으로 그 효율성에 대한 효과를 보여 주고자 한다.
-
오늘날, 대량의 데이터를 수집,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기술의 진보를 기반으로, 의료, 과학, 교육, 비즈니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발생되는 대규모 데이터를 축적하게 되었다. 다양한 분야에서 축적된 대량의 데이터에 내재된 유용한 정보를 수월하게 추출하여 분석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형식개념분석기법은, 주어진 데이터로부터 정보의 최소단위로써 개념들을 추출하고, 개념들 사이의 관계를 토대로 개념계층구조를 구축하기 위한 정형화된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주어진 퍼지 데이터에 잠재된 유용한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퍼지 집합 이론을 형식개념분석기법에 접목한 퍼지개념분석기법과 이를 지원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개발된 FFCA-Wizard를 소개한다. 또한, FFCA-Wizard를 사용하여 실세계 데이터를 대상으로 퍼지개념분석을 실시한 실험 결과를 보고한다.
-
본 논문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인터넷 사용 및 인터넷 게임 중독 상태를 알아보고 인터넷 게임 중독에 따른 우울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연구 대상자들의 인터넷을 사용하는 주된 목적은 과제나 기타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사용한다고 응답한 경우가 67명(33.5%)로 가장 많았고 두 번째가 게임으로 54명(27.0%)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들의 인터넷 게임 중독 정도에 대한 결과는 일반 사용자 군은 175명(87.5%), 잠재적 위험 사용자 군은 23명(11.5%), 고위험 사용자 군은 2명(1.0%)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들의 우울 정도에 대한 결과는 정상 상태가 172명(86.0%)으로 나타났고 약간 우울한 상태가 11명(5.5%)이고 상당한 우울 상태가 7명(3.5%)으로 나타났으며 매우 심한 우울 상태는 10명(5.0%)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들의 중독 정도에 따른 우울 정도에 대한 결과는 일반 사용자 군에서도 약간 우울한 상태인 대상자가 8명(4.6%)이고 상당한 우울 상태인 대상자는 5명(2.9%)이고 매우 심한 우울 상태인 대상자도 7명(4.0%)이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잠재적 위험 사용자 군에서도 약간 우울한 상태인 대상자가 3명(13.0%)이고 상당한 우울 상태인 대상자도 2명(8.7%)이며 매우 심한 우울 상태인 대상자도 1명(4.4%)으로 나타났고 고위험 사용자 군에서는 2명(100.0%) 모두 매우 심한 우울 상태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수업역량향상을 위해 최근 각 학교별 수업행동분석실을 갖추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수업행동분석실은 많은 비용, 시연자와 분석자에 대한 시공간적 제약, 비효율적인 피드백 방법, 사후 자가분석 어려움 등 많은 문제가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 수업행동분석시스템 설계를 통해 물리적 공간 설치의 비용을 절감하고 전문가 참여를 위한 시간적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
이러닝이 활성화 되면서 LMS의 중요성이 부각되어 제공 기능이 확대되고 활용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공개소프트웨어 LMS인 무들은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다양한 학습 기능이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무들 커스터마이징은 조직의 특성과 운영 방식 및 학습자의 특성에 맞도록 인터페이스 및 기능을 수정이 필요하다. 논문에서 제시하는 무들 커스터마이징 방법에는 사용자 관리, 강좌 관리, 기능 구성 관리, UX 관리 등이 있다. 무들을 커스터마이징하므로써 조직의 특성과 운영 방식 및 학습자의 특성에 맞도록 무들을 적용할 수가 있다.
-
인터넷과 정보기술의 발전으로 최근 이러닝 시스템을 포함한 다양한 학습 시스템이 연구 발전되고 있다. 학습자의 관점에서는 학습의 형태 혹은 학습자의 학습 패턴등을 분석하여 지능적인 학습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교수자의 관점에서는 교수학습 모델 연구와 학습 컨텐츠 계발 방법론 연구 등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능형 튜터링 시스템을 위한 메타러닝 설계 연구를 제안하였다. 메타러닝은 학습자 자신이 어떤 특성을 가지고 어떻게 학습하는지에 대해 학습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한다. 동일한 학습내용을 같은 순서 혹은 같은 방법으로 학습하는 것은 서로 다른 학습자에게 동일한 학습 결과를 나타낼 수 없기 때문에 개인 맞춤형 학습 서비스 형태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메타러닝 설계를 기반으로 지능형 튜터링 시스템을 개발 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향후 본 논문에 설계를 기반으로 지능형 튜터링 플랫폼을 표준으로 개발하여 국제적 표준의 ITS(Intelligent Tutoring System)로 발전되기를 기대한다.
-
기존의 Mobile 환경과 다르게 Smart Phone 의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누구에게나 쉽고 빠르게 제공이 될 수 있다. 이런 Smart Phone 의 취지에 맞추어 보았을 때 여러 사람에게 누구나 제공 될 수 있는 강의 제공 방식의 필요성이 대두 된다 할 수 있다. 어떤 특정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기 보다는 여러 사람들에게 양질의 contents 를 제공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OCW(Open Course Ware)의 contents 를 Smart Phone 에서 제공하는 SNOWmini 라 명칭한 모바일 개방형 강의 컨텐츠 제공 웅용 소프트웨어를 제시한다.
-
중요한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인트라넷 서버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공공기간에서는 최근에 인터넷과 인트라넷을 물리적으로 분리하여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물리적으로 분리된 네트워크로 인해 서버간의 데이터 전송에 어려움이 발생하였다. 사용자들이 인터넷 자료를 인트라넷에서 사용하고 싶을 때 또는 그 반대의 경우에 자료교환이 불편하고 처리시간도 많이 소요되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분리된 인터넷과 인트라넷간에 사용자들이 손쉽게 자료를 교환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분리된 네트워크간에 대용량 파일의 효과적인 송수신 및 e-mail 을 발송할 수 있는 자료교환 아키텍처를 제안하고, 구현한 내용을 다루었다. 자료교환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사용 편의를 제공하였고, 자료교환을 위한 행정처리 시간도 감소되었다.
-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밤 길 치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드로이드 기반의 모바일 밤길 지킴이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먼저 위험 상황에 있는 사용자가 간편한 조작으로 현재의 위험을 자신이 설정해 놓은 지인에게 알릴 수 있게 한다. 위험 메시지를 받은 보호자는 현재 위험에 처해 있는 사용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전화를 걸거나, 주위 사람들에게 신속하게 위험을 전파하여 효과적인 대처가 가능하고, 관공서에 현재 사용자의 위치 정보, 사진 및 음성과 함께 위험을 알릴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사용자들이 위험 신호를 감지하였던 위치 정보를 저장하여 다른 사용자들이 이 장소에 접근하면 경고 알림을 제공하여 범죄 가능성에 대해 인지하도록 주지시킨다. 정확한 위험 감지와 빠른 피드백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가 믿고 쓸 수 있는 범죄 예방 서비스를 제공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GPS 수신기를 내장한 스마트폰 사용자를 대상으로 위치 기반 서비스와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중고물품 거래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 시스템은 GPS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해당 위치를 중심으로 주변의 가까운 장소에 등록되어있는 판매물품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Twitter)와 연동하여 물품 거래 사용자간의 물품에 대한 의견, 신뢰도 확인, 적정 가격 설정, 관심 물품에 대한 빠른 소식을 공유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
IT 기술의 혁신과 저변 확대로 모든 조직들이 정보시스템 구축을 통해 업무의 성과창출 및 생산성 제고 등의 효과를 거두고 있으며, 이에 정보시스템의 규모는 점점 방대해지고 투자비용은 지속적으로 증대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정보시스템에 대한 유지 관리 부문의 비용도 급증하고 효율성 측면에서도 문제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특정기관의 정보시스템 유지 관리 부문 중에서도 특히 아웃소싱에 대한 문제점과 비효율성을 진단하고 개선점을 도출하여 효율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FTA 원산지 관리를 체계적으로 할 수 있는 프로세스기반 원산지관리시스템을 소개한다. 본 시스템은 BPM 을 기반으로 FTA 원산지 판정을 하는 최초의 시스템으로, 원산지판정절차를 프로그램 소스 코드로 작성하는 것이 아니라 프로세스 모델링 방식으로 정의하여, 사용자가 원산지판정 로직을 작성하기가 용이하며, 변경된 절차를 수정하고 관리하기에 편리하다.
-
최근 SocialNetworkService(이하 SNS)시장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SNS클라이언트에 접속하는 사용자 역시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 폰은 언제 어디서나 SNS에 포스팅을 하여 여러 사용자들과 의견을 나눌 수 있다는 점에서 비교적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본 논문은 스마트 폰에서 제공되는 카메라와 GPS기능을 활용하여 사진을 촬영 할 때 촬영 주변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가 원하고자 하는 정보를 제공 해 주며, 사용자에게 맞춤정보 제공해 주기 위해 SNS와 연동하여 어플리케이션 사용자들 간의 자유로운 정보 공유도 가능하게 하였다.
-
정보기술(IT)의 발전과 더불어 정보시스템이 조직의 업무환경 개선, 생산성 향상, 업무의 효율성 및 효과성을 제고함에 따라 그 규모가 방대해지고 복잡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IT 기술력이 업체의 생존과 시장 경쟁우위와 밀접한 관계를 갖으면서 이를 뒷받침하는 정보화 자원도 복잡해지고 다양해짐으로써 정보화 자원간의 상호 운영성, 통합관리체계, 시너지 효과 등이 중요한 사안으로 부각되어 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EA를 기반으로 기관에서의 정보화자원을 효과적으로 체계적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PLC 기반의 LNG 플랜트 Stimulator 를 설계하였다. 시뮬레이터와 제어 시스템간의 연계를 구현하기 위한 기본 플랫폼과 구성 요소를 설계하였고 개발 방법론도 정립하였다. 이 설계안을 기반으로 향후 시스템 구축이 완료되면 제어 로직 검증에 활용할 계획이며 이는 LNG 플랜트의 경제성과 안전성 확보에 일조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
-
디지털 교과서 상용화 시범 사업은 다양한 학습 지원 도구들과 사회 각 분야의 최신정보, 지식DB등을 활용하여 교실에서 참여형 학습을 실행할 수 있는 사업이다. 현재 디지털 교과서는 유통되고 있는 페이지 단위의 e-book형태가 아닌 확장 가능 구조로 개발되어 있어, 기존의 e-book 단말기나 e-book reader 프로그램에 바로 적용할 수 없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디지털 교과서 단말기의 요구 사항과 기존 단말기의 구현기능을 분석하여, 개선된 단말기의 기능과 규격을 제시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교실 교육 환경을 제안한다.
-
A controlled medical vocabulary is a vital component of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because it enables computers to use information meaningfully and different institutions to share the medical data. There are currently many standard medical vocabularies - SNOMED-CT, ICD-10, UMLS, GALEN, MED, etc, but none is universally accepted as an optimal controlled medical vocabulary for application to medical information system. Moreover, it is difficult to settle the well-designed local data dictionary consisting of controlled medical vocabularies for the individual hospital information system (HIS). One of the major reasons is the local terminology with poor contents have been used in the hospital. Thus, as a trial, the local controlled vocabulary referencing system has being constructed in a limited medical field - nuclear medicine. We selected practical nuclear medicine terms from interpretation reports and electronic medical records, and removed ambiguity and redundancy, mapping the selected terms to standard medical vocabularies. Relationship and hierarchy structure between terms have being made, referring to standard medical vocabularies. Further studies may be warranted.
-
최근 어플리케이션의 이용자 수가 크게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창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그러한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도난방지에 관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서술하며, 그에 따른 iOS의 세부적 기능인 APNS와 GPS 및 가속센서를 이용한 도난 방지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였다.
-
본 논문은 선형회귀(LR: Linear Regression)와 국부적인 방사기저함수 네트워크(RBFN: Radial Basis Function Networks)를 결합한 점진적인 모델(incremental model)의 설계와 관련되어진다. 전형적인 RBFN에 의한 모델링과는 달리, 제안된 방법의 근본적인 원리는 두 단계에 의해 고려되어진다. 첫째, 전체 모델의 설계과정에서 전역적인 모델로써 선형회귀에 의해 데이터의 선형부분을 구축한다. 다음으로, 모델링 오차는 오차가 존재하는 국부적인 공간에서 RBFN에 의해 보상되어진다. 여기서, 오차의 분포로부터 RBFN을 설계하기 위해 컨텍스트 기반 퍼지 클러스터링(CFC: Context-based Fuzzy Clustering)를 통해 정보입자의 형태로 구축되어진다. 실험은 자동차 mpg 연료소비량 예측과 부동산 가격예측문제를 통해 제안된 방법의 우수성을 증명한다.
-
본 논문에서는 패턴인식을 이용한 의류의 결함을 자동으로 탐색하는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이는 히스토그램을 기반으로 하여 영상의 특징을 추출하고 템플릿 매칭을 이용해서 패턴을 추적하도록 하였스며, 또한, SSIM(Structural Similarity) Index를 통해 추적된 패턴과 원 패턴의 유사도를 HVS(Human Vision System)을 기준으로 하여 결함을 판별할수 있도록 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경제학, 사회학, 수학 분야에서 수십년 전부터 연구해오던 죄수의 딜레마 게임의 협동진화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반복적 죄수의 딜레마 게임은 게임이론의 가장 기본적인 이론으로써, 사회적 상호작용, 경제활동, 국제관계 등 다양한 현상들을 모델링 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다. 그 중에 N명이 참가하는 반복적 죄수 딜레마 게임의 전략은 유전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s, GAs)을 통해 진화적으로 만들어 낼 수 있으며, 이 경우에 그 결과를 일반적인 내쉬 균형 이 아닌, 모든 개체들이 유전알고리즘을 통해 협동으로 수렴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는 사실은 상당히 시사하는 바가 크다. 기존에 주로 연구되어오던 죄수의 딜레마 게임은 협동으로의 수렴과정에서 일반적으로 순위기반선택(Rank-based selection)과 1점 교배기법(1point crossover)을 사용한다. 그러나 순위기반선택은 모든 개체에 순위을 매겨야 하기 때문에, 개체수가 커질수록 성능이 저하되며, 1점 교배기법은 개체 값이 분산되어있을 경우, 최적해(Optimal solution)을 찾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어, 개체수가 많은 경우에 적용하기에는 비효율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토너먼트 선택기법(Tournament selection)과 자기 적응형 교배기법(Self-adaptive crossover)을 적용한 새로운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기존 기법과 비교 실험을 통해 제안기법이 기존기법에 비해 평균 수렴시간과 수렴 횟수에서 뛰어난 성능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정부의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스마트 그리드 분야가 대두되고 있다. 전기사용량 절약, 전력 예비율 확보와 전력망의 신뢰성 확보를 통해 에너지 자원의 효율적 이용이 필요한 시대이다. 산업현장의 차단기를 디지털화하고, 각각의 전력 정보를 자동으로 수집하여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설계함으로써 효율적인 전력 관리 및 긴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산업현장의 전력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 설계를 바탕으로 타 분야에서도 응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
전술적 경로찾기에서는 거리나 시간 요소 외에 여러 가지 전술적 요소를 포함한 비용 함수를 사용하여 경로를 탐색한다. 경로찾기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A* 알고리즘의 경우, 현재 노드에서 목표까지의 추정값을 의미하는 휴리스틱 함수를 이용하는데 대표적인 허용가능 휴리스틱(admissible heuristic)인 유클리디안 거리(Euclidean distance)를 전술적 경로찾기에서 이용하는 경우, 탐색 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이는 거리이외에 전술적 요소까지 더해진 실제 비용에 비해 직선 거리만을 고려한 휴리스틱 값이 현저하게 작은데 기인한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A*를 이용하는 경로찾기에서 탐색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두 가지 휴리스틱을 제안하고 이들의 허용성을 분석하고 방문 노드수 비교를 통해 탐색 성능을 비교한다.
-
본 논문에서는 클러스터 측정(Cluster Measurement)과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문서 클러스링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유전자 알고리즘의 요소를 클러스터링에 대입하고 클러스터 측정을 적합도 함수에 대입하여 문서 클러스터링을 구현하였다. 성능 평가를 위하여 한국일보-20000/한국일보-40075 문서범주화 실험문서집합의 데이터 셋을 이용하였다. 클러스터링 성능 평가 결과 AS Index가 DB Index, RS Index 보다 좋은 성능을 보여준다. 또한 제안한 알고리즘이 K-means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에 비교해 안정적으로 좋은 성능을 보여준다.
-
A Development of the Context-Based Information Service Agent Considering Contextual Change over TimeLim, Jae-Kwon;Lee, Soo-Hong;Park, Myon-Woong;Sohn, Young-Tae;Kim, Jae-Kwan;Bae, Il-Ju;Ahn, Won-Bin;Lee, Tae-Woo 494
상황기반 정보제공 에이전트는 주위의 상황을 인식하고 상황에 적합한 정보를 능동적으로 제공해주는 서비스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말한다. 상황기반 정보제공 에이전트는 현재의 상황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그 상황에 적합한 정보를 추천해야 하기 때문에 상황인지 기능, 상황인식 기능, 정보검색 및 추천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프로야구에서 상황기반 정보제공 서비스 실현을 위해 상황기반 관전포인트 제공 시스템을 구현한 사례를 소개하였고, 구현에 있어 시간에 따른 상황변화를 정의할 수 있는 지식화 모델 구조를 제시하였다. 그 결과 이전 프로야구에서 제공되고 있는 일방적이고, 제한적인 관전포인트 제공 서비스를 개선할 수 있었다. -
현대의 기계기술이 고도화됨에 따라 기존의 시스템과 비교하였을 때, 더 많은 부 시스템들과 연계하여 동작하며, 다양한 센서를 활용하고, 운용의 흐름이 복잡하여 사용자는 시스템의 운용, 정비를 위한 많은 양의 지식을 소화하여야 하며, 작업도중 수시로 크고 작은 실수를 범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존 장비정비 시스템의 보다 현존감 있는 정비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써 증강현실기술을 적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장비정비의 대상이 되는 객체에 3D 가상모델을 합성하고 추가적 정보를 증강하여 사용자에게 작업수행에 대한 예시를 보여줌으로서, 현장에서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게 하였다. 둘째, 장비정비에 대한 도메인 지식을 전문가 시스템으로 구축함으로서, 문제 발생 시 추론을 통한 해결방안을 생성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세부 작업계획을 생성함으로서 지능적인 정비시스템을 구축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 환경에서 개인 사용자 편의 서비스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가 되는 작업 계획 모델 및 실행 모델을 제시하고, 이 모델을 활용하여 Android 플랫폼에서 개발된 자동 작업 실행 체계인 Smart Script 시스템의 설계와 구현에 대해 소개한다.
-
본 논문에서는 지문과 얼굴정보를 이용한 다중 바이오인식 기술(Multi-modal Biometric Technology)을 이용한 운전면허학원 근태관리 시스템 구현에 대해 논한다. 지문인식은 Neurotechnology사의 Free Fingerprint Verification SDK를 사용하였으며, 얼굴인식은 얼굴검출 단계에 Adaboost, 특징추출 단계에 Gabor Wavelet Transform을 이용하였다. 마지막 단계인 인식단계는 두 특징벡터 간의 유클리디언 거리를 이용한다. 두 바이오정보를 통한 인증(Verification)의 결정여부는 AND규칙을 이용하여 두 가지의 바이오정보 인증과정을 모두 통과하여야만 최종 인증확인이 되도록 구현하였다. 성능테스트는 10명의 적은 테스트 집합을 이용하였으며 지문과 얼굴정보를 각각 이용하였을 때보다 두 정보를 결합하였을 때 더 나은 인식률을 보였다.
-
IT기술의 발달과 함께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자에게 지능적이고 적응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다. 특히, 데이터 마이닝은 이와 같은 서비스를 위한 방법으로 유용하게 사용되며, 수집된 데이터로부터 숨겨진 패턴을 찾는데 빈번하게 이용된다. 하지만, 수집된 데이터에 예상하지 못한 정보가 섞여 있다면 분석이 어렵고, 분석 결과 또한 신뢰하기 어려울 것이다. 기존에는 수집 데이터에서 의미 없는 데이터를 선별하여 제거하는데 주로 연구 되었으나, 유용한 데이터도 함께 제거될 수 있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수집 데이터를 의미 정도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고, 의사결정나무 생성에 반영하였고, 실험을 통하여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
온톨로지는 시맨틱 웹의 핵심 기술로써 시맨틱 웹이 소개된 이후 다양한 온톨로지 생성 방법의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온톨로지는 작성이 어렵고 난해한 면이 있어 소수의 전문가 집단에 의해서만 만들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웹 2.0 기반 환경에서 사용자들이 생성한 온톨로지를 수집하여 대중 온톨로지를 완성하는 새로운 온톨로지 생성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집단지성을 이용한 최적화 기법 중 한가지인 ACO 를 온톨로지 생성 분야에 적용시켜 전문가가 아닌 일반 사용자들이 작성한 낮은 수준의 온톨로지를 모아 완성된 형태의 온톨로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을 통해 만들어진 온톨로지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전문가 집단이 만든 온톨로지에 대해 정확도와 재현율을 계산하여 보인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방법은 복잡하고 난해한 기존 온톨로지의 제작 방법의 단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하며 대중적으로 시맨틱 웹이 활용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
기업 정보 시스템에서의 근태 및 식수 관리와 같은 인적 자원 관련 업무는 개인의 업무 성과 관리를 위한 중요한 기초 자료로써 이에 대한 중요성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많은 기업에서는 이러한 시스템들이 분산되어 운영됨에 따라 자료의 일관성 확립하고 신뢰성 있는 자료를 획득하기 어렵다. 또한 이로 인한 추가적인 중복적 업무 부담이나 불필요한 인력을 소모하게 됨에 따라, 기업에서는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인적 자원 관리가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바코드 기술의 대체물로 각광받고 있는 RFID 기술을 적용하여 기업 인력을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ERP와 연계를 통한 RFID 기반의 인적 자원 관리 시스템"을 제안하고 구현한다. RFID 기술이 가지고 있는 비접촉성, 편리함, 자체 데이터 저장 능력을 활용하여 제안된 시스템을 실제 중소기업에 적용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인적 자원을 관리할 수 있었다. 또한 기존의 시스템과 제안된 시스템의 비교 및 평가를 통해 제안된 시스템의 효율성을 보인다.
-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서비스를 개발하는데 협업모델이 중요한 주제로 연구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한 방법으로 커뮤니티 컴퓨팅 모델을 MDA(Model Driven Architecture)에 기반하여 개발하고 있다. MDA에 기반한 커뮤니티 컴퓨팅 모델을 PICM(Platform Independent Community Model)에서 PSCM(Platform Specific Community Model)을 거쳐 최종 프로그램으로 개발된다. 본 논문에서는 PICM에서 PSCM으로 변환되는 방법을 규칙에 기반하여 제안하고 이를 구현한다.
-
오늘날의 인터넷은 웹 2.0 의 출현으로 인하여 콘텐츠의 생산주체가 서비스 제공자에서 서비스 수요자인 사용자들로 변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의 경험은 콘텐츠의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소셜 네트워크에서 취득한 콘텐츠는 검색으로 취득한 콘텐츠보다 신뢰를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사용자들에게 양질의 콘텐츠를 추천하기 위한 방법과 그 개발을 보인다. 소셜 네트워크는 XML 기반의 사용자 프로파일 기술 언어인 FOAF 를 이용하여 수집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와 사용자 사이의 관계를 수집한다. 그리고 웹 콘텐츠 출판언어인 RSS를 이용하여 각 사용자들이 블로그 등을 통해 배포한 콘텐츠를 수집한다. 본 논문에서 보이는 시스템은 FOAF 와 RSS 를 기초로 입력된 키워드에 대해 사용자와 콘텐츠의 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콘텐츠를 추천하는 기능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 보이는 시스템은 전통적인 콘텐츠 추천 시스템과 달리 사용자가 속한 소셜 네트워크에서 콘텐츠 생산자가 대한 중요도가 반영되므로 보다 신뢰성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
효과적으로 군집 로봇을 제어하기 위해 리더 로봇을 선정하여 특별한 역할을 부여하는 방법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효과적인 지형 탐사를 위해 군집 로봇 그룹의 리더를 관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그룹에 리더가 없는 경우와 리더를 선정한 경우로 나누어 2차원 지형을 탐사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지형을 탐사하는 과정에서 리더 로봇이 동작 불능 상태가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는데, 이때에는 그룹의 리더를 교체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룹의 리더를 관리하는 방법을 시뮬레이션 환경에 적용하여 실험한 결과, 리더가 없는 경우보다 지형 탐사 성공률이 훨씬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웹 2.0의 적극적인 도입에 따라 소셜 네트워크 기반 커뮤니티 사이트에서는 관련된 콘텐츠를 적절하게 추천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들의 동향 및 이슈 추출 기법이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다. 이러기 위해서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콘텐츠에 포함된 키워드 매칭 방법을 이용하고 있으나 사용자들 간의 연결 관계와 키워드의 중요도를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FOAF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와 del.icio.us에서 제공하는 소셜 북마크 데이터를 기초로 소셜네트워크 분석을 보이며 이를 통한 사용자들 사이에서 중요하게 부각되는 핫 이슈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핫 이슈 추출 방법을 활용하면 사용자들의 관심 분야 동향파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맞춤형 마케팅 및 콘텐츠 추천이 가능해 진다.
-
군집로봇은 어떤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여러 로봇이 함께 움직이게 된다. 이렇게 여러 로봇이 함께 작업을 수행하다 보면 로봇 간의 충돌을 피해야 할 경우가 발생한다. 각 로봇은 주어진 환경을 인식하고 모델링하며 로봇들 간에 충돌을 피하여 주어진 임무를 효과적으로 이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이 연구의 핵심이다. 로봇 간 충돌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충돌 전 다양한 위치와 다양한 방법으로 충돌을 피할 수 있도록 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카메라 센서와 위치정보 통신을 이용한 방법을 통해 군집로봇간의 충돌 회피에 대해 연구하였다.
-
상황인지 시뮬레이션이란 상황자료의 수집, 추론 및 결론 도출의 과정을 실제 환경이 아닌 가상의 시뮬레이션 환경 안에서 실험해 볼 수 있는 것을 말하며, 상황인지 기술과 DEVS(Discrete Event System Specification), 페트리-넷(Petri-Net)등의 기반 기술이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들이 보다 편리하게 상황인지 시스템을 구축하고 실제보다 적은 시간으로 구축된 시스템을 실험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통합 개발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자 한다. 시뮬레이션 통합 개발 프레임워크 특징으로는, 첫째 상황인지를 위한 추론 기능을 가지는 에이전트와 시뮬레이션 기능들을 플러그인 및 라이브러리로 제공할 수 있고, 둘째, 통합환경 안에서 제공되는 도구들을 사용하여 사용자들이 보다 편리하게 개발 및 실험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상황 아키텍처를 위한 모델 표현 계층,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을 위한 연산 계층,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위한 인터랙션 계층, 그리고 시뮬레이션 계층인 4-계층구조의 통합개발환경을 연구하였다.
-
모바일은 사용자의 여섯 번째 감각의 도구로써 신체의 일부가 되고 있으며 사용자의 감정이나 행동패턴 등의 상황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의도나 요구사항을 예측할 수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감정을 포함한 다양한 상황을 인지하고 감정과 상황에 따른 사용자의 행동을 추론할 수 있는 상황인지 스마트 폰을 제안한다. 상황인지 스마트폰은 카메라에서 입력된 사용자의 얼굴 영상을 통해 감정을 인지하고 감정에 따른 행동과 그 때의 상황정보를 조합하여 히스토리 DB에 축적된다. 또한 현재의 감정과 상황 정보에 따라 과거의 히스토리DB를 비교 분석하고 현재의 행동을 추론한다. 이것은 사용자에게 고차원적인 서비스를 제공해줄 수 있다. 상황인지 스마트폰은 감정을 인지하는 감정인지 매니저와 상황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컨텍스트 매니저, 행동을 추론하는 추론 매니저로 구성된다.
-
인터넷의 발달과 유통되는 정보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그 속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효과적으로 얻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어 왔다. 그 중에서 사용자에게 적합한 상품을 추천하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추천 시스템이 매우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추천 시스템의 핵심적인 방법들과 발전 방향을 다양한 측면에서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최근에 자주 사용되어지는 효과적인 추천 시스템의 장단점을 비교하여, 추천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환경에서 최적화된 방법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기존의 추천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한계와 그 극복 방안에 대하여 모색해 보았다.
-
최근 행위인식 기술은 u-헬스케어 분야를 통해서 실용화되는 단계에 이르고 있다. 실생활에 적용단계에 있는 행위인식 시스템은 기존의 서버 및 데스크톱 환경에서 벗어나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수행되도록 변해가고 있다. 모바일 환경에 적합한 행위인식 시스템은 행위인식 센서 및 모바일 행위인식 기기의 저전력화와 모바일 기기에 적합한 행위인식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논문은 모바일기기 기반의 스마트 환경에 알맞은 행위인식 시스템을 위해 행위인식 알고리즘 경량화 기법 연구를 수행한다. 행위별 최적의 낮은 주파수를 사용하여 센싱에 소요되는 자원을 줄인 경량화된 행위인식 방법을 제안하고 또한 주파수 변화에 따른 윈도우간 적절한 오버랩 구간 설정 방법과 윈도우에서의 특징 검출 시 오버랩 구간의 중복 연산을 제거한 경량화된 특징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는 행위 별 최적의 낮은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력을 줄이면서도, 서로 다른 주파수의 데이터임에도 인식률은 그대로 유지됨을 보인다.
-
무수히 많은 정보가 쏟아져 나오는 시대에 살고 있는 웹 사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여과기법의 연구는 큰 중요성을 갖는다. 이런 기법엔 크게 내용 기반 여과방식과 협업적 여과방식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이들 각각은 서로 장,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이를 병합한 기법의 연구는 필수적이다. DB 의 WAL 기법과 진화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좀 더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추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폭소노미에 기반한 태깅기법 및 패턴인식, 온톨로지(ontology) 기법의 연구를 통해 기존의 한계를 보완하여 향후 더욱 개선된 여과 기법을 기대할 수 있다.
-
고성능의 보급형 디지털 영상장비와 레이저프린터의 보급으로 인해 인쇄물의 불법적인 위변조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고, 관련 범죄 또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디지털 포렌식 기술에 기반한 촬영 및 인쇄기기 식별 기술들이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쇄기기별 특성에서 기인하는 인쇄물의 노이즈 특성을 이용해 인쇄기기를 판별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산 웨이블릿 변환과 위너 필터를 이용한 노이즈 특성 추출 방법을 설명하고, 추출된 노이즈 특성에서 명암도 동시발생 행렬을 계산하고 왜도, 첨도, 공분산, 상관계수의 특징을 추출하였다. 추출한 특징을 서포트 벡터 머신에 적용하여 디지털 인쇄기기의 제조사와 모델을 판별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의 성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7대 프린터에서 각 371장씩 출력된 총 2,597장 이미지로 실험하였고, 제안한 알고리즘이 기존 방법에 비하여 높은 정확률을 나타냄을 보였다.
-
의학과 기술 발달로 인해 질병과 사고에 의한 사망률은 줄어들었으나, 심장 관련 질환에 의한 사망률은 증가하였다. 심장 질환을 예방하는 데는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심장기능을 분석하고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심장 기능의 분석은 이완기와 수축기 사이의 혈류량 및 심박구출률 계산을 통한 심장 운동능력 평가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심장 단축 자기공명영상에서 좌심실 영역을 자동 분할하여 혈류량 및 심박 구출률을 계산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K평균 군집화 기법을 적용하여 좌심실을 분할하고, 그래프 탐색 기법에 기반하여 분할 오류를 수정하였다. 15명의 지원자에 대해 제안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혈류량과 심박구출률을 계산하였고, 수동윤곽검출 및 General Electronics 사의 MASS 소프트웨어와 비교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의 수동윤곽검출과 차이는 혈류량의 경우 평균적으로 이완기에
$4.6mL{\pm}3.9$ , 수축기에$2.1mL{\pm}2.4$ 로 나타났고, 심박구출률은$1.8%{\pm}1.7$ 이었다. 전반적으로 MASS소프트웨어에 비해 좋은 성능을 나타내었다. -
일반적으로 얼굴 인식 방법에는 템플릿 기반 통계적 기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 방법들은 2차원 영상을 고차원 벡터로 표현하여 특징을 추출한다. 그러나 많은 이미지와 비디오 데이터는 본래 텐서로 표현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벡터 표현보다는 직접적인 텐서 표현으로 특징들을 추출하기 위해 텐서 얼굴의 다선형 주성분 분석(MPCA: Multilinear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기법을 이용한 동영상 기반 얼굴인식에 대해 다룬다. 마지막으로, u-로봇 테스트베드 환경에서 구축된 얼굴 인식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제안된 방법과 기존 방법들의 인식처리시간과 성능을 비교한다.
-
본 논문은 인터넷에서 사용자가 물품을 구매하고자 할 때 구매를 원하는 것의 상품평을 미리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구매 물건의 동종 모델에서 어느 제품을 구매하여야 할지 사용자의 선택이 어려운 경우 고객의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고자 해당 상품을 이미 구매한 고객들의 의견 중에서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 중 어떤 성격이 더 강한지를 판단하는 상품평 분석 도구이다. 본 프로젝트에서는 사용자의 물품 구매를 돕는 상품평 분석 도구의 기능은 첫째, 인터넷 게시판과 블로그(blog)의 글을 수집하고, 이를 분석해서 긍정/부정/보통의 의견들을 그래프로 표시하여 구매 의사 결정에 도움이 준다.
-
본 논문은 SNR 이 매우 낮은 저조도 영상의 잡음 제거를 위한 새로운 기술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술은 입력 영상에서 파라미터를 자동/적응적 방식으로 추정하는 알고리즘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하는 기술의 효율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질적인 환경에서 취득한 저조도 동영상들을 가지고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기술을 활용하여 적응적으로 추정된 파라미터가 필터링(filtering) 성능을 잘 유지시킴을 검증하였다. 또한 기존 연구들과 비교할 때 저조도 동영상의 명암대비 향상과 잡음 제거에 우수한 결과를 보임을 검증하였다.
-
콜센터의 고객문의는 복잡하여 기존 검색 시스템으로는 고객의 문제점을 신속하게 찾아 상담에 적용하는데 문제가 많았다. 온톨로지를 구축하고 시맨틱 검색을 제공할 경우 보다 보다 좋은 검색 기능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되나 콜센터의 상담지식은 내용이 매우 복잡하여 그 텍스트의 내용을 완벽하게 온톨로지로 표현하는 것은 쉽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온톨로지 기반으로 구축된 지식베이스의 데이터 검색과 함께 그와 가장 관련성이 높은 문서를 출력하기 위해 문서를 온톨로지와 링크하여 어노테이션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시스템을 적용한 상담에서 상담원들의 생산성이 향상되고 고객 만족도를 높이는 결과를 확인했다.
-
본 논문에서는 동영상을 대상으로 하는 시각 주의 탐색에 대한 새로운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기존의 공간 주의 모델에 새로운 시간 특징 추출 모듈을 추가함으로써 색상 및 명암, 형태, 방위와 같은 공간 특징 외에 움직임과 같은 시간 특징을 추가로 사용한 시각주의 탐색 모델이다. 기존 시스템과 가장 큰 차이점으로 공간 특징의 가중치 결합 방법과 움직임 특징 추출방법, 공간과 시간 특징 간 결합방법에 있다. 시스템의 성능평가를 위하여 다양한 환경의 영상을 대상으로 실험하였고 제안하는 시스템은 영상에서 사람이 시각적으로 중요하게 인지하는 영역과 부합되는 결과를 보였다.
-
이차원 바코드는 인식이 편리하고 영상의 변이나 손실에 강인하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장치에서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이차원 바코드의 한 종류인 데이터매트릭스를 검출하고 인식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모바일 안드로이드 환경에서 빠른 속도로 검출 및 인식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JNI를 이용하여 C로 기능을 구현하였다. 먼저, 이차원 영상을 이진화한 후 연결 성분 탐색을 통해 바코드 후보영역을 추출한다. 그리고 직선을 검출하여 데이터매트릭스의 주요소인 L 인식 패턴과 타이밍 패턴을 찾는다. 각 패턴을 이용하여 바코드 영역의 꼭지점을 찾아낸 후, 회전이나 기울어짐을 정규화하여 정사각형 형태로 교정한다. 그 후, 타이밍 패턴을 기준으로 데이터 영역을 인식한다.
-
본 논문에서는 CCTV 감시 환경에서 얼굴 이미지를 이용하여 영상에 저장된 범죄 용의자 또는 특정한 시간대에 출입한 사람들을 검색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감시 영상을 효율적으로 검색하기 위하여 사람의 얼굴이 나타난 장면을 기반으로 감시 영상을 분할하였으며, 최근 얼굴 인식 분야에서 성공적인 업적을 보여주고 있는 신호 처리 분야의 SRC 를 이용하여 얼굴 검색 모듈을 구성하였다. 자체 제작한 KUFD(Korea University Face Database)와 CCTV 환경의 얼굴 인식 기반 검색 시스템 환경을 캠퍼스 내에서 모의 구축하여 제안된 시스템의 성능을 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감시카메라 환경에서 취득한 오디오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여, 비정상 상황을 인식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단일클래스 SVM의 대표적인 모델인 SVDD와 최근 얼굴 인식 분야에서 성공적인 업적을 보여주고 있는 신호 처리 분야의 SRC를 계층적으로 결합한 구조로써, 첫 번째 계층에서는 SVDD로 비정상 소리를 신속하게 탐지하여 관리자에게 알람 경고하고, 두 번째 계층의 SRC는 탐지된 비정상 소리를 유형별로 세분화 식별하여 관리자에게 비상 상황을 보고함으로써 관리자의 위기 상황 대처를 돕는다. 제안된 시스템은 실시간 처리가 가능하며, 점증적 갱신의 학습 능력으로 인하여 비정상 오디오 데이터베이스의 변화에도 능동적으로 적응할 수 있다. 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시스템의 성능을 검증한다.
-
본 논문에서는 의료영상 중 X-ray 영상을 대상으로 영상을 분류하고 분류 결과에 따라 다중 키워드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X-ray영상은 대부분 그레이 영상임으로 Local Binary Patterns (LBP)을 이용하여 픽셀간의 연관성을 특징으로 추출하고, 실시간 학습 및 분류가 가능한 Random Forests 분류기로 영상들을 30개의 클래스로 분류한다. 또한, 미리 정의된 신체 부위간의 관계 가중치를 분류 스코어에 결합하여 신뢰값을 생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영상에 대해 다중 주석을 부여하게 된다. 이렇게 부여된 다중 주석은 키워드 기반의 의료영상을 가능케 함으로 보다 쉽고 효율적인 검색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
인터넷 검색 사이트는 사용자들이 검색한 단어들의 순위를 매기는 실시간 검색 순위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검색되는 단어들의 순위를 매기기 위해서는 각 단어들의 분포도를 알 수 있는 어절 빈도 계산을 수행해야 한다. 어절 빈도는 BST(Binary Search Tree)를 수행하여 계산할 수 있는데, 사용자에 의하여 검색되는 단어들은 길이와 그 형태가 다양하여 빈도 계산시에 BST 의 깊이가 깊어져서 계산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문자 해시를 이용하여 깊이가 깊은 BST 의 탐색 속도를 개선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으로 빈도 계산 속도를 비교하였을 때 문자 해시의 범위에 의해 1KB 의 추가적인 기억공간의 사용하여 9.3%의 성능 개선 효과가 있었고, 해시 공간을 10KB 추가로 사용할 때는 24.3%, 236KB 일 때는 40.6%로의 효율로 BST 의 빈도 계산 속도를 향상 시킬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이미지 필터링 효과를 적용한 이미지들을 3D tomogram으로 만들었을 때 어느 정도의 효과적인 복원이 가능하고 또 어떤 해상도의 필터를 사용했을 때 더 나은 결과를 얻어 낼 수 있는 지 확인하기 위해 진행하였다. 전자현미경으로 2D tilted image들을 찍는 과정에는 고전압의 사용으로 인한 다소의 오류들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오류를 상쇄시키고 3D tomogram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Gaussian low-pass filtering을 사용하였다. 또한 Gaussian low-pass filtering 내에서도 어떤 해상도 값의 필터링을 사용해야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지 확인하였다.
-
두 영상에서 특징점을 추적하기 위하여 특징점을 중심으로
$N{\times}N$ 크기 윈도우 패치의 SSD 값을 비교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영상에서 다수의 특징점이 추출되어 매칭을 시도하는 경우 많은 처리 시간을 필요로 한다. 처리 시간의 증가는 실시간 처리를 어렵게 만든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적분 영상(integral image)을 사용하여 매칭 가능성이 높은 특징점을 필터링하여 SSD 매칭의 처리 시간을 단축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적분 영상을 사용한 특징점 필터링을 적용한 방법과 기존의 SSD 매칭 방법을 비교 실험하여 특징점 매칭의 처리 시간을 절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최근 스마트 폰을 이용한 사용자들이 생성하는 사진 데이터의 양이 급속히 증가하였다. 폭발적인 사진 데이터 양의 증가는 사용자가 원하는 사진에 대한 접근을 어렵게 하였다.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사진의 접근 및 관리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폭소노미를 통한 태그 추천 시스템을 안드로이드 모바일 플랫폼과 서버의 연계로 구현하였다. 구현된 애플리케이션은 25,000 장의 사진을 기반으로 하는 폭소노미를 통해 태그 추천을 하며, 태그 추천에 평균적으로 5.5 초의 시간이 걸렸다.
-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움직임 추정(motion estimation, ME) 방식을 사용한 프레임 비율 변환(frame rate conversion, FRC) 기법에 대해 제안한다. 기존의 프레임 비율 변환을 위한 움직임 추정 방식은 영상 압축에서 사용되고 있는 SAD를 사용하여 블록(block) 단위로 움직임 벡터를 추정하는 방식에 기초를 두고 있다. 그러나 잔여 신호(residual signal)를 저장하는 영상 압축과 달리, 잘못된 움직임 추정은 합성된 출력 영상에서 심각한 품질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움직임 개선(motion refinement, MR)이 사용되고 있지만,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정확한 움직임 추정 알고리즘 사용이 필요하다. 특히 SAD를 통한 움직임 추정은 고르지 못한 움직임 벡터장(motion vector field, MVF)을 형성할 수 있으며, 종래의 연구에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SAD(sum of absolute difference)에 벡터의 공간제약(spatial constraint) 항목을 추가하여 비교적 고른 움직임 벡터장을 형성하는 방식이 제시되었다. SAD와 공간 제약 항목의 반영 비율에 따라 움직임 벡터의 중요성과 움직임 벡터장의 일관성이 서로 상충하는데, 기존의 방식은 이 비율을 일정한 상수(constant)값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방식은 이미지의 특성에 따라 결과가 달라진다. 본 논문에서는 SAD와 공간 제약 항목 사이의 반영 비율을 이미지의 특성에 적응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움직임 예측을 제시하고, 수행한 결과를 기존의 방식에 의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
최근 고성능 모바일 단말기와 다양한 컨텐츠가 등장하면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모바일 프로젝터는 장소의 제한을 받지 않고 큰 화면을 다른 사람과 공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단말기를 직접 제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환경에서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영상 정보만으로 사용자가 스크린에 비추는 레이저 포인터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색상 감지와 움직임 감지로 나뉜다. 단일 프레임에서 영상 성분의 평균을 이용한 조건을 검사하여 레이저 포인터 색상 영역을 검출하고, 인접한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과의 차를 구하며 그 차이가 임계값보다 큰 영역을 움직임 영역으로 검출한다. 마지막으로 색상 검출 영역과 움직임 검출 영역을 동시에 만족하는 영역을 최종적으로 레이저 포인터 영역으로 인식한다. 본 기법은 영상 정보만 사용하기 때문에 센서나 불필요한 장비를 착용할 필요가 없고 영상 성분 평균을 이용하므로 프로젝터 성능에 따른 조도의 변화에 강건하여 효과적인 레이저 포인터 검출이 가능하다. 실험결과는 주변 조명의 밝기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 80% 이상의 검출률과 16% 미만의 오검출률의 성능으로 나타났고, 이 같은 결과는 사용자의 주관적인 만족을 보장하였다.
-
전통사회가 근대화 되면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의 전반적인 발전이 이루어졌다. 농촌지역들이 도시화 되면서 새로운 건물들이 지어지고 기존의 건물들이 증축되면서 건물은 점점 높아지고 대형화 되었다. 또한 건물들이 밀집되면서 한 곳에서 발생한 화재가 건물 내에서 번지거나 또는 주변 건물 등에 옮겨 붙어 대형화재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이 증가되고 있다. 대형 화재를 예방 하고 화재사고의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화재를 조기에 감지하는 화재감지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화재가 발생 될 때 나타나는 화재의 특징들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화재를 조기에 판단하기 위한 조건을 알아본다. 또한 이러한 조건들에 부합되는 최근의 연기 및 화염 감지 시스템의 연구 동향에 대해 알아본다.
-
This paper proposes a novel feature extraction method for unsupervised multispectral image segmentation based in one dimensional combined neighborhood differences (1D CND). In contrast with the original CND, which is applied with traditional image, 1D CND is computed on a single pixel with various bands. The proposed algorithm utilizes the sign of differences between bands of the pixel. The difference values are thresholded to form a binary codeword. A binomial factor is assigned to these codeword to form another unique value. These values are then grouped to construct the 1D CND feature image where is used in the unsupervised image segmentation. Various experiments using two LANDSAT multispectral images have been performed to evaluate the segmentation and classification accuracy of the proposed method. The result shows that 1D CND feature outperforms the spectral feature, with average classification accuracy of 87.55% whereas that of spectral feature is 55.81%.
-
본 논문에서는 Fringe Pattern profilometry(FPP)을 이용한 높이 측정 시스템을 구현하고, R, G, B 각 컬러 채널별로 위상이 다른 파형을 인가함으로써 Phase shifting 방법을 이용한 실시간 위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한다. 디지털 프로젝터의 비선형성으로 인해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하모닉스 성분을 근사화된 정현파를 인가함으로써 높이 정보에서 가장 큰 문제를 발생하는 2차 하모닉스 성분을 줄인다. 이렇게 구한 위상 값을 Digital Phase Loop Lock(DPLL)회로에 인가함으로써 3차원 모양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 가능하게 한다.
-
본 논문에서 Pan, Tilt 카메라를 이용한 객체 추적을 위하여 초기 지역정보를 이용하여 객체를 검출하고 검출된 객체의 색 정보를 이용하여 능동 객체를 추적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외부 환경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적응적인 가우시안 혼합 모델링을 이용하여 배경과 객체를 분리한다. 객체가 정해지면 카메라가 이동하는 동안에도 추적이 가능한 CAMShift 추적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객체를 실시간으로 추적한다. CAMShift 추적 알고리즘은 객체의 크기를 계산하므로 객체의 크기가 변하더라도 유동적인 객체 판별이 가능하다. Pan, Tilt의 위치는 구좌표계(Spherical coordinates system)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이렇게 구해진 Pan, Tilt 위치는 Pan, Tilt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객체의 위치를 화면의 중심에 놓이게 함으로써 적합한 추적을 가능하게 한다.
-
최근 IPTV 시스템에서 다양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IPTV 컨텐츠 메타데이터의 효과적인 전송과 처리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를 위해 TV-Anytime forum 에서는 대용량 IPTV 메타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필수적인 바이너리 인코딩 기법으로서 MPEG-7 에 포함된 인코딩 방식인 BiM 을 권장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상용 기술로서 사용시 로열티가 부과되는 BiM 을 대신하여 XML 문서의 인코딩을 위한 W3C 의 개방형 표준인 EXI 를 기반으로 TV-Anytime 메타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설계하고 BiM 기반의 시스템과 성능을 비교하였다.
-
영어권에서는 통계적 기반 의미 오류 검사기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나 한국어에서는 자주 나타나는 오류를 중심으로 오류 단어를 검사할 문맥이나 공기정보를 갖는 규칙 기반의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본 논문에서는 표제어나 사전 기반 범주화 정보로 표현되고 있는 기존 문법 검사기의 성능을 개선하는 방안으로 한국어 명사 어휘 의미망인 KorLex를 활용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특히, 용언은 목적어나 주어에 사용되는 명사의 표제어가 의미 제약 조건으로 사용되는 예가 많다. 본 논문에서는 용언의 의미 제약 조건을 명사 표제어 단위에서 명사 의미 그룹(class) 단위로 확대하여 문법 검사기의 의미 오류 검사 규칙의 의미 오류 제약 조건을 일반화 하는 방안을 연구한다.
-
본 논문에서는 영역분할을 이용한 3D입체영상의 밝기 보정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입력된 좌우 3D입체영상 중 우 영상을 이진화를 통한 영역분할을 하고 크기가 작은 영역들은 제거한다. 영역단위의 매칭을 할 때 영역경계에서 발생하는 불연속성을 제거하기 위해서 모폴로지 필터로 영역경계지역(contour region)을 일정부분 제거한다. 우 영상의 각 영역들에 대해 대응되는 좌 영상내의 영역을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한 정합을 통해 추출한다. 좌우 영상의 영역 간 히스토그램 명세화를 수행함으로써 우 영상의 밝기 보정을 한다. 실험에서 좌 영상으로부터 블록단위 움직임보상으로 우 영상을 생성했을 때 제안한 방법이 블록평균 정합오차가 가장 작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Seo, Kyoung-Won;Kang, Deok-Hyun;Bae, Jung-Su;Jang, Yong-Jo;Yean, Yong-Hem;Lim, Soon-Yong;Min, Ji-Seon;Kim, Bong-Hyun;Ka, Min-Kyoung;Cho, Dong-Uk 648
웰빙의 바람을 타고 이제 자신의 건강을 관리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흡연에 대한 좋지 않은 인식이 높아지면서 금연의 열풍이 강하게 불고 있다. 하지만 금연을 한다고 해도 주위의 담배연기는 우리 몸의 건강을 해치기 때문에 담배연기로부터 해방되기는 매우 어렵다. 실제로 흡연하는 배우자를 가진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심장병 발생률은 40%, 폐암 발생률은 30%가 더 높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간접흡연이 인체의 조음기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간접흡연에 따른 음성의 변화를 측정하고 비교, 분석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간접흡연 전과 후의 음성을 수집하여 음성분석학적 요소 기술 중 Pitch, Jitter, Shimmer 등의 성대 진동 요소를 적용하고 인체 내의 공명기관을 분석하는 Formant를 적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여 간접흡연이 음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
Seo, Kyoung-Won;Bae, Jung-Su;Kang, Deok-Hyun;Jang, Yong-Jo;Yean, Yong-Hem;Lim, Soon-Yong;Min, Ji-Seon;Kim, Bong-Hyun;Ka, Min-Kyoung;Cho, Dong-Uk 652
관상학이란 사람의 인상을 관찰하여서 사람의 운명을 판단하고, 그 얻어진 결론을 가지고 길흉의 방법을 구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사람은 누구나 다른 사람을 볼 때 그 사람의 아름다움이나 추함보다는 인상이 눈에 먼저 들어오는 것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그 얼굴에 인상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곳 중 제일은 인당 일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외모만으로 성격을 판별하거나 몸매 혹은 얼굴생김에서 직관적 인지를 얻어내는 관상학을 통해 인당의 크기에 따른 성격을 영상 처리 기술로 구현하였다. 즉, 인당은 눈썹과 눈썹사이의 가운데 부분을 말하며, 미간이라고도 부른다. 이와 같은 인당의 크기에 따라 성격의 주요 5대 특징과의 상관성 분석을 통해 눈썹에 따른 성격의 차이를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
Seo, Kyoung-Won;Jang, Yong-Jo;Kang, Deok-Hyun;Bae, Jung-Su;Yean, Yong-Hem;Lim, Soon-Yong;Min, Ji-Seon;Kim, Bong-Hyun;Ka, Min-Kyoung;Cho, Dong-Uk 656
오늘날 현대 사회에서 여가생활시간이 늘어나고 이에 따라 사람들은 잦은 커피타임을 갖고 있으며 이로 인해 커피의 섭취량이 날로 늘어나고 있다. 날로 늘어나는 커피 섭취량과 같이 커피의 주성분인 카페인 섭취량 또한 날로 증가 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카페인의 성분과 효능, 인체에 미치는 영향 정도와 음성에 관여하는 정도 등에 대한 결과를 추출하여 실질적으로 카페인이 음성에 미치는 요소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음성분석 프로그램인 Praat를 사용하였으며 성대의 변화량과 몸 속의 공명음인 Formant를 실험 요소로 적용하였다. 데이터 자료에서 유용성을 입증하고 문제점 해결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실험에 의해 제안한 방법의 활용성을 입증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
현대사회에서 정보통신 분야는 전략산업이며 일상생활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잡고 있으며 이를 대표하는 것이 모바일 관련 분야라 할 수 있다. 특히, 휴대폰은 단순한 통화 기능 외에 다양한 기능들이 지속적으로 추가되면서 이를 활용한 분야가 다양화되어 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최근에 가장 보편화된 이동통신 수단이 휴대폰에 내장되어 있는 카메라에 대한 각 제조사별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각 제조사별 휴대폰 카메라의 Hot Pixel, Dead Pixel을 검출하고, 빛의 3원색인 RGB 체계를 분석하여 객관적인 성능 비교를 실험하였다.
-
3D 입체영상의 후반작업에서 색보정은 전체의 화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과정이다. 기존의 색보정 방법들은 좌, 우영상 중에서 히스토그램을 바탕으로하여 어느 한쪽을 기준으로 일치성을 강화하는 처리를 한다. 히스토그램을 기반으로 색보정을 하는 경우, 충분한 색온도 변환이 이루어 지지 않는 단점이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히스토그램을 사용하지 않고 색온도 변환을 중심으로 색보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In this paper, we present a novel automatic algorithm for scalp and skull segmentation in T1-weighted head MR images. First, the scalp and skull part are constructed by using intensity threshold. Second, the scalp outer surface is extracted based on an active level set method. Third, the skull inner surface is extracted using a canny edge detection algorithm. Finally, the fast sweeping, tagging and level set methods are applied to reconstruct surfaces from the detected points in three-dimensional space. The results of the new segmentation algorithm on MRI data acquired from eight persons were compared with manual segmented data. The average similarity indices for the scalp and skull segmented regions were equal to 84.42% for the test data.
-
초음파 영상은 다른 의료 진단 방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용이 적게 들고 데이터 획득이 용이하기 때문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초음파 영상은 획득 방법에 따라 화질이 차이가 난다. 고식적 초음파 영상에 비해 두 배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하모닉 영상은 대조도나 해상도가 향상되고, 영상 내 잡음이 감소한다. 그래서 초음파 영상을 이용한 진단 과정에서 병변의 특징을 육안으로 정확하게 관찰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진단 결과의 정확성이 향상된다. 본 논문에서는 초음파 영상의 획득 방법의 차이에 따른 진단 성능의 차이를 컴퓨터를 이용한 병변 분류 성능을 통해서 비교했다. 이를 위해서 초음파를 통해서 획득한 영상에서 병변의 형태 및 질감 특징을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병변을 분류하는 시스템 구성하였다. 실험을 통해서 하모닉 초음파 영상을 이용한 컴퓨터 기반 분류 방법이 고식적 초음파를 이용한 방법에 비해서 6% 정확성 향상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새로운 마커형태인 2D Grid 마커와..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마커 트래킹 기술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제안하는 2D Grid 마커는 가변 비트의 표현이 가능하며 회전방향의 인식이 가능하다. 그리고 내부 비트 연산을 통하여 서로 다른 마커를 구분 할 수 있게도 해준다. 일반 웹카메라를 적외선 카메라로 변환하여 영상을 처리하였고, 적외선 파장의 영상을 사용하여 에러율을 감소시키고 인식률을 증가시켰으며 비가시화 영역인 적외선 잉크로 인쇄된 부분도 인식될 수 있도록 하였다.
-
피부 영역 검출 기술은 생체 인식 기술의 하나로서 얼굴 자동 인식 혹은 손 모양 자동 인식 등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색상을 이용하여 피부 영역을 검출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피부색 샘플을 이용해 구해진 피부색 모델을 이용한다. 하지만 피부색은 사람마다 다르고, 조명과 같은 주변 환경의 영향도 받기 때문에 다양한 영상에 하나의 고정된 피부색 모델을 적용하여 피부 영역을 검출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영상 피드백 방법을 이용하여 영상에 적응적인 피부색 모델을 구한 뒤 이를 적용하여 피부 영역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본 논문은 영상 내에서 영역을 분할하여 영상 잡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을 통해 잡음 영상을 영역 분할 경우 잡음부분까지 영역 분할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잡음 영상을 저대역(Low-pass) 필터를 통과함으로써 잡음을 최소화한다. 저대역 필터를 통과한 영상에서 에지를 추출하여 비정상적인 에지의 추출을 방지함으로써 영상이 가진 근본적인 에지를 정확하게 추출한다. 획득한 에지 정보를 바탕으로 각 영역간의 히스토그램의 평균 오차를 이용하여 영역을 분할한다. 분할된 영역은 각 영역별로 저대역(Low-pass) 필터를 통과시킴으로써 영역에 맞는 잡음 제거를 통해서 더욱 빠르고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본 논문의 방법은 기존의 학습을 통한 잡음 제거 방법과 다르게 학습 시간이 요구되지 않으며, Non-local Means의 방법과 다르게 큰 연산량을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유사한 성능으로 빠른 잡음 제거를 할 수 있다.
-
본 논문에서는 우즈베케스탄 사람을 대상으로 한국의학에서 사용되고 있는 사상체질진단법을 적용하여 실험하였으며, 먼저 설문조사방법으로 체질을 진단하는 QSCC II(Questionnaire for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II)라는 진단기구와 음성분석으로 체질을 진단하는 PSSC(Phonetic System of Sasang Constitution)를 사용하여 체질을 진단한 후, 한국인과 마찬가지로 우즈베키스탄인들에게도 적용이 가능한지를 살펴보았다. 실험결과 우즈베키스탄인도 사상체질로 분류됨을 보았다.
-
본 논문에서는 입체영상 기법과 파노라마 영상 기술을 접목한 입체 파노라마 영상을 애너그리프 방식의 실린더 형태로 구현할 때, 애너그리프 합성 후 파노라마 스티칭 하는 방법과 파노라마 스티칭 후 애너그리프 합성하는 방식 두 가지로 각각 구현 해보고, 두 결과 영상의 Depth map 을 생성하여 입체감 형성 정도 및 왜곡 정도를 분석한다.
-
자연언어처리에서 어의 중의성 해소(word sense disambiguation)는 어휘의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기술로 기계번역, 정보검색과 같은 여러 응용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어휘의미망(Korlex)을 이용한 비감독 어의 중의성 해소 방법을 제안한다. 의미미부착 말뭉치에서 추출한 통계 정보와 한국어 어휘의미망의 관계어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자료 부족문제를 완화하였다. 또한, 중의성 어휘와 공기어휘 간의 거리 가중치, 의미별 사용 정보 가중치를 사용하여 언어적인 특징을 고려하여 본 논문의 기반이 되는 PNUWSD 시스템보다 성능을 향상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어의 중의성 해소 방법의 평가를 위해 SENSEVAL-2 한국어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중의성 어휘의 의미별 관계어와 지역 문맥 내 공기어휘 간의 카이제곱을 이용하였을 때 68.1%의 정확도를 보였고, 중의성 어휘와 공기어휘 간의 거리 가중치와 의미별 사용 정보 가중치를 사용하였을 때 76.9% 정확도를 보여 기존의 방법보다 정확도를 향상하였다.
-
피부 이미지의 여러 가지 특징들 중 주름은 피부의 상태를 판단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주름을 추적하기 위해 확대경으로 촬영된 원본 이미지에서 질감 대비 증가, 노이즈 제거 등의 전처리 과정을 수행한 후 Watershed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주름을 선분으로 표현하였다. 이렇게 생성된 주름의 깊이, 너비, 길이 등은 피부 분석 시 특징 정보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주름과 주름이 연결되어 이루는 다각형을 논문에서는 셀(Cell)이라고 정의하는데 그것의 크기나 개수 같은 정보도 추출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주름으로 만들어진 셀들은 실제와 다르게 과분할 되는 경향을 보인다. 과분할 된 셀들은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피부 상태를 판단하는 결과의 정확도를 떨어뜨린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인지하고 차후 정확한 셀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확장성 측면에서 각 셀들을 개체화시키고 과분할 된 셀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본 논문에서는 블로그의 포스트로부터 주요 키워드를 추출하여 노래 가사 데이터와 유사도를 분석, 해당 블로그 포스트에 적합한 음악을 추천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블로거가 포스트마다 제시한 태그들도 주요한 키워드로서 활용한다. 이를 위해서, 첫째로 TF-IDF 기법을 사용하여 텍스트로 구성된 포스트의 중요 키워드를 추출한다. 둘째로 포스트의 태그와 추출된 키워드를 기반으로 유사한 노래 가사를 LSA 기법으로 검색하여 가장 높은 유사도를 갖는 음악을 선택, 적합한 음악으로써 추천한다. 사용자 만족도 평가 실험을 통해서 제안하는 기법이 실제 추천에 적합한지 검증한다.
-
An eigen color co-occurrence approach is proposed that exploits the correlation between color channels to identify the degree of image similarity. This method is based on traditional co-occurrence matrix method and histogram equalization. On the purpose of feature extraction, eigen color co-occurrence matrices are computed for extracting the statistical relationships embedded in color images by apply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on a set of color co-occurrence matrices, which are computed on the histogram equalized images. That eigen space is created with a set of orthogonal axes to gain the essential structures of color co-occurrence matrices, which is used to identify the degree of similarity to classify an input image to be tested for various purposes. In this paper RGB, Gaussian color space are compared with grayscale image in terms of PCA eigen features embedded in histogram equalized co-occurrence features.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presented.
-
본 논문은 음주에 대한 안면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는 것으로 색 분석에 있어 CIE Lab 색체계를 사용하고 이를 통한 색차 기반의 색 변화 측정을 통해 실험을 진행하고자 한다. 실험을 위해 음주 전 후의 안면 영상을 수집하여 이에 대한 영역 분할을 통해 안면 상의 색 변화에 대한 반응도에 대해서 분석해 보고자 한다.
-
본 논문은 한 장의 이미지로 카메라와 물체 사이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일정한 거리 차이를 가지는 이중 평면 거울을 물체와 카메라 사이에 45도 각도로 위치 시킨 후 이미지를 얻게 되면 동일한 물체에 대해서 일정한 거리 차이가 나는 두 장의 이미지를 얻게 되는 효과를 가진다. 이 정보의 차이를 삼각측량법에 적용시키면 거울과 물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한장의 이미지로 거리를 측정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실시간 처리가 가능한 하드웨어로 구현 하였다.
-
비디오 클립은 최근 온라인 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짧은 동영상으로 이러한 동영상 클립의 대규모 유입으로 유사한 비디오 클립을 검색하는 동영상 검색 엔진의 필요성이 크게 증가하였다. BCS은 최초의 단일 비디오 클립 표현 모델로 비디오 클립을 주성분 분석을 통해 얻어진 좌표축들을 그 위로 사상된 데이터들로 제한한 것들로 이루어진 좌표계로 요약한다. 그러나 BCS 은 영상의 순서를 무시한 벡터로 표현되므로 세밀한 유사도 구별이 불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유사한 동영상에 대한 사람의 판단은 서로 유사한 일부분이 많이 존재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는 점에 착안하여 하나의 동영상 클립을 샷 단위로 나누어 여러 개의 BCS 으로 나타낸 다음, 이들간의 유사도 측정을 통해 검색의 성능을 높이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만족할 만한 정확도로 유사한 동영상 클립을 검색해 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본 논문은 자연어로 기술된 기업 업무문서를 제한된 자연어로 변환하는 실험에 대해 기술하고 변환과정에서의 문제점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방법을 제시한다. 제한된 자연어는 어휘 및 문법의 제약을 가지는 자연어로 그 제약으로 인해 보다 정형적인 표현과 기계 처리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기계와 인간 사이의 고차원적인 인터페이스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업무 문서를 대상으로 한 본 실험의 결과는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지난 몇 년 동안 인터넷을 비롯한 각종 미디어 산업에서 사용자가 직접 제작한 콘텐츠라는 의미를 지닌 UCC(User Created Content)가 주목을 받았다. UCC는 사용자가 직접 이미지, 비디오 등의 형태로 제작한 콘텐츠를 말하는데, 이러한 UCC는 인터넷의 발달과 함께 크게 성장하게 되었으며 이제는 단순한 미디어나 콘텐츠로서가 아닌 하나의 산업으로 인정받기 시작했다. 또한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성과 체험적 형태를 지닌 상호작용 UCC가 등장함에 따라 이제는 UCC는 우리 생활과 밀접한 연관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최근 들어 각광을 받고 있는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스마트폰과 상호작용 UCC와의 융합적 접근으로 스마트폰 터치스크린 안에서의 체험형 UCC를 어떻게 제작할 것인지를 알아본다. 기존의 컴퓨터의 모니터를 통해서만 상호작용이 가능하였던 점에서 탈피하여 공간적 제약을 극복하고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기존 UCC와 새로운 스마트폰 터치스크린의 정보 기술과의 효과적인 융합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그 동안의 UCC 파급효과를 보았듯이 UCC는 남녀노소 누구나 손쉽게 즐길 수 있다. 이러한 UCC가 최근 주목을 받고 있고, 사용자수가 급증하고 있는 터치스크린 기반의 스마트폰을 통해서 다시 한 번 UCC 시장에 활기를 불어넣을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상호작용 UCC를 통해서 기존의 UCC 매체인 모니터를 이용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것보다, 스마트폰의 장점과 강력한 특징인 터치스크린을 잘 살려 스마트폰을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
Seo, Kyoung-Won;Bae, Jung-Su;Kang, Deok-Hyun;Jang, Yong-Jo;Yean, Yong-Hem;Lim, Soon-Yong;Min, Ji-Seon;Kim, Bong-Hyun;Ka, Min-Kyoung;Cho, Dong-Uk 728
현대 사회에서 운동 부족의 원인은 바로 빠른 삶을 추구하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성향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런 현대사회에서 빠른 삶을 추구할수록 사람들은 단기간에 많은 효과를 보려고 무리한 운동을 한다. 갑작스러운 운동은 우리 몸에 이로운 것이 아니라 스트레스를 쌓이게 하고 이렇게 쌓인 스트레스는 고혈압, 심근경색, 뇌졸중 등 심혈관계 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위험요인이다. 혈압은 정서적 긴장이나 주위 환경 및 활동에 따라서 변동하기 때문에 갑작스런 운동은 혈압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갑작스런 운동량에 따른 혈압 변화와 얼굴색과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운동량에 따른 혈압 변화와 얼굴 영역 추출 후 얼굴영역에 나타나는 색상 변화를 Lab 값 중 a값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음악 데이터 베이스에서 노래의 특정 구간과 가장 유사한 구간을 검색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에서는 음악을 다차원 시계열 데이터로 간주하고, 음악의 조성 차이 및 템포(tempo) 차이를 고려한 음악의 유사도 계산 방법을 사용한다. 유사도 계산의 전처리 단계에서 조성 차이를 보정하고, 비트(beat)를 검출하며, 추출된 크로마그램(chromagram)을 검출된 비트와 동기화 하여 평균한다. 이후, 동적 시간 왜곡(DTW; dynamic time warping)을 사용하여 두 구간사이의 유사도를 계산한 후 계산된 유사도 순서로 정렬된 검색 결과를 출력한다. 사용자는 제안된 시스템을 사용하여 선택 구간 유사도 검색과 자동 유사 검색 결과로 도출된 구간 쌍을 검토하여 유사 구간을 보다 쉽게 찾을 수 있다.
-
본 논문에서는 배경영상과 교차로 내의 신호등의 주기를 이용한 교차로 교통 사고 감지 방법을 제안한다. 교차로 내의 객체의 움직임 궤적 정보, 객체의 움직임 정보에 기반한 배경영상 생성과 교차로 신호등 주기를 이용하는 사고 감지 방법으로 구성된다. 환경적인 잡음과 카메라의 잡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객체를 개별적으로 추적하지 않고 사고를 감지 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의 성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로에 설치된 DVR을 통해 다양한 환경의 사고영상을 저장하여 실험한 결과 모든 동영상에서 사고를 감지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비젼에서 특징점 추적을 이용한 끼어들기 위반차량 검지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끼어들기 위반차량 검지 시스템의 전체적인 알고리즘은 영상 변환 및 전처리, 특징 추출, 추적대상 차량의 특징점 등록 및 추적, 끼어들기 위반차량 검지 등의 단계로 구성된다. 특히 형태학적 기울기 영상에서 특징점을 추출하므로 써 주간 및 야간 영상에 대해 동일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그림자, 기상 조건, 차량 전조등 및 조명 등에 강인한 실시간성이 가능한 영상 검지 시스템을 구성 한다. 제안한 시스템을 끼어들기 금지구간에서 주간, 야간, 비 오는 날 야간에 취득한 영상을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정인식률 99.49%와 오류율 0.51%를 보였으며, 실시간처리에 문제가 없는 초당 91.34프레임의 빠른 처리속도를 나타냈다.
-
운율구 경계 예측은 TTS(Text-To-Speech) 엔진이 정확하고 자연스러운 음성합성을 하기 위해 꼭 필요한 기술이다. 하지만,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적 자원을 많이 요구하는 기술이기 때문에 실행 환경의 제약을 많이 받는다. 본 논문에서는 소형 전자제품과 같이 제한된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실현되는 경량화 운율구 경계 예측 시스템의 개발 과정과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운율구 경계 예측 시스템의 필수 요소인 형태소 분석기의 경량화와 전통적인 규칙 기반 운율구 경계 예측 기술과 달리 품사 분석과 구문 분석이 필요하지 않은 운율구 경계 예측 기술을 소개한다.
-
문서 내에 존재하는 개체들 간의 관계를 자동으로 추출할 때 다양한 형태의 문서 분석 결과를 활용할 수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문장 내에 존재하는 각 단어의 predicate-argument 관계를 분석하여 자질로 활용하는 PAS 패턴 기반 관계 추출 시스템을 제안한다. 관계 종류별로 구축된 PAS 패턴 집합을 활용하여 관계 식별기를 개발하였고, 실험을 통하여 개발된 관계 식별기의 성능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개체 간의 유의미한 관계를 표현해주는 PAS 패턴이 관계 추출 작업에 유용한 정보임을 알 수 있었다.
-
본 논문에서는 위상차 현미경 영상 내 U87 세포의 정확한 형태학적 분류를 위한 이진 분류기 구축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방법은 Fourier descriptor 기반 세포형상 표현을 SVM 이진분류기 구축에 사용함으로써 분류 대상인 원추형과 원형세포에 대해 영상 내 세포의 위치와 회전, 크기의 변화에 대해 강인한 분류성능을 제공한다. 본 실험을 통해 polynomial 커널에서 학습된 SVM 분류기가 linear, RBF, sigmoid 에 비교하여 가장 정확한 분류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논문상 기준인 두 종류의 세포 형태 분류기를 기반 프레임워크로 삼아 좀더 다양한 세포 형태를 분류할 수 있도록 개선된다면 악성뇌종양의 전이억제치료에 효과적인 전이행동분석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질의 확장은 초기 검색결과에서 질의와 연관된 단어를 선택하여 질의를 확장함으로써 검색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법이다. 페이지 랭크(PageRank) 알고리즘은 웹문서 사이의 링크구조를 이용하여 문서들의 상대적인 중요성을 측정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문서들 사이의 관계가 아니라 문서 안에서 단어 그래프(Word Graph)를 통해 단어들 사이의 상대적인 중요성을 계산하였다. 질의와 가까이 위치한 단어들 사이의 관계를 단어 그래프에 적용하여 중요도를 계산하고 확장단어를 선택한다. 본 논문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웹문서 집합인 TREC WT10g 에 대해 실험하였고, 적합모델(Relevance Model)보다 MAP(Mean Average Precision)가 4.1% 향상되었다.
-
본 논문은 스테레오 시각에서 3차원 정보를 얻기 위해 지역적 특징 정보를 이용한 유전 알고리즘 기반의 다해상도 스테레오 영상 정합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스테레오 영상에서 대응점을 찾아 변위를 계산하는 문제는 최적화 기법으로 해결할 수 있다. 최적화 문제 해결에 우수한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해 조밀한 변위도를 구하고 정합의 효율성을 위해 계층적 다해상도 구조를 적용하여 영상 피라미드를 만든다. 그리고 변위도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변위 전파 과정에서 지역적 특징 정보를 추출하여 이용한다. 실험을 통해 제안한 방법이 변위 탐색 시간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정합의 타당성이 보장됨을 확인하고자 한다.
-
특정 시간에 동시 연주된 다수 음원의 onset 을 검출하기 위해서는 음원 분리 문제가 선결되어야 한다. 특히, 드럼과 같은 조음(?音) 악기 신호 검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음원 분리 방법의 성능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음원 분리 방법으로 알려진 확률적 은닉 성분 분석(PLCA) 방법에 기반한 주요 악기 신호의 onset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효과적인 onset 검출을 위해, 첫째, 확률적 은닉 성분 분석으로 훈련 된 비음수 주파수 성분 중 최적의 성분을 선택하는 방법을 적용하고, 둘째, 드럼 악기 신호의 정확한 onset 검출을 위해 고안된 비음수 시계열 신호 threshold 방법을 적용한다. 실험에서는 제시된 방법을 이용하여 드럼의 주요 악기 신호 onset 검출 성능이 향상됨을 보인다.
-
시각 정보는 사람이 정보를 획득 하는데 가장 주요한 수단이다. 시각이라는 수단을 상실한 시각장애인을 위하여 흰 지팡이, Navbelt, MELDOG 등의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연구의 일환으로 점자 블록 검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다. 기존 색상 기반 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스테레오 비전 시스템을 이용하여 장애물이나 벽면을 제거하고, 2차에 걸친 필터링 시스템을 적용하여, 보다 정밀한 후보 영역을 검출하였다. 그리고 윈도우를 이용하여 보행로 판단에 적용함으로 직선의 보행로만 아니라 교차로 형태의 보행로 인식에서도 안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초대형 부유식 해상 구조물(Very Large Floating Structure) 및 상부 구조물의 동적거동을 실시간 그래픽환경에서 가상 목업을 이용해 가시화하였다. 구조물 자체의 탄성 변형이 고려된 유탄성 응답해석 결과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실시간 가시화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을 소개하였으며, 3 차원 환경에서의 VLFS 및 해양파 가시화 결과와, VLFS 및 상부구조물 거동의 연동 결과를 소개하였다.
-
최근 인간과 컴퓨터간의 상호작용을 위한 사용자 의도 및 행위 인식에 관한 비전 기반 연구가 진행됨에 따를 이를 조작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터치 인터페이스도 제안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터치 인터페이스의 유용성 및 효율성을 검중하기 위하여 FTIR 방식의 멀티 터치 인터페이스(MTS)를 구현하고 검증하였다.
-
Self-calibration에서 3차원 좌표의 복원은 호모그래피 행렬 H를 계산하면 얻을 수 있다. 이 호모그래피 행렬을 얻는 방법은 dual absolute quadric, Kruppa Equation(dual conic), plane at infinity(modulus constraint)를 사용하는 방법과 같이 세 가지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제안하는 방식은 dual absolute quadric을 사용한다. 카메라 내부 속성이 모든 뷰에서 동일하고 비틀림이나 영상의 원점이 중심이라는 가정을 두고 호모그래피 행렬 H를 계산한다. 실험을 통해서 주어진 가정으로 정밀한 복원이 가능함을 보였다.
-
최근 세계적으로 소셜 네트워킹에 대한 관심과 스마트폰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사용자를 위한 다양한 인터페이스가 요구되고 있다. 항상 사용자의 손이 닿는 곳, 바로 옆에 위치한 모바일 단말기에서 다양한 센서를 집약하여 감정을 인식하고 인식된 정보와 위치 정보를 결합하여 세계적으로 관심이 높은 소셜 네트워킹의 인터페이스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
최근 시맨틱 웹의 등장과 발전은 웹 2.0의 발전과 더불어 새로운 웹의 문화를 바꾸어 놓았다. 시맨틱 웹의 적용분야는 다양하지만 그중에서 의미 정보 검색과 다국어 정보 검색 기술을 통한 다국어 지원 번역이 연구 분야로의 필요성이 있다. 기존 기계번역이 번역률에 있어서 가장 큰 한계점은 단어 의미 중의성과 문법적은 오류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시맨틱 웹과 단어 의미 중의성을 해소 시킬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함으로써 단점을 제거하여 번역률을 향상시켜 모바일에 적용하였다. 모바일에 입력된 신문기사 이미지를 OCR을 통해 텍스트로 변환하고 사전 및 분야 온톨로지와 문장 규칙 추론을 동해 처리 속도 및 정확도 높은 번역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
최근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수치지도 기반의 지도 영상은 그 신속성과 정확성이 가장 중요시되고 있다. 특히, 공군에서 사용하고 있는 지도영상 자료 활용 시스템인 비행 임무 계획 시스템의 상황도 시현 시, 대용량 래스터 데이터(Raster Data)를 처리해야 하는데, 지도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정밀해질수록 시스템의 효율적인 구동에 한계가 발생되고 있는 현실이며, 처리하는 영상의 호환성 및 왜곡현상의 문제점도 함께 야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ARC System 및 RPF Naming Rule을 적용하여 대용량 래스터 데이터 처리과정을 개선하고, 호환성을 보장하며, 왜곡현상을 줄이는 효율적인 지도 영상 처리방안을 제안한다.
-
컴퓨터 상에서 차량의 실제 주행 환경을 모사하는 자동차 시뮬레이터 시스템은 운전자와의 상호작용이 요구되는 다양한 운전 보조 장비에 대해 그 성능과 기능을 미리 검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네비게이션 단말기를 가상현실 기반 자동차 시뮬레이터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한 연동 기술에 대해 알아 보았으며, 간단한 네비게이션 단말기와 시뮬레이터 시스템을 개발하여 이들의 연동을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을 소개하였다.
-
일반적으로 온전한 형태의 구조물을 파괴하고 물리적인 움직임을 주기 위해서는 리지드 바디 시뮬레이션(Rigid Body Simulation)을 이용한다. 그러나 다량의 복잡한 파편을 시뮬레이션하기에는 리지드 바디 시뮬레이션은 과도한 계산량과 소요시간으로 인해서 그 효용성이 상당히 떨어진다. 이에 리지드 바디 시뮬레이션보다 상대적으로 계산량과 소요시간을 줄여주고, 효과적으로 다량의 복잡한 파편의 움직임을 사실적으로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며 Maya의 C++ API 및 MEL을 사용하여 구현하였다.
-
HPC에서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로 생성된 데이터는 크기가 방대하고 구조가 복잡해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데이터 크기로만 보더라도 기가바이트를 넘어 테라바이트에 이를 정도로 대형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이렇게 복잡도가 놓은 대형 데이터는 이미 컴퓨터 한 대에서 처리하고 분석할 수 있는 범주는 넘어서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복잡한 과학 시뮬레이션 데이터 중, 특히 로터 동역학 분야의 데이터를 가시화하고 제어하는데 필요한 통합 가상현실 인터페이스를 소개하기로 한다. 현재 개발중인 GLOVE 프레임워크는 대용량 데이터를 연구자가 필요로 하는 형태로 다양하게 가공해서 가시화해서 분석할 수 있게 하는 프레임워크이며, GIVI는 그 중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 부분을 담당하는 프레임워크다. GIVI는 가상현실 환경에서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상호작용을 통해 분석하는데 필요한 기반환경을 제공하며, 향후에는 실시간 시뮬레이션을 위한 인터페이스로도 확장될 것이다.
-
본 논문에서는 스크린을 터치를 하지 않고 또한 스크린의 영역의 크기에 상관없이 제스처를 이용하여 인터랙션이 가능한 제스쳐 인식 모듈을 이용한 대규모 멀티 인터랙티브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안한다. IR laser를 이용하여 인터랙션 영역을 생성하고 band pass filter를 장착한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여 인터랙션 영역 안의 영상을 획득한다. 획득되어진 영상은 제안하는 영상처리모듈을 이용하여 이진화->블랍-라벨링 과정을 거쳐 잡음을 제거한 후 인터랙션 영역 안에서 이루어지는 인터랙션 좌표를 획득한 후 Packet으로 저장한다. 저장 된 Packet은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Server로 보내어지고 Server에서는 메타포분석모듈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결과를 메타포이벤트로 저장한 후 콘텐츠에 보낸다. 콘텐츠에서는 받은 메타포이벤트에 따라서 콘텐츠 결과를 보여 줌으로써 스크린을 터치 하지 않아도 터치 인터랙션이 가능하며 스크린 영역에 제한 없이 많은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이 가능한 시스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시스템은 향후 보다 다양한 인터랙션과 시스템 크기의 확장으로 보다 많은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가능하며 다양한 인터랙션을 사용할 수 있는 인식 디바이스로써 활용이 가능하다.
-
본 논문에서는 복수 개의 터치 입력 장치를 통해 각각의 제스처를 입력하고, 입력된 제스처와 화면에 출력되는 제스처의 일치여부 및 정확도를 판단하는 제스처 기반의 게임 시스템을 제안한다. 구현된 시스템은 복수 개의 터치 패널과 Desktop 또는 Embedded Board 등의 프로세싱 장치의 하드웨어와 SDL(Simple Directmedia Layer) 라이브러리를 기반으로 한 소프트웨어로 구성된다. 시스템은 미리 정의된 방향을 가지는 3가지의 제스처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을 받아 화면에 출력된 제스처와 비교해 일치여부, 정확도를 판단하여 4가지의 결과를 출력한다. 구현된 시스템에 기존의 콘텐츠를 변환 적용하거나 새로운 기획을 이용하여 새로운 게임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테라 스케일의 대용량 로터 시뮬레이션 데이터는 그 크기가 매우 크기 때문에 일반 PC에서는 가시화하기에 곤란한 경우가 많다. 또, 로터 시뮬레이션 데이터는 매우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초보자가 이 데이터에서 vortex와 같은 중요한 정보를 뽑아서 가시화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어왔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 PC에서 가시화하기 어려운 거대용량의 로터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고성능 가시화 클러스터와 VTK를 이용해서 빠르게 가시화하고자 한다. 한 대의 PC를 이용해서 가시화했을 경우에 비해 클러스터를 이용해서 병렬처리를 했을 경우 약 20배의 성능 향상을 보였다.
-
본 논문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된 어쿠스틱 센서를 이용하여 가상의 터치패드를 구현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어쿠스틱 센서를 이용한 가상 터치패드 구현은 기존의 터치패드 방식에서 나타나는 대형화에 대한 한계를 극복함과 동시에 설치 및 유지비용을 낮추는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2 대의 아이폰에 설치되어 있는 단일채널 마이크 2 개, 자이로스코프와 가속도계, 블루투스 통신을 사용하여, 정해진 경계면에서 나오는 소리의 위치를 식별하고, 이를 화면과 동기화하여 간단한 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
고층빌딩, 지하역사와 같은 대형 복합건물은 건물 자체의 복합도 증가와 더불어 이에 따른 위험요소(hazard)의 증가를 가져오고 위험상황에 대처해야 할 소방관들의 대응기술 및 훈련도 고도화되어야 한다. 실제 화재현장, 특히 대형 복합건물에 대한 훈련은 비용, 시간뿐만 아니라 소방관 안전 확보라는 차원에서 불가능하며 반복적인 훈련이나 그 평가가 어렵다는 점에서 가상환경을 이용한 훈련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복합건물에 대한 소방관 팀 훈련 시스템 구현을 위한 가상환경의 설계 및 구현을 소개하고자 한다. 가상환경은 소방관의 훈련 및 평가, 팀 단위훈련을 제공하고 현실감 있는 훈련을 위하여 가상현실, 증강현실, 물리체험 모듈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가상환경 구축을 위하여 대상 건축물에 대한 3 차원 모델을 구축하고 도출된 발생 가능한 화재 시나리오에 대한 수치적 모델링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가상환경 및 훈련 시나리오에 반영하였다.
-
최근 의료 분야는 환자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달하는 모바일 헬스케어 시스템을 사용한다. 그러나 현재 환자에게 지원하는 메시지는 특정 환자를 만족시키기는 어렵고, 당뇨환자이나 임신부와 같은 정기적인 환자 관리를 도와주는 헬스케어 시스템이 부족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WPAN의 네트워킹 및 데이터 전송방식과 응용 프레임워크를 적용하여, 특히 임신부를 대상으로 임신확인부터 주기별 건강관리, 태아움직임, 태교 및 건강상식 등을 관리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헬스케어 스케줄링 애플리케이션을 제안하였다.
-
컴퓨터의 활용도가 높아지면서 자연스럽게 컴퓨터에 따른 입력 장치도 사용이 잦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 다루고 있는 핸드 트랙킹 인터랙션 시스템(Hand-Tracking Interaction System)이란 캠에 사람의 손을 인식시켜 손의 모션에 기능을 부여하는 또 다른 차세대 입력 장치이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마우스와 키보드 같은 입력 장치의 공간 제약성 이라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핸드 트랙킹 인터랙션 시스템 (Hand-Tracking Interaction System) 을 개발하였고, 빛과 그림자의 영향을 쉽게 받아 손 인식률이 낮아지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캠 대신 적외선카메라를 이용하여 인식률을 높임에 힘썼다. 또 핸드 트랙킹 인터랙션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개발하였다.
-
Wireless Sensor Networks have been proposed for several location-dependent applications. For such systems, the cost and limitations of the hardware on sensing nodes prevent the use of range-based localization schemes that depend on absolute point to point distance estimates. Because coarse accuracy is sufficient for most sensor network applications, solutions in range-free localization are being pursued as a cost-effective alternative to more expensive range-based approaches. In this paper, we proposed a modified DV-Hop (range-free localization) algorithm which reduces node's location error and cumulated distance error by minimizing localization error. Simulation results have verified the high estimation accuracy with our approach which outperforms the classical DV-Hop.
-
RIA(Rich Internet Application)는 기존의 웹 애플리케이션 기술이 가진 평면적인 표현과 순차적인 프로세스를 다이나믹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데이터베이스의 연동을 통해 저렴한 비용으로 하나의 인터페이스에서 모든 프로세스가 처리 가능하도록 해주는 기술을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웹 표준(HTML/CSS)을 RIA로 확장한 문법을 해석 할 수 있는 RIA Generator를 제안한다. RIA Generator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는데, 한 부분은 기존 HTML 및 CSS 소스와 확장된 RIA 문법을 파싱하는 부분이고, 나머지 한 부분은 파싱한 것을 의미에 따라 화면에 적절히 출력하는 부분이다.
-
Wireless Sensor Networks have been proposed for several location-dependent applications. For such systems, the cost and limitations of the hardware on sensing nodes prevent the use of range-based localization schemes that depend on absolute point to point distance estimates. Because coarse accuracy is sufficient for most sensor network applications, solutions in range-free localization are being pursued as a cost-effective alternative to more expensive range-based approaches. In this paper, we proposed a Coefficient Allocated DV-Hop (CA DV-Hop) algorithm which reduces node's location error by awarding a credit value with respect to number of hops of each anchor to an unknown node. Simulation results have verified the high estimation accuracy with our approach which outperforms the classical DV-Hop.
-
본 연구에서는 침입탐지시스템 제품의 현황을 분석하고 품질평가 기준 및 사용성 품질평가 방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침입탐지시스템(IDS) 제품 유형을 대상으로 특성과 핵심 기술 요소를 분석하고 침입탐지시스템 제품의 구조 및 응용 기술을 분석한다. 그리고 현황 조사 및 분석을 바탕으로 침입탐지시스템 제품의 품질평가 기준과 평가방법론을 개발하였다.
-
미래전은 센서체계에서 지휘통제체계간 실시간 전장정보를 수집, 분석 및 공유할 수 있는 네트워크 중심전으로 변화하고 있다. 지휘통제체계의 정보융합기술은 센서가 보내온 정보를 다른 기종의 센서 정보 또는 현재까지 종합된 정보와 융합하여 최신의 정확한 정보로 생산하는 기술이다. 본 논문은 지휘통제체계 정보융합기술의 동향분석에 관한 것으로 국내외 기술현황, 기술수준분석, 기술발전목표, 핵심기술 및 확보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
IEEE 802.11 DCF(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의 성능은 채널에 접근하기 위하여 경쟁하는 단말수에 큰 영향을 받는다. 이에 경쟁하는 단말 수를 예측하기 위하여 많은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지만 기존의 방법들은 채널 오류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제안된 방법들 중 ARMA(Auto Regressive Moving Average) 필터(Filter)가 적용된 경쟁 단말 수 예측 방법을 수정 및 개선하여 채널 오류를 반영한 단말 수 예측 방법을 제시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된 방법은 채널 오류가 존재하는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경쟁하는 단말 수를 예측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MCM-ERC32 는 우주 환경에서 동작하는 시스템에 사용할 목적으로 유럽에서 개발된 집약 프로세서 모듈이다. MCM (Multi Chip Module)은 크게 ERC32 single chip 과 VASI (Very Advanced Sparc Interface) 및 6MByte 의 SRAM, 32MByte 의 DRAM 으로 구성되어 있다. VASI 의 경우 각종 I/O 처리 및 timer 의 기능을 수행하며 특히 VASI RTC 의 경우 VASI cycle, slot 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timer 구현이 가능하다. Timer 의 경우 각종 태스크의 관리와 스케줄링에 사용되는 가장 기본적이며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위성의 고유 시간 역시 timer 를 활용하여 설계하게 되는데 이 부분이 잘 구현 되어야 정확한 임무 수행 및 위성의 제어가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VASI RTC 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 설명하고 이를 위성의 고유 시간 운영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다루도록 하겠다.
-
여러 표준이 존재하는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각 표준별로 Electronic Program Guide(EPG)를 얻기 위한 Program Event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Table 파싱 기법이 다르다. 이를 해결하고 통합 디지털 방송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 XML 파일을 이용한 테이블 통합 파싱 기법을 제안한다.
-
정부기관의 대민서비스 제공 관점이 수요자 중심으로 전환되고 대국민 만족도 측면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정부기관 콜센터의 운영 및 서비스에 대한 표준화된 품질 평가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정부기관 콜센터 품질 평가 기준을 운영체계 운영서비스 운영성과 관점에서 제시하여, 정부기관 콜센터의 운영효율성 제고, 상담서비스 품질 확보 및 대국민 만족도를 향상하기 위한 평가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자 한다.
-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대규모의 센서 네트워크의 활용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기존 IEEE 802.15.4 를 이용한 네트워크의 규모에 따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듀얼 라디오 센서 네트워크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듀얼 라디오 센서 네트워크는 단일 라디오를 내장한 전통적인 센서 노드(싱글 라디오 노드)에 듀얼 라디오 인터페이스(IEEE 802.11g, IEEE 802.15.4)를 내장한 센서(듀얼 라디오 노드)를 포함하여 클러스터를 구성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듀얼 라디오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동작하는 라우팅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듀얼 라디오 노드는 네트워크 상에서 클러스터 헤드 역할을 하고 상위 계층을 이루며, 일반 노드는 클러스터 멤버 역할을 하는 하위 계층을 이룬다. 본 논문에서는 각 계층의 네트워크가 나타내는 특징을 이동성이 적거나 높은 네트워크의 특징으로 대입하여, 상위 계층에는 Pro-Active 프로토콜, 하위 계층에는 Re-active 프로토콜이 효과적임을 설명한다. 이를 바탕으로 듀얼 라디오 센서 네트워크에 적합한 라우팅 프로토콜로써 Pro-Active 프로토콜을 대표하는 DSDV 와 Re-Active 프로토콜을 대표하는 AODV 를 조합한 하이브리드 라우팅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한 프로토콜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센서네트워크 테스트베드를 구성하여 라우팅 복구 시간과 패킷 전송 안정성에 대한 성능을 입증한다.
-
여러 장치들과 연동하여서 동작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개발 시, 회귀 테스트는 전체 시스템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가장 필요한 테스트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서비스가 되고 있거나 연동을 위한 추가적인 장비가 필요할 경우 테스트의 제약을 받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자동 회귀 테스트를 위한 가상 네트워크 망을 제공하는 시뮬레이터를 디자인 한다. 또한, 시뮬레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 및 동작하기 위한 UI 환경을 제안한다. 오픈 소스를 기반으로 제작된 본 시나리오의 관리 툴은 회귀 테스트의 자동화와 시나리오의 생성 및 배포가 가능하며 여러 프로토콜을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환경과 검증 코드를 제공한다. 이로 인해 네트워크 시스템 상의 소프트웨어에 대해 기능 및 회귀 테스트가 가능해 질것이고 결과적으로 프로그램의 개발 시간 단축과 유지보수에 탁월한 환경을 제공받게 될 것이다.
-
요즘 다양한 스마트폰의 보급과 함께 스마트폰에서 활용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이 주목 받고 있다. 그 중에 가장 활발히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어 등록되어 있는 아이폰의 앱스토어는 개인 개발자들이 자발적으로 앱 개발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하지만 Xcode 라는 생소한 개발 툴을 이용하여 MacOS 라는 운영체제에서 개발을 하다 보니, 많은 기존 윈도우 기반의 스마트폰 개발자들이 아이폰 앱을 개발하는데 적지 않은 어려움이 있는 편이다. 본 논문에서는 아이폰에서 블루투스를 이용한 2 인용 대전 게임인 틱택토(Tick-tac-toe)를 C++기반으로 개발하여 그 내용을 소개한다.
-
IPTV 서비스와 함께 홈 채널 서비스가 제공되면 개인이 프로슈머의 입장에서 콘텐츠를 생산 및 소비할 수 있게 된다. 서비스 오버레이 네트워크에서 개인화된 콘텐츠를 이용하고자 하는 개인 이용자들을 묶어서 하나의 가상 그룹으로 형성하고 개인화된 콘텐츠를 송신, 수신 할 때 서비스 오버레이 네트워크에서는 개인화된 콘텐츠의 송신, 수신을 위해 P2P 를 지원한다. 서비스 오버레이 네트워크에서 지원하는 P2P 는 이용자 환경, 상황, 네트워크 상황 등을 능동적으로 인지하여 개인 혹은 다수에게 개인화된 콘텐츠를 전달 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능동적으로 서비스 오버레이 네트워크가 형성될 때 개인이 콘텐츠를 공유, 소비하기 위해 개인 혹은 다수에게 개인화된 콘텐츠를 전달하기 위한 P2P 멀티캐스트 구조를 제안 한다.
-
본 연구는 idle 상태의 단말을 위한 이종 무선 통신망 환경에서 네트워크 선택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 하는 알고리즘은 셀과 사용자 각각의 상대적 상태 정보를 이용하는 프로필기반 네트워크 선택 프레임워크(Profile-based Network Selection Framework, PNSF)에 기반한다. PNSF 는 traffic status, mobility, 그리고 QoS (Quality of Service) 카테고리의 정보들을 바탕으로 셀과 사용자의 프로필을 생성한다. 생성된 프로필들을 3 차원의 프로필 공간에서 위치 시키고 각 셀과 사용자 프로필 사이의 거리를 각 카테고리를 구성하는 요소의 정적 특성을 반영하여 계산한다. 사용자는 최종적으로 가장 거리가 긴 셀을 선택하여 location update 를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이종의 무선통신망 환경의 특성과 idle 모드의 특성을 반영하여 location update 의 발생 빈도를 합리적으로 줄이면서도 급증하는 데이터 통신 사용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전체에 적절히 분산되도록 선택한다.
-
최근 무선통신기술의 발전으로 3G, WIFI, 그리고 블루투스와 같은 다양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닌 스마트폰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동시에 활용하게 되면 보다 더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의 대표적인 특징은 서버로 집중되는 트래픽을 분산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최근 모바일 P2P 와 스트리밍 서버를 통한 동영상 스트리밍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활용한 P2P 스트리밍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모바일 피어들로 P2P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3G 망을 이용하여 서버에 접속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간단한 시나리오를 통하여 제안한 시스템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시스템의 버퍼링은 44.0% 감소하였고, 에너지는 30.2% 적게 소모하였으며, 그리고 서버의 트래픽 사용량도 50.0% 감소시켰다.
-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 및 국민의 온라인 정부 민원 참여가 늘어나면서 민원인에 대한 범정부적 one-call, one-stop 서비스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정부기관의 콜센터를 통합하여 편리하고 신속한 맞춤형 전화민원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정부통합콜센터의 개념, 기능 및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데이터 방송 서비스(Data broadcasting Service)는 시청자에게 더 높은 품질의 영상과 음성은 뿐만 아니라 유용한 부가 정보를 함께 제공하고 있다. 이 중 채널 종류와 프로그램 정보와 같은 시청자 및 방송 수신 단말기에게 필요한 정보를 서비스 인포메이션이라고 한다. 이 서비스 인포메이션은 테이블 형태로 전송이 되며, 이 테이블의 종류 및 형태는 데이터 방송 표준별로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방송사업자는 각 데이터 방송 표준에 정의된 서비스 인포메이션 테이블(Service Information Table) 종류와 형태에 맞춰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사업자간 서비스의 비호환성을 야기한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데이터 방송 미들웨어 표준을 모두 지원할 수 있는 통합 미들웨어의 개발을 위한 범용 서비스 인포메이션 테이블 파싱 전략을 제안한다. 이 전략은 XML 기반의 테이블 종류와 형태에 대한 기술 정보를 이용하여 별도의 수정 없이 동적으로 대상 테이블의 파싱을 가능하게 한다.
-
애드 혹 네트워크는 Access Point 나 기지국과 같은 기반 구조 없이 이동 노드들로만 구성되는 자율적이고 독립적인 네트워크이다. 각각의 노드들은 이동성을 가지기 때문에 이들로 이루어진 네트워크는 다양한 형태를 이루게 되며, 이들은 무선 자원과 에너지 상의 제약을 가지기 때문에 클러스터 형성과 유지 및 관리를 통해 네트워크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애드 혹 네트워크 환경의 클러스터링 기법에서 클러스터 헤드는 호스트의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라우팅 기능을 담당하는 라우터의 역할까지 수행한다. 따라서 클러스터 헤드의 에너지 고갈이나 부재는 클러스터를 붕괴시키고, 전체 네트워크의 통신을 어렵게 하며, 나아가서는 네트워크의 수명을 단축시킨다. 결국 클러스터 헤드의 효율적인 관리는 전반적인 네트워크의 성능을 결정짓는 핵심이라고 볼 수 있다.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무선 애드 혹 네트워크 환경에서 2-Level 트리 기반의 클러스터 라우팅 프로토콜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는 클러스터 헤드와 이웃 노드들의 유지 및 관리를 통해 전체적인 네트워크의 throughput 을 향상 시키는 클러스터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또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이 목적에 맞게 동작하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
최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새로운 커뮤니케이션의 패러다임이 되었다. 트위터 등의 마이크로블로 그 서비스 경우 사용하기 편리하고 단순하여 많은 사용자가 존재 한다. 그리고 주제가 특정되어 있지 않아 어떠한 정보도 공유 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양의 정보가 공유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사용자 간의 관계 형성은 상호 간의 신청과 허용이 이루어져야만 가능하기 때문에 관계를 형성 하고 정보를 공유 하는데 있어 이런 점은 다소 불편하게 작용 된다. 또한 다양한 주제의 정보가 다수 존재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불필요한 정보까지 노출이 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찾는데 어려우며 않은 시간이 낭비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학교 자체적으로 운영 되고 있는 커뮤니티 사이트의 경우 학생들을 위한 시스템이지만 불편한 인터페이스, 낮은 접근성, 늦은 피드백 등으로 학생들의 참여도가 낮고 공유 되고 있는 정보의 양이 적은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 기술하는 시스템은 사용자가 수강하는 특정 강의를 기반으로 사용자 간의 관계를 자동형성 한다. 그러므로 정보를 찾는데 있어 선행 되어야 할 많은 작업에 소요 되는 노력과 시간을 줄여준다. 또한, 강의 기반의 자동 관계 형성으로 인하여 공유되고 있는 많은 정보들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찾기가 간편하다. 본 논문이 제안하는 시스템은 이미 형성 된 관계 혹은 조직에서 사용할 수 있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로 발전될 것으로 사료 된다.
-
Yang, Su-Hyun;Baek, Sung-Jin;Park, Sun-Mi;Kim, Kwon-Hwan;Song, Eun-Ha;Park, Doo-Soon;Jeong, Young-Sik 902
지형의 상태를 정확히 알 수 없는 타겟 지역에 모바일 센서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은 타겟 지역에 필요한 센서 노드의 수, 유지되어야 할 connectivity, 센서 노드들에 의해 타겟 지역이 coverage 되는 비율을 예측 할 수 없기 때문에 그 효율성을 가늠하기가 어렵다. 본 논문에서 설계한 MSNS(Mobile Sensor Network Simulator)는 GML 문서를 통해 실제 지도상의 개체를 가시화 하고 Map Object의 장애물 여부를 설정하여 타겟 지역을 구성한다. 이를 기반으로 MSNS는 센서 노드의 수와 connectivity degree 그리고 센서 노드들의 센싱/통신/초음파 범위를 입력 받아 센서 노드의 현재 위치 정보, connectivity, 센싱 coverage를 가시화 하여 타겟 지역에 얼마나 많은 노드들이 필요한지 유추할 수 있다. -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을 구축할 수 있게 하는 OpenNebula는 ONE 스케줄러를 통해 가상머신들의 라이프 사이클을 관리한다. ONE 스케줄러는 가상머신을 할당 할 때, 클러스터 노드의 물리적 자원 할당 여부만을 고려하기 때문에 가상 머신 생성 후의 부하를 예측하기 힘들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이전 가상 머신 사용 패턴을 기반으로 부하 등급을 나누고 이 등급에 따라 가상머신을 동적으로 할당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
All the while due to the adoption of different TV broadcasting standards by South and North Korea, difficulties may ensue when promoting media exchange or media liberalization. Among the many media areas this paper compared the ground-wave TV broadcasting and digital TV broadcasting environments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analyzed the rapidly developing field of digital TV broadcasting technology. Afterwards, this paper offers several measures to resolve the difference in the South and North broadcasting standards. Through this paper, there is hope for joint development of South and North TV broadcasting technologies.
-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한정된 에너지 자원과 전원 공급 장치, 그리고 소형 배터리로 구성되어 있다. 센서 노드는 설치가 되면 사용자가 다시 접근할 수 없고 에너지 소스의 배포 및 교체가 가능하지 않다. 따라서, 네트워크의 수명 향상을 위해서는 에너지효율성이 네트워크 디자인의 핵심 요소가 된다. BCDCP 에서는 모든 센서는 CH (클러스터 헤드)로 데이터를 보내며 CH 는 BS(베이스 스테이션)로 이를 전송한다. BCDCP 는 소규모 네트워크에서는 잘 작동하지만 대규모 네트워크에서는 장거리 무선 통신을 위해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균형 잡힌 에너지 소비를 통해 네트워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삼각형 클러스터링 라우팅 프로토콜(TCRP)을 제안하였다. TCRP 는 삼각 모양으로 클러스터 헤드를 선택한다. 센서 필드는 에너지 레벨을 기준으로 지역을 나누게 되며 나뉘어져 있으며 모든 레벨에서 게이트 노드를 하나 선택하여 이 노드가 그 레벨 내에 있는 노드들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리더 노드로 보낸다. 마지막으로 리더 노드가 BS 로 집계된 데이터를 보낸다. TCRP 는 몇 가지 실험을 통하여 BCDCP 보다 훌륭한 성능을 보여주었다.
-
Web 2.0 시대를 대표하는 핵심적인 컨텐츠는 단연 UCC이다. 사용자가 직접 만드는 컨텐츠를 의미하는 UCC는 유투브, 아프리카TV 등을 통하여 많은 수익을 거두며 관련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으나 복제와 수정, 전송이 쉬운 인터넷 환경에서 많은 저작권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최근에는 웹을 중심으로 CCL을 통해 자신의 저작물에 대한 허용조건을 명시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명시된 조건하에서 자유롭게 저작물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CCL로 허용된 컨텐츠를 이용함에 있어서 CCL의 누락 및 위변조를 통해 저작물을 불법으로 이용하는 행위가 증가하고 있어 CCL 활성화의 장애물이 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에 CCL을 적용하고 검증하기 위한 SW 플랫폼이 부재한 상태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효과적으로 컨텐츠에 CCL을 적용하고 CCL로 사용허가된 컨텐츠를 검증 할 수 있는 SW 플랫폼을 제안한다.
-
정지궤도 위성을 제외한 대부분의 저궤도 위성 및 심우주 관측용 위성은 임무를 수행하면서 하루동안에도 제한된 시간동안만 지상국과의 통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위성 운영에 고수준의 자율적 제어기능이 요구된다. OBCP(On-Board Control Procedures)는 별도로 개발된 언어로 작성한 작은 용량의 스크립트 프로그램을 통해 위성을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지상관제 시에 위성의 임무수행동안 수행되어야 하는 다양하고 복잡한 운영 시퀀스를 용이하게 준비하고 업로드할 수 있다. OBCP는 위성비행소프트웨어와는 분리된 별도의 서브시스템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새로운 위성운영 프로시져의 생성을 위해 위성비행소프트웨어의 수정, 재검증, 코드업로드 등의 절차가 요구되지 않으며 지상에서 개발 및 검증시험을 완벽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저궤도 관측위성에서 사용되었던 위성의 자율적 제어 시퀀스 기능과 OBCP의 기능을 비교하여 설명하고, 실제 Herschel and Plank 위성에 활용된 예를 통해 OBCP의 개념 및 설계 방안에 대하여 소개한다.
-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제한된 에너지 자원을 갖는 많은 수의 센서 노드로 구성되어 있다. 제약된 에너지로 인해 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집하는 것은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중요한 문제이며 클러스터링 알고리즘 기술이 에너지 소비를 줄이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기법은 무선 네트워크의 확장성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CPMS 클러스터링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CPMS 는 BCDCP(Base Station Controlled Dynamic Clustering Protocol) 나 BIDRP(Base Station Initiated Dynamic Routing Protocol)에 비해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 CPMS 는 클러스터를 구성하고 잔존 에너지 비율이 높은 헤드 노드가 BS(BaseStation)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한다. 또한 이 기법은 모드 선택 기법을 통하여 헤드 노드의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결과 CPMS 는 현재의 클러스터링 기법보다 생존시간 및 메시지 전송량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여준다.
-
센서의 특징은 사람이 측정하기 힘든 지역이나 장시간 측정해야 할 지역의 정보를 수집하기에 효과적이다. 이런 센서의 특징은 산불지역의 예방 및 방재에 사용하기에 알맞다. 산불 감시는 광범위한 지역 및 장시간을 감시해야 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산불감시의 특징과 센서의 특징은 어떻게 보면 같은 특징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센서들 간의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서로의 정보를 교환하여 산불의 발화점 및 앞으로 산불이 일어날 지역을 예측을 통하여 초기 진압에 대한 센서 네트워크 구조를 제시한다.
-
VANET 은 ITS 구축에 필수적인 기술로 주변 교통 시스템 환경을 고려한 라우팅 프로토콜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도시 기반의 VANET 환경에서 차량 간의 안정적이고 빠른 통신을 위하여 차량 밀도를 이용한 라우팅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라우팅 기법에서는 하나의 도로를 여러 개의 cell 들로 나누고 차량들은 비콘 메시지와 cell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밀도를 계산한다. 이 차량 밀도를 이용하여 도로를 여러 개의 등급으로 나누고 이 등급을 기반으로 하여 가장 안정적인 경로를 설정한다.
-
Delay-Disruption Tolerant Network(DTN)는 store-and-forward를 통한 통신을 기본으로 하며 이러한 통신에 적합한 라우팅 프로토콜 연구가 진행 되고 있다. DTN 라우팅 프로토콜은 불안정한 링크 연결 환경극복을 위해 스토리지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는 수신한 메시지를 보존하여 전달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스토리지의 특성에 따른 보안 취약점이 존재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DTN 라우팅 프로토콜의 취약점을 분석하여 가능한 공격 유형을 제시하고 이를 탐지하기위한 메커니즘을 제안하고자 한다.
-
여러 장치들과 연동하여서 동작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개발 시, 회귀테스트는 전체 시스템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가장 필요한 테스트이다. 그러나 서비스가 진행 중이거나 연동을 위한 추가적인 장비가 필요할 경우 테스트의 제약을 받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회귀성 테스트에서 발생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이기 위한 가상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시뮬레이터를 제안한다. 네트워크 시뮬레이터는 테스트에 대한 시나리오를 분석하여 테스트에 따른 실제 장비에서의 메시지들을 구성하며, 테스트 시나리오에 맞게 이벤트를 발생시킴으로서 가상으로 회귀성 테스트를 가능하게 한다. 설계된 네트워크 시뮬레이터는 우선적으로 모바일 환경에서 테스트를 시행하여, 가상 이벤트 구성과 동작의 기능을 검증하는데 사용되었다.
-
새로 제정된 이메일 프로토콜 표준에 따라 사용자는 이메일 주소에 한글과 같은 다국어를 포함할 수 있다. 다국어 이메일 주소를 사용하여 송수신자가 메일을 전송하기 위해서는 양측 메일 서버가 모든 문자를 표현할 수 있는 UTF-8 인코딩 방식을 지원하도록 정의하고 있지만 현재의 네트워크 상에는 UTF-8 인코딩 방식을 지원하는 메일 서버와 지원하지 않는 메일 서버 모두가 존재하고 있다. 이는 곧 메일이 정상적으로 수신자에게 전송이 되지 못하는 결과를 발생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UTF-8 을 지원하는 서버와 지원하지 않는 서버의 기존 상태를 유지하면서 메일을 정상적으로 송수신을 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에서 퓨니코드 변환을 적용시킨 전달 기법을 제안하였으며 직접 구현하여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
-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과 하드웨어의 발전으로 인해 많은 네트워크 응용 서비스 기술이 등장하고 있다. 이 중에서도 IPTV 와 같은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기술은 그 수요에 의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만족할만한 IPTV 서비스를 제공해 주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네트워크 자원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IPTV 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 자원 확보를 위해 기존의 AVB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안정적인 QoS 를 보장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IPTV 서비스에 해당하는 각 트래픽에 대한 대역폭 예약 방법과, 대역폭 예약 실패 상황에 대해 처리할 수 있는 개선된 MSRP를 이용하여 IPTV 서비스의 QoS 를 보장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성능 평가를 위해 OPNET 을 이용하여 기존 방법들에 대한 시간동기의 정확성, 트래픽의 단대단지연, 네트워크 자원 활용률을 측정하였다.
-
효율적인 파일 공유를 일차적인 목표로 하였던 P2P 프로토콜 기술은 서서히 멀티미디어 스트리밍으로 옮겨져 가고 있다. Swarming 을 이용한 P2P 스트리밍 시스템에서 비디오를 중심으로 한 채널변경 또는 재생지점 변경으로 인해 지연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P2P 시스템에서 해결해야 하는 당면 과제이다. 지연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기존의 연구로는 프리페칭 전략이 있지만, 이들은 모든 사용자들의 시청패턴을 고려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인터랙션과 같은 social meta-data 를 이용하여 프리페칭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
P2P VoD 스트리밍에서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의 시청 패턴은 비디오의 시작부터 끝까지 순차시청 모델에 기초하고 있다. 최근 비디오 재생지점의 임의 변경을 허용하는 VCR 기능과 같은 사용자 interactivity 지원과 재생지점 변경 시 지연을 최소화 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VCR 동작 시 오버레이 상에서 필요로 하는 컨텐츠를 소유한 피어를 신속하게 찾고 비디오 구간별 인기도에 근거하여 prefetching 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비디오의 균등한 구간에서의 인기도를 측정하여 인기구간과 비인기구간에 대해서 동적으로 앵커 피어들을 링크드 리스트로 오버레이를 구성한다.
-
We can monitor home from any remote location using our existing telephone line. We have already some technologies to perform these types of application such as: Bluetooth, IR. But these are used in a limited area which we can easily come over in our system. Our propose system has two sections one is Remote Section (RS) where the client will place the request and another is Local Section (LS) where the telephone line is connected with an Input Interfacing Circuit (IIC). Input Interfacing Circuit (IIC) receives the frequency and converts frequency to machine language. Output Interfacing Circuit (OIC) sends voice signal to the client as acknowledgement through modem then the client proceeds for the next steps. This system can be used in commercial or industrial purposes such as controlling computer from remote locations, home monitoring system instead of man or any kind of switching.
-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은 인터넷이 매우 발달한 현대 시대에 큰 위협으로 등장하였다.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은 단순히 정상적인 서비스 제공이 어렵다는 문제만 아니라 어디서부터 시작된 공격인지, 어떤 경로를 통해서 공격이 진행되는지 알아내기가 힘들다는 점에서 공격을 방어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또한 공격의 목표가 DNS 서버 또는 백본 라우터 등이 된다면 인터넷 서비스 자체도 힘들어 질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 방어 시스템이 개발되어야할 필요성이 높아지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을 방어하기 위해 필요한 공격의 검출, 특히 폭주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을 검출해 내기 위해 플로우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폭주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의 성능은 일반적인 네트워크 트래픽을 이용해 평가하였다.
-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세계화의 진전으로 IT제조업의 생산 효율화를 통한 비용절감의 방안으로 각 생산공정의 국제분업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국제분업을 통해 국가는 비교우위의 생산요소에 집적을 통해 효율화를 이루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국제분업을 통해 기술의 양극화 현상이 나타나게 되고 국제분업구조에서 기술중진국의 비교우위부문의 확보가 새로운 과제로 부상되었다. 따라서 기술중 진국이 장기적으로 국제분업구조에서 기술부문의 비교우위확보를 위해 민간부문과 공공부문에서 동시에 이루어져야한다.
-
유 무선의 망을 함께 사용하는 무선 단말기에서는 기존의 통신방법으로는 안전하지 못한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메시지 교환의 무결성을 입증하기 어렵다. 기존 논문에서 제시한 인증메시지를 이용한 신뢰성 있는 키 교환에서는 안전하지 못한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신뢰성있는 키 교환이 가능하나, 상대적으로 많은 메시지 교환 절차와 암호화로 무선단말기와 서버 사이의 통신에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안전하지 못한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무선 단말기와 유선 서버사이의 신뢰성 있는 키 교환을 위해 상호 연결을 맺는 과정을 제시한다. 제안된 논문은 연결 요청단계, 인증 메시지 교환단계, 홉 카운팅 단계, 신뢰성 확인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연결 요청단계에서는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연결 요청이 이루어지며, 인증 메시지 교환단계는 인증 메시지를 이용해 상호간의 신뢰성 확인 및 Seed 값의 분배를 실시한다. 홉 카운팅 단계에서는 패킷의 TTL(Time to live)를 이용하여 메시지의 변조여부를 확인하며, 신뢰성 확인 단계는 카운팅된 값으로 메시지의 신뢰성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
본 논문에서는 XFP(10 Gb/s Small Form Factor Pluggable) 트랜시버 모듈의 정확한 데이터 전송을 위해 저전력 FEC를 설계하였다. 현재 많이 사용되며 버스트 에러에 강한 Reed-solomon코드를 구현하고 코드의 분산 연산을 통해 저전력 RS코드를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코드는 기존의 RS코드 대비 20% 면적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또한 전력소모가 10% 감소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그룹통신에서의 작업자 간에 긴밀한 통신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기존의 무전기나 주파수 공용통신은 음성 품질이 매우 열악하여 통신 신뢰성이 매우 낮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룹통신에서 VoIP를 활용하는 것이 요구된다. VoIP를 이용할 경우 20ms정도의 짧은 주기로 인하여 패킷마다의 헤더로 인한 오버헤드가 발생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그룹통신에서의 패킷번들링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패킷번들링을 적용한 상태에서 VoIP를 이용한 그룹통신 성능분석을 하였다.
-
최근 한정된 에너지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대표적인 연구로써 이벤트 발생 여부에 따른 노드의 가변 센싱 및 전송 기법의 경우, 특정 노드에서 네트워크 혼잡을 야기하여 전송 패킷의 손실 및 전송 모듈의 과다 사용으로 인한 네트워크의 수명이 감소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유전자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네트워크 패킷을 주변 노드로 분산시키는 TARP 가 제안되었다. 하지만 TARP 의 경우, 유전자 알고리즘의 핵심 단계인 적합도 평가에서 사용되는 적합도 함수에 인접 노드의 평균 데이터 전송량 및 데이터 분산만을 고려하여 트래픽을 분산하기 때문에, 전체 네트워크 수명에 대한 추가적인 고려가 필요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유전자 알고리즘 기반의 에너지 인식 트래픽 분산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적합도 평가에서 잔여 에너지량 및 단일 노드의 데이터 전송량을 추가적으로 고려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트래픽 분산을 수행하여 네트워크 수명을 증가시킨다. 제안하는 기법의 우수성을 보이기 위해 시뮬레이션을 통해 기존의 트래픽 분산 기법(TARP)과 제안하는 기법과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기존 기법에 비해 평균 27% 이상의 네트워크 수명의 향상을 보였다.
-
최근 Faccebook과 Twitter로 대표되는 소셜 네트워크가 인터넷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또한 소셜 네트워크에서 사용자를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하지만, 소셜 네트워크에서 기존의 P2P 네트워크의 자원 검색 방법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Peer 사이의 실제 거리 문제로 인한 자원 검색 시간이 늘어나는 것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소셜 네트워크에서 검색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Interesting 키워드를 사용한 소셜 P2P 자원 검색 기법에 대해 제안한다.
-
최근 스마트폰이 크게 활성화됨과 동시에 요금이 저렴하고 인터넷망을 사용하는 인터넷전화가 급부상하고 있다. 개방형 플랫폼인 안드로이드기반의 스마트폰에서는 응용프로그램의 사용이 자유로움에 따라 인터넷전화 응용 프로그램을 탑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기반의 모바일 인터넷전화 시스템의 구현을 위한 요구사항을 분석한다.
-
본 논문에서는 현재 3GPP에서 진행되고 있는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 표준, 즉 LTE 시스템의 하향링크 전송방식의 수신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지국(BS)과 단말(MS) 사이에 릴레이(RS) 설치를 제안하고, BS의 위치와 설치된 RS의 거리를 각각 500m, 1000m로 하고 RS의 전송방식을 OFDMA와 SC-FDMA를 선택함으로써 수신성능을 높이기 위한 연구를 수행 하였다. 연구결과 RS의 위치가 BS와 가까울수록 RS에서는 SC-FDMA를 사용하는 것이 좋게 나왔고, 반대로 BS와 RS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RS에서는 OFDMA를 사용하는 것의 성능이 좋은 것으로 나왔다. 또한 BS와 MS 거리의 중심지역에서는 그 상황에 맞는 전송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시스템의 수신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시뮬레이션 한 결과를 토대로 실제 LTE 시스템에 적용하였을 때, 셀 커버지지를 확장 시켜 시스템 전체의 수신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였다.
-
본 논문에서는 TCP Vegas의 혼잡 제어 알고리즘을 개선하여 전송 효율을 높이는 TCP AD-Vegas를 제안한다. 현재 널리 사용되는 Reno 방식은 Additive Increase Multiplicative Decrease(AIMD) 기반의 혼잡제어 방식으로 혼잡이 생길 경우 세션의 전송 크게 줄이는 기법이다. 최근 네트워크 인프라 증가로 큰 대역폭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으나, TCP Reno의 소극적인 혼잡 윈도우 조절로 충분한 전송 효율을 얻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RTT를 이용하여 혼잡 정도를 판단하고 혼잡 윈도우를 조절하는 TCP Vegas를 개선하여 TCP의 전송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
Business transactional process is usually long running computation which requests services from multiple enterprises. Web Services Transaction specification (WS-TX) defines a protocol, WS-BusinessActivity which is specifically designed for such lengthy interaction and maintains overall consistency through compensation. However timely web services transaction is prone to compensate due to tasks' missing deadline.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 reservation-based protocol which is used to select providers who can provide resources promptly and deselect ones who may fail. And this selection happens during resource reservation phase and before real commitment. In this way, we achieve the goal of minimizing transactions' compensation. Finally, we design the framework architecture for the proposed protocol that is extended from WS-BusinessActivity.
-
VANET은 차량 이동 간 안전성 증가와 관련 응용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고안된 ad-hoc 통신기반의 무선 네트워크 기술이다. VANET 환경을 이용하면 도로 교통 통제, 날씨 정보, 인터넷 등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하다. VANET 환경을 위해서는 효과적인 노드간의 라우팅 프로토콜 기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VANET상에서 각 차량의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간 안정적인 통신을 위한 그룹화 라우팅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을 통해 그룹화를 통한 라우팅 기법이 VANET 환경에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본 논문은 대용량을 요구하는 멀티미디어와 같은 스트리밍 서비스등 이에 관한 품질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빠르게 요구 대역폭을 할당하고 보장하기 위한 광대역폭 기반의 응용지원을 위한 DCN(Dynamic Circuit Network)을 구축 및 검증하는 내용을 기술 하였다. 이를 위해 GMPLS, RSVP, OSPF등의 기술을 기반으로 2계층의 LSP를 동적으로 할당할 수 있게 하였으며, WBUI(Web-based User Interface)를 통해 사용자의 요구를 받아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하였고, Iperf를 통해 요구 대역폭 할당과 보장을 검증한다.
-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오픈마켓은 누구나 자유롭게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등록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어플리케이션 시장을 활성화시킨 반면 많은 보안상의 위협을 야기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 방안이 제시되고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을 등록할 때의 검증절차를 보다 효율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보안등급 세분화를 연구하였다. 개발자가 어플리케이션을 마켓에 등록 시 적절한 검증 등급을 설정하여 검증시스템의 효율을 높이고, 마켓에서 등록된 어플리케이션에 검증된 보안 등급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구매할 어플리케이션의 안정성을 판단할 근거를 제공해 준다.
-
VANET(Vehicle Ad hoc NETwork)에서는 차량들이 불규칙한 움직임과 빠른 이동성을 가진다. 이러한 VANET 의 특성 때문에 메시지를 목적지까지 올바르게 전송하기 위해 전송 차량의 다음 홉 선택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직선도로나 교차로에서 사용되는 메시지 전송 프로토콜로는
$90^{\circ}$ 커브에서 메시지 전송 실패를 가져올 수 있는 경우에 대해 기술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커브에서 중앙선을 기준으로 전송 차량이 있는 도로와 그 반대편 도로의 범위를 구하여 전송 차량이 다음 홉 선택 시 자신과 동일한 도로에 위치한 차량만 고려하도록 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다음 홉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
무선 센서 네트워크(Wireless Sensor Network)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구현을 위한 기반 네트워크로 초경량, 저전력의 센서들로 구성된 무선 네트워크이다. 센서노드에서 센싱된 데이터는 싱크노드에 의하여 수집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이런 환경에서 서비스마다 다른 정보교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은 사용자들에게 불편함을 주므로 사용자와 서비스 간의 원활한 정보공유 및 교환방법을 위한 표준화된 식별 체계가 필요하다.
-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으로 이용할 수 있는 대역폭이 증가하고 있다. 그에 따라 증가한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전송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TCP Vegas는 RTT(Round Trip Time)를 이용해 혼잡을 미리 예측하여 윈도우 크기를 조절하는 혼잡 제어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UDT는 높은 대역폭과 큰 RTT 환경에서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제공된 응용 기반의 전송 프로토콜이다. 본 논문에서는 UDT에 혼잡예측 알고리즘을 적용한 새로운 UDT의 혼잡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혼잡예측을 통해 혼잡한 구간, 혼잡하지 않은 구간을 나누어 혼잡윈도우를 갱신한다. 혼잡하지 않은 구간에서 혼잡윈도우를 증가시키고 혼잡한 구간에서 혼잡윈도우를 감소시킴으로써 기존의 UDT보다 성능이 개선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
미래 인터넷은 다양한 형태의 네트워킹 기술이 공존할 수 있고 이를 위해 네트워크 가상화 기술이 각광받고 있다. 네트워크 가상화의 핵심 기술은 라우터 가상화 기술이며, 이를 위해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가상 네트워크를 위한 가상 라우터가 갖추어야 할 요구사항을 정리하고 이를 위해 오픈 소스 가상화 솔루션인 젠 기반으로 독립성, 성능, 그리고 유연성을 지원할 수 있는 가상 라우터를 설계한다.
-
현재 인터넷의 구조적 문제점을 해결 하기 위한 미래 인터넷 연구는 컨텐츠 기반의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컨텐츠 중심의 네트워크(CCN)에서는 중계 노드가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 하고 있다. 하지만 사용자의 환경에 적합한 컨텐츠를 보내기 위해서는 트랜스코딩 과정이 필요 하다. 우리는 이 과정의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하여 비디오 컨텐츠를 단계별로 계층화 시킬 수 있는 H.264/SVC 코덱을 사용하여, CCN 의 중계 노드에서 사용자 환경에 맞추어 다른 계층의 비디오 컨텐츠 전송을 가능 하게 하는 기법을 제시한다.
-
스마트폰이 활성화 되면서 자신만의 콘텐츠(사진, 글, 메모)를 스마트폰에서 작성하는 경우가 많아지게 되었다. 하지만 맛 집이나 데이트 코스 같은 핫스팟을 담은 콘텐츠를 블로그를 통해 공유하고 싶지만 그 방법이 한정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 다루는 GPS 블로그 서비스는 스마트폰에서 직접 블로그로 업로드 함으로써, 콘텐츠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블로그에 보다 빠르게 공유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위치 정보를 맵을 통해서 블로그에 포스팅되기 때문에, 핫 스팟을 운영하는 업체 및 기업의 홍보를 보다 쉽게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
최근 스마트폰의 수요가 급증하면서, 사용자들의 편의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필요성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또한 무선 랜(wi-fi)이 제공되는 지역도 점점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러한 흐름의 일환으로, 우리는 어디서든 사용이 가능하며, 우리가 속한 대학에 특화된 스마트폰용 메신저를 개발하였다. 스마트폰의 무선 랜(Wi-fi)기능을 이용하여 문자, 음성, 파일 전송 등 이동성을 살린 메신저는 학생들과 교직원들이 편리하게 사용 할 수 있어 학교에서 일어나는 활동에 적합화되어 있다.
-
최근 한국의 핸드폰 보급률이 95%가 넘는 발전이 이루어지면서 스마트폰의 사용자수 역시 활발하게 증가하고 있다. 그에 따른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시장 역시 활성화되어가고 있으나 아직까지 KPU Zone내에서의 편의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가 부족하다. 본 논문에서 다루는 내용은 안드로이드SDK기반의 구글 위치 찾기 서비스와 주변상권 활성화를 위한 KPU Zone 업체들에 기본정보 및 위치를 시각적으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오늘날 대부분의 네트워크는 수십 Gb/s 를 지원하는 광네트워크다. 이러한 고속 네트워크에서 대부분 TCP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있다. TCP 전송 프로토콜은 AIMD 방식의 특성으로 인해 고속 네트워크에 적합하지 않다. 반면 UDT 는 DAIMD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고속 네트워크에서 가용대역폭을 충분히 활용 가능하다. 그러나 UDT 는 sync-interval 간격으로 rate control 이 이루어 지기 때문에 sync-interval 동안 가용 대역폭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RTT 예측을 통한 sync-interval 구간에서의 rate control 기법을 제안한다. sync-interval 구간 동안 RTT 예측을 통해 rate control 을 함으로써 기존 UDT에 비해 고속 네트워크 환경에서 보다 빠르게 가용대역폭을 활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시뮬레이션 결과 기존 UDT 에 비해 throughput 및 안정성이 향상되었다.
-
본 연구는 TAM 모형을 기반으로 유용성과 경제성 변수에 기업의 고객 충성도를 조절변수로 하여 유무선 결합서비스(FCM)에 대한 소비자의 수용의사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 결과, 소비자들은 FCM 의 유용성과 경제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기업에 대한 고객 충성도는 조절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소비자들은 현재 유선기반의 단순묶음(bundling)형태의 서비스를 주로 이용하고 있으며, 경제성(요금의 적합성)에 대한 만족도는 높지 않았다. 또한, 소비자들은 현재의 서비스와는 상관없이, 향후 FMC 활성화에 따라 통신사의 변경을 고려하고 있어 기업에 대한 신뢰보다는 제공 서비스의 품질과 효과를 우선시 하고 있음을 나타냈다. 향후 결합서비스의 중심서비스로는 이동전화를 선호하고 있었으며, 결합서비스 형태로는 인터넷과 인터넷 TV 를 결합한 서비스를 추구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향후 통신사업자들의 바람직한 FCM 의 구성과 요금정책 전략 수립에 있어 다소나마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각 사업자는 유무선 결합서비스가 성공적인 비즈니스모델로 정착하기 위해 소비자들의 효용을 정확히 알고 소비자들에게 맞는 우수한 콘텐츠와 기능적 품질의 제공이 무엇보다 중요하게 될 것이다.
-
Custody transfer method is often managed by the general architecture of Delay Tolerant Network (DTN) to provide reliability in the communications through storage and forward paradigm, but can be inefficient when the acknowledgment messages are lost, or the network becomes congested. In this paper we describe a new architecture that is particularly efficient for the custody transfer method. Because, it provides an additional control of acknowledgment messages, consolidate knowledge and services, using the advantage of the cross-over architectures and distribution control through local and global services.
-
Locator and Identifier Split is considered as the solution to the scalability problem Internet is facing today. The separation approach of Locator and Identifier requires a third party called mapping system. The mapping system enables the inter-domain routing between two different edge networks. The design of this third party has generated many proposals, among them one approach use Border Gateway Protocol (BGP) for effective mapping information updates distribution. In this paper, we take advantage of this approach by considering the scalability in term of mapping information storage. Our goal is to provide scalability in term of mapping information storage as well as effective mapping information updates distribution.
-
현재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다양한 지능형 응용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센서 네트워크는 환경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많이 활용된다. 최근 더욱 상세한 환경 모니터링이나 고품질 데이터에 대한 요구로 인해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Zigbee 기반 센서 네트워크의 낮은 대역폭의 한계를 극복하고, 실시간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을 위한 라우팅 기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다. 기존에 제안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기법의 경우 비효율적인 다중경로 설정단계로 인해 경로설정 시간의 지연이 발생하고, Zigbee 의 대역폭 한계로 인해 낮은 데이터 전송속도를 보인다. 본 논문은 기존 기법의 대역폭 문제를 해결하는 블루투스와 Zigbee 하이브리드 라우팅 구조를 제안한다. 또한 경로설정 시간 지연 문제를 해결하는 경쟁기반 비-중첩 다중 경로 설정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의 우수성을 비교평가하기 위해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약 78% 지연시간이 감소되었으며, 통신 속도가 약 6.9 배 증가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SFP+ 트랜시버 모듈의 저전력 데이터 전송을 위해 전송 알고리듬인 5B6B의 병렬연산 알고리듬을 설계하였다. SFP+의 기본 전송 알고리듬인 5B6B는 소형화된 SFP+의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해 제안하였으며, 본 논문에서 제안한 코드는 종래의 전송 알고리듬 대비 전력소모가 10% 감소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최근 전자 문서 및 콘텐츠 보호를 위하여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활발히 진행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개발된 단순 메시지 암호화 단계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 보안 기능상 문제점을 파악하고 보안 요구사항을 만족하기 위하여 마스터키 생성, 공개키 교환, 공유키 공유, 세션키 생성의 네 단계의 키 교환 단계를 설계하고 설계된 키 교환 메커니즘이 충족 시키는 보안 기능에 대하여 정리 하였다.
-
무선센서네트워크에서 각 센서노드는 한정된 배터리 자원을 갖기 때문에, 에너지 소비를 균등하게 하여 전체 네트워크의 라이프타임을 늘리는 것이 중요하다. 네트워크 라이프타임을 증가시키기 위한 여러 스케줄링 기법들이 제안되었지만, 여전히 특정 센서노드가 일찍 방전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각 센서노드의 사용률을 균등하게 분산하여, 모든 센서노드가 에너지를 골고루 소비하도록 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부모노드에 여러 자식노드들이 연결되어 있을 때, 리니어프로그래밍을 통해 링크의 흐름량을 결정함으로써 각 부모노드들의 이용률을 고르게 분산한다. 링크의 흐름률에 따라 각 주기별로 트리의 모양을 다르게 변경하는데, 라이프타임을 최대화하기 위한 트리 구성 방식을 제안한다.
-
실제 무선센서네트워크 환경에서 무선링크는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간섭, 감쇠, 멀티패스 등으로 인해 비신뢰성과 비대칭성을 가진다. 기존에 제안된 위치기반라우팅기법들은 이러한 무선링크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아, 데이터 전송 성공률과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를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무선링크의 비신뢰성과 비대칭성 그리고 거리 값을 고려한 기대전송비용(EC)을 정의하고, 데이터와 ACK 패킷 각각에 대해 예상전송비용이 최소인 경로를 찾아 에너지 효율적인 전송을 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센서노드의 제한된 베터리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네트워크 라이프타임을 증가시킨다.
-
무선센서네트워크에서 저가의 센서 필드를 구성하기 위해 센서노드의 위치 추정은 매우 중요하다. 소수의 위치를 알고 있는 센서노드인 앵커노드를 이용하여 모든 일반노드들의 위치를 알게 하는 방법으로 DRLS이 있으며, 이 기법은 이전의 기법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확한 위치 추정을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DRLS는 이웃하는 앵커노드가 없는 일반노드의 경우 위치 추정 정확도를 심각하게 낮추는 에러 전파가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은 DRLS의 에러전파를 줄이기 위한 Distributed Localization for Reducing Error Propagation (DLREP)를 제안한다. DLREP는 각 일반노드들이 DRLS를 이용하여 위치 추정을 한 뒤 한 번의 추가적인 브로드캐스트를 더 수행하여 각 일반노드가 추가적인 앵커노드의 위치 정보를 얻게 한다. 그리고 이 정보를 이용하여 앵커노드 위치를 중심으로한 초기 위치의 회전을 통해 일반노드의 에러전파가 된 위치에 대한 수정을 가한다. DLREP는 위치 측정이 완료된 DRLS에 적용되어 더 정확한 센서노드의 위치 추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진보된 위치 추정 기법이다.
-
모바일 기기의 통신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는 이동성 지원이다. 이에 따라 3G 와 같은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기술이 출현하게 되었고 이를 통해 이동 중에도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동통신은 많은 에너지 소비와 높은 통신 비용문제 등으로 대용량 전송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반해 Wi-Fi 와 같은 Wireless 네트워크는 이동성을 지원하지 않는 대신 허가 받지 않은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예: Wi-Fi 의 2.4GHz, 5GHz) 높은 대역폭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전력을 적게 사용하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3G 와 Wi-Fi 을 동시 다중 연결을 통해 서로의 장점을 극대화하고 단점을 보안한 기법을 제시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이를 검증 한다.
-
최근 스마트폰이 크게 활성화됨에 따라 스마트폰에서 이용할 수 있는 인터넷전화가 급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인터넷전화는 인터넷망을 이용하기 때문에 요금이 저렴한 반면에 보안이 취약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도청방지를 위해 모바일 인터넷전화 시스템에 적합한 암호 알고리즘인 RSA, ECC 등을 비교 분석한다. 향후 모바일 인터넷전화 시스템 개발시 암호 알고리즘을 적용하는데 참고할 수 있다.
-
인터넷의 발달에 따라 사용자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기존 인터넷의 구조는 새로운 방향으로 변화를 거듭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따라 인터넷 사용자들의 요구도 다양화되고 있다. 그러나 급속한 변화에 대한 사용자들의 요구를 충족하기에 현재의 인터넷은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현재의 IPv4 주소체계가 가지고 있는 주소 고갈의 문제와 QoS 미지원 문제, 취약한 이동 인터넷 서비스 문제 등과 함께 IPv6로의 전환시점에 있어 관련기술의 선점과 국제 표준화에 앞장서기 위해 4세대 이동통신 기반 Mobile IPTV 환경에서 IPv6 적용 시나리오에 대해 연구한다.
-
상호간의 보안 통신을 위해서는 서로간의 안전한 비밀키 교환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안전한 키교환 프로토콜이 사용되어야 한다. 키교환 프로토콜은 안전성을 보장함과 동시에 키의 신선도와 확신에 대한 요구사항을 모두 만족시켜야한다. 현재 대표적인 키교환 프로토콜인 Diffie-Hellman을 기본으로 하는 다양한 프로토콜이 연구 및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 연구된 EKE-E(Encrypted Key Exchange-Efficient) 프로토콜은 Diffie-Hellman 알고리즘을 통한 키교환을 제공하며 man-in-the-middle공격과 오프라인 사전공격에 대한 안정성을 보장한다. 하지만 재전송 공격에 취약성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에 제안된 키교환 프로토콜인 EKE-E의 안전성을 만족하며 재전송공격에 안전한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동시에 연산을 줄여 보다 성능을 향상시킨다.
-
글로벌 기업은 공통 활용 가능한 IT 요소를 통합/재정립하여 비즈니스 전략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IT Shared Service(이하 ITSS) 체계로 전환하고 있다. IT 자원은 통합되고 업무는 네트워크 기반의 가상화된 서비스로 제공되며, 모바일 중심의 개인 업무 환경으로 전환되고 있다. 본 논문은 상용화된 보안 인증 방식 중 ITSS 운영환경에 적합한 방식을 검토하고, 문제점 및 취약점을 찾아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특히, 모바일 환경이 급속도로 확산되는 추세에서 USIM을 활용한 인증 방식이 기업의 보안 요구사항을 충족 시킬 수 있는지 집중 검토하고자 한다.
-
인터넷의 급격한 발전과 이용자의 증가로 인터넷은 이미 우리 사회에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이러한 인터넷의 발달은 IT산업의 핵심요소가 되었으며 그 중요성이 점점 부각되고 있다. 특히 무선 네트워크는 다양한 단말기(노트북, PDA, 스마트폰)가 대중화되었고 이를 지원하는 표준이 만들어졌으며, 무선 네트워크 사용지역의 확대로 인하여 언제 어디에서나 정보환경에 가까이 접근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었다. 그러나 이동성이 좋고 편리한 무선 네트워크의 장점의 이면에는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는 치명적인 문제점들이 드러나기 시작했는데, 케이블을 사용하는 유선환경과는 달리 무선환경에서는 전파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점을 악용하여 무선 AP를 도청하거나 패킷을 스니핑하여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무선 네트워크의 기술표준을 분석해보고 실제 무선환경에서 개인정보가 얼마나 쉽게 노출될 수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제작한 사설 안테나를 사용하여 무선 AP의 신호를 가로채 패킷을 분석하는 방법을 시연한다. 또한 안테나 각각의 지름을 달리하여 신호강도의 차이가 얼마나 있는지 분석하고,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
생체 인식 기술 중 얼굴 인식과 눈동자 인식을 활용하여 기존의 얼굴 인식 내지 지문 인식만을 사용했을 때 보다 좀 더 인터렉티브한 인증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복사한 이미지를 이용해 인증 체계를 회피할 수 있는 가능성을 줄였다.
-
WSN(Wireless Sensor Networks)는 Ubiquitous환경을 실현하기 위한 기술로써 현재 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연구는 서비스제공에 치중되어 보안에 대한 고려는 많이 이루어 지지 않았다. 또한 자원이 한정적인 센서의 특징상 현재까지 알려진 다양한 보안기법을 그대로 센서에 적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Monitoring하고자 하는 장소에 센서를 설치함으써 공격자에게 센서가 쉽게 노출되는 취약점이 있다. 센서에 대한 공격기법 중 Sybil Attack은 하나의 Node가 두 개 이상의 Node로 가장하여 WSN상에 통신되는 정보에 대한 신뢰도를 낮추며 통신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기법들이 제시되었고 그에 대한 신뢰도도 증명하였다. 하지만 2차원 상에 한정적인 탐지기법을 제공하여 실용적인 적용이 불가능하다. 현실적인 적용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3차원 상에서 Sybil node 탐지기법을 제시한다.
-
과거 인터넷을 사용하지 않는 시스템의 경우 소프트웨어의 안전성과 강건성은 철도, 국방, 우주, 항공, 원자력 등 오류 없이 수행되어야 하는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에 국한되어 있었다. 그러나 인터넷의 발전으로 인터넷을 통한 정보의 교류 및 서비스가 증대하면서 소프트웨어의 보안품질은 개인, 사회, 국가 모두에게 정보보호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 특히 오류 없이 수행되어야 하는 고안전성 소프트웨어의 개발 기법은 이제 응용 소프트웨어의 보안강화 활동에 활용 되고 있다. 시큐어 코딩 (Secure Coding)은 방어적 프로그램(Defensive Programming)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소프트웨어의 안전성과 보안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C 언어의 취약가능성 유발 명령어를 예를 들고 시큐어 코딩 기법을 적용하여 취약한 코드를 개선하였다. 이러한 개선을 통해 보안 취약성 유발 가능한 코드 부분을 손쉽게 수정하여 소프트웨어 보안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
홍채 인식 시스템의 응용 프레임워크는 홍채 인식기 모듈을 컴퓨터에 연결할 때 사용되는 USB 호스트 콘트롤러 드라이버와 응용 프로그램 사이에서 둘을 제어하는 스탠다드 라이브러리를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스탠다드 라이브러리 설계와 구현을 설명하고 있다. 스탠다드 라이브러리는 표준 호출규약을 지키므로 응용 프로그램은 다양한 언어로 작성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폴링 방식으로 구현된 스탠다드 라이브러리를 콜백을 이용하여 구현함으로써 네트워크를 통해 많은 사람들이 동시에 홍채 인식기를 사용할 때 리소스 사용을 경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구글 안드로이드 플랫폼은 오픈소스 형태로 응용프로그램을 손쉽게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며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빠른 속도로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하지만 오픈 소스의 특징으로 인해 보안 취약점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 안드로이드 고유의 보안모델은 응용프로그램의 시스템자원에 대한 부적절한 접근을 제어하기 위한 권한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안드로이드의 권한 기반 보안모델에 대한 취약성을 테스트 코드수행과 플랫폼 소스분석을 통해 알아보고 이에 대해 간단한 해결방안을 제시한다.
-
VoIP를 위한 개방형 규약 중 SIP는 IETF에서 정의한 시그널링 규약으로 IP 네트워크에서 음성, 영상의 호와 같은 멀티미디어 통신 세션을 제어하기 위해 널리 사용한다. 공격자는 SIP의 취약점을 이용한 전화번호 스캐닝, 사용자 암호를 알아내기 위한 사전공격, 콜 플러딩 공격을 통해 VoIP 서비스 정보를 절취하거나 이용을 방해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VoIP 환경의 SIP 스캐닝, 콜 플러딩, 그리고 무차별 대입 공격을 분석하고 대응방안을 제시한다.
-
스마트폰은 자체 메모리 및 연산량이 PC보다 훨씬 낮고 빠른 속도의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보안에 대한 기술 구현이 부족한 상태이다. 또한 악의적인 공격 기술이 점차 발전하고 있고 새로운 해킹 기술이 급증하고 있어 보안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금융 분야와 같이 사용자의 자산에 위협을 줄 수 있는 분야에서는 특히 보안 대책이 반드시 강구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폰을 이용한 금융 서비스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위협에 대하여 알아보고 이를 대응할 수 있는 보안 기술에 대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With the advent of cell phone digital cameras, and sophisticated photo editing software, digital images can be easily manipulated and altered. Although good forgeries may leave no visual clues of having been tampered with, they may, nevertheless, alter the underlying statistics of an image. Most digital camera equipped in cell phones employ a single image sensor in conjunction with a color filter array (CFA), and then interpolates the missing color samples to obtain a three channel color image. This interpolation introduces specific correlations which are likely to be destroyed when tampering with an image. We quantify the specific correlations introduced by CFA interpolation, and describe how these correlations, or lack thereof, can be automatically detected in any portion of an image. We show the efficacy of this approach in revealing traces of digital tampering in lossless and lossy compressed color images interpolated with several different CFA algorithms in test cell phones.
-
최근 봇넷은 금전적 이득을 원하는 범죄 집단에 의해 사이버 공격의 수단으로서 크게 확산되고 있다. 봇넷의 탐지는 이전부터 꾸준히 연구되었지만, 구성과 기능이 점차 진화되고 있는 봇넷을 탐지하기에는 큰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봇넷의 탐지는 호스트 기반의 정적인 악성 코드 분석이나 네트워크 트래픽 분석등 어떠한 특정 시스템에 의존해서는 효율적인 탐지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다양한 정보를 종합하여 탐지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알려진 봇넷 정보와 악성 봇 바이너리 분석을 통해 알려진 정보와 네트워크 기반의 탐지 정보를 분석하여 전체적인 봇넷의 구성을 탐지할 수 있는 네트워크 기반의 경량 봇넷 탐지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탐지 시스템은 대규모의 네트워크 환경에서도 단편적으로 알려진 봇넷의 부분 정보를 기반으로 전체적인 봇넷의 구성을 탐지할 수 있다.
-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환경에서 인증 및 접근 제어와 같은 여러 보안 이슈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다양한 자원에 접속을 할 경우, 통합적으로 관리 및 제어가 가능한 인증 및 접근제어 모델이 필요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상황인식 기반의 통합 인증(SSO) 및 접근제어 모델을 제안하고, 이를 설계 및 구현함으로써,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유연하고, 편리한 보안 시스템을 검증하고자 한다.
-
전화와 같은 음성통신이 네트워크 트래픽의 주류를 이루었던 과거와는 달리 최근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사용 증가와 함께 이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IP기반의 IMS(IP Multimedia Subsystem)기술이 도입되었다. 이러한 통신기술의 발달과 함께 다양한 수법을 이용한 범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감청의 필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감청에 관한 법률은 각 국가별로 시행되고 있으며 특히 미국과 유럽의 감청표준은 국제 감청표준의 근간이 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감청 아키텍처는 IMS 환경에 적절하지 않은 몇몇 한계점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새로운 환경에 적합한 아키텍처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까지의 감청기술 및 동향을 다루고 IMS 환경에서의 개선된 감청 방안을 제시한다.
-
공인인증서를 사용하는 스마트폰 응용에서는 공인인증서를 스마트폰의 내부 메모리에 내장하거나 SD 메모리에 저장하여 스마트폰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이 이를 접근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공인인증서를 스마트폰의 메모리에 저장하여 사용하는 경우, 공인인증서의 암호만 알면 타인의 공인인증서를 임의의 스마트폰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메모리에 저장되는 공인인증서의 보안성을 높이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의 IMEI와 USIM의 IMSI를 키로 사용하여 스마트폰과 사용자를 식별함으로써 특정한 개인의 스마트폰에서만 해당 개인의 공인인증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그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
모바일 기기나 ATM에서의 사용자 인증에는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이 주로 사용된다. 그 이유는, PIN은 사용자가 외우기 쉽고 단순한 UI(User Interface)로 구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PIN은 어깨너머 공격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이미지 기반, 인식 기반, PIN과 이미지의 혼합방식을 이용한 다양한 사용자 인증 방법들을 제안하였다. 하지만 이들 연구는 모바일의 작은 화면을 고려하지 않아 구현이 어렵거나, 어깨너머 공격에 취약하거나, 사용자에게 기억에 대한 부담을 증가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PIN과 패턴 이미지를 결합하여 모바일 기기에 적합하면서, 어깨너머 공격에 대해 기존의 방법들에 비해 안전하고 사용자가 외워야 하는 기호(숫자, 이미지 등)가 적은 사용자 인증 방법을 제안한다.
-
인터넷 공간에서 무한한 자료의 공유는 손쉽게 유용한 정보를 얻는다는 순기능도 있지만, 청소년들이 음란물을 쉽게 접할 수 있다는 역기능도 제공된다. 음란물은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미성숙한 상태에 있는 청소년들의 정서와 태도형성, 그리고 행위까지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8]. 따라서 방대한 인터넷 공간에서 음란 이미지를 자동으로 감지하는 연구는 청소년들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음란 이미지를 판단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실험으로 제안된 알고리즘의 성능을 평가했다. 음란 이미지를 판단하는 핵심 알고리즘은 템플릿 매칭 기법이며, 실험결과 대체적으로 안정된 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
강력 범죄의 심각성이 사회적 이슈가 되면서 효과적인 범죄자 검거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범죄자의 정보 중에서 가장 많이 알려지는 것은 얼굴이다. 따라서 등록되어 있는 범죄자의 얼굴을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는 기술의 연구가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범죄자 얼굴 인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우리는 기존 얼굴인식 알고리즘의 단점인 조명을 개선하여, 범죄자 얼굴 인식률을 향상시키는데 연구를 집중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의 유용성은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
정보시스템의 취약성을 사전에 예방하고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의 소스코드 수준에서의 보안성을 확보하기 위해 소스코드 자체의 보안 위험성을 검사하는 도구를 제안한다. 개발자에 의해 무심코 사용되는 위험 함수들을 검출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여 소프트웨어 내부에 잠재되는 보안 위협을 예방하는 도구를 개발하고자 한다.
-
최근 물리적인 보안이 큰 위협이 되는 가운데 물리적 공격 중에서도 오류 주입을 통한 공격이 국내에서도 본격적으로 연구가 시작되고 있다. 특히 중국인의 나머지 정리를 이용한 RSA-CRT 알고리즘은 오류 주입 공격을 통해서 비밀 값 p, q가 쉽게 추출 되어 취약하다는 것이 실험적으로 검증이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레이저를 통한 광학적 오류 주입 공격을 시도 했으며 외부 버퍼를 이용해서 정확하게 원하는 시점에 오류를 주입함으로 레이저 장비 특성에 따른 오류 주입 값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
사용자 그룹 서비스는 IPTV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 걸쳐 응용되고 있으며, 안전한 그룹 통신을 위해 그룹 키를 사용한다. 그룹 키 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최근 많은 연구에서 트리를 이용한 기법을 제시하였다. 그 중 대표적인 기법은 LKH, OFT 등이 있으며, 이들은 그룹 키를 갱신하는데 필요한 메시지 전송량이 O(lgN) 수준이다. 이후 Sun, Kang 등은 키 갱신에 필요한 메시지 전송량을 O(1) 수준으로 감소시켜 더욱 효율적인 기법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기법들을 비교분석하여 효율성과 안전성에 대해 재조명하였다.
-
인터넷의 발달은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들을 등장시켰고,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용어가 처음 생겨난 이후 클라우드 컴퓨팅은 차기 비즈니스의 핵심 기술로 주목을 받고 있다. 그 후 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 모바일 기술을 결합한 모바일 클라우드 서비스가 등장을 했다. 또한 최근 '모바일화', '개인화', '개방화'의 IT 산업 트렌트에 맞춰 다양한 신규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확대될 전망이다. 사용자의 민감한 정보가 많이 다루어지는 모바일 클라우드의 특성상 보안적인 측면이 많이 고려되어야 하지만 무선 인터넷 환경의 인증 과정은 유선에 비하여 취약점이 존재하고 있다. 그래서 모바일 클라우드 환경에 적합한 인증 프로토콜을 개발하기 위해 현재 사용되고 있는 무선인터넷 프로토콜의 인증 취약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Bethencourt등의 CP-ABE에서 효율적인 속성값 철회 기법에 대해 알아본다. 기존에 제안된 속성값 철회 기법은 대부분 KP-ABE에 대한 것이며, CP-ABE에서 속성값 철회는 철회를 위한 메시지 크기가 철회자에 비례해 커지고 NOT연산을 필요로 한다는 측면에서 효율적이지 못하다. 이에 대해 Bethencourt등의 CP-ABE와 기존의 속성값 철회 기법에 대해 알아본 후 Bethencourt등의 CP-ABE에서 효율적인 속성값 철회 기법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
대부분의 홍채인식 시스템의 전반부를 살펴보면 카메라를 통한 이미지를 획득 후 전처리 과정에서 동공의 경계를 잡는 과정이 수행된다. 카메라를 통한 이미지 획득 시 초점이 좋은 이미지와 나쁜 이미지가 같이 획득이 된다. 초점이 나쁜 이미지는 동공의 경계를 잡는 과정에 있어서 좋은 이미지보다 시간이 오래 걸리기 마련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영상획득 후 동공의 경계를 잡는 과정 전에 DCT(Discrete Cosine Transform)를 이용한 선명도 측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카메라를 통한 영상을 획득한 후 초점이 좋은 영상과 나쁜 영상을 구분하게 되고 초점이 좋은 영상만을 선택하여 다음 과정인 동공의 경계를 잡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제안하는 방법은 DCT를 이용한 이미지의 선별 작업에 시간이 소비 되지만 나쁜 영상을 이용하여 동공의 경계를 잡느라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우선적으로 수학적 분석을 통하여 23%의 속도 절감을 통한 성능 개선의 가능성을 보였고, 실제 구현을 통하여 속도 향상이 기대된다.
-
최근 신재생 에너지 및 전기차 보급 등 저탄소 녹생성장에 대한 관심이 고조 되면서 기존의 전력망에 ICT 기술을 접목하여, 공급자와 소비자가 양방향으로 실시간 전력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하는 스마트그리드를 도입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스마트그리드와 관련된 기반시설을 구축할 뿐 보안과 관련된 법, 제도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미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스마트그리드 보안 전략을 분석하여 한국형 스마트그리드에 대한 보안 전략을 도출한다.
-
RFID는 태그가 부착된 사물의 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해 인식하는 기술로써 바코드를 대체하는 등 다양한 영역으로 응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각 응용에 필요한 보안 문제도 중요시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RFID시스템의 보안 취약성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많은 인증 프로토콜들 중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에서 제정한 잠정표준인 "수동형 RFID 보안태그와 리더의 인증 및 데이터 보호 프로토콜"에 대하여 프라이버시 침해, 위치추적, 비동기화 공격 가능 및 전방향 안전성을 만족하지 못하는 등의 보안 취약점이 있음을 보이고, 이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
오늘날 소프트웨어를 대상으로 하는 악성코드로부터의 공격이 잦아지면서,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에서부터의 보안 취약성 점검이 중요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보안 취약점 분석 기법 중 하나인 정적 분석에 사용되는 도구들을 살펴보고 비교하여 그 구조 및 특성을 분석 파악한다. 그리하여 우리의 궁극적 목표인 향상된 성능의 새로운 정적 분석 툴 개발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
2005년 중국의 Wang 등이 SHA-1의 충돌쌍 공격에 대한 취약성을 발표한 이후 미국의 NIST(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ies)에서는 새로운 표준 해쉬 함수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하였으며, SHA-3로 사용될 새로운 해쉬 함수를 공모하게 되었다. 전세계에서 64개의 후보들이 제안되었으며, 1라운드가 끝난 2010년 현재 14개의 후보들에 대한 2 라운드 심사가 진행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ASIC(Application Specified Intergrated Circuit) 설계 과정에서 설계 대상의 전력 소모량을 추정하는 과정을 소개하고, 이를 이용해 SHA-3 후보들의 H/W 구현들에 대해서 전력 소모량을 추정하여 결과를 제시한다.
-
스마트폰의 사용자 증가로 인한 스마트폰의 성장과 더불어 제 3 자 개발자들이 개발한 애플리케이션이 오픈 마켓에 등록되면서, 오픈 마켓의 시장 규모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제 3 자 개발자는 보안 관점에서 신뢰 할 수 없는 개체이며, 이들이 개발한 애플리케이션은 악의적 또는 개발자 실수에 의해 보안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과 같은 디바이스와, 앱스토어, 제 3 자 개발자 간에 인증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사설 인증 시스템에 인증서 소유 검증 모듈과 인증서 유효성 검증 모듈을 추가하고, 시스템의 확장성과 관리를 용이하게 만들기 위해 Web 기반의 사설 인증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
SOiVA는 양방향 동영상 서비스를 위한 TTA 정보통신 표준이다. SOiVA 서비스는 다양한 정보를 표현하기 위해 메타데이터를 이용하는데, 이 메타데이터에는 그 중요성 때문에 반드시 제 3자로부터 보호되어야 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이 중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거나 유실 조작될 경우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적합한 보안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전자서명과 암호화 등의 기술을 이용해 SOiVA 메타데이터 보안 시스템을 설계하고,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시스템을 구현하고 예제메타데이터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가상머신에 침입 탐지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은 중대한 트레이드-오프를 갖는다. 강력한 보안 서비스를 적용할 경우 시스템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시스템 성능을 위해 보안 서비스의 수준을 낮출 경우 시스템이 안전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의 경우 짧은 시간 동안 엄청난 양의 보안 로그가 쌓이기 때문에 무작정 보안 로그를 작성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행위를 기준으로 비정상 정도를 판단하고 이를 바탕으로 멀티-레벨의 보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
본 논문에서는 동적 인스트러멘테이션을 적용한 동적 바이너리 분석 툴들에 대해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비교 분석은 각 툴들에서 공통의 항목에 맞는 특성 값들을 도출하여 비교함으로써 동일한 상황에서 툴들의 특장점을 확인할 수 있고, 각 특징에 따른 기술적인 배경을 뒷받침하여 더 나은 동적 분석 툴을 만들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였다. 이를 위해 DynamoRIO, DynInst, Pin, Valgrind의 4가지 동적 분석 툴을 지원 가능 플랫폼, 실행 메카니즘의 컨셉, 인스트러멘테이션 가능 범위, 성능, 라이선스와 관련된 입수 가능성의 5가지 주요 항목으로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
인터넷 및 서비스 환경의 발전으로 인해 컴퓨터 통신의 환경이 변함에 따라 기존의 유니캐스트 전송방식에서 멀티캐스트 전송 방식을 이용한 그룹 통신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멀티캐스트 전송 방식의 취약점 및 키 관리의 어려움으로 인해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면서 멀티캐스트 환경에서 안전하고 효율적인 키 관리 방법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멀티캐스트 환경에서 dynamic grouping을 이용한 키 관리 프로토콜을 제안하여 안전성과 효율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
무작위 SQL 삽입 공격 등을 통해 웹서버 해킹 사례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해킹된 웹서버는 난독화된 자바 스크립트 코드가 웹페이지에 삽입되어 악성코드 경유/유포지로 악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난독화된 자바 스크립트 복원 및 취약한 ActiveX 생성에 사용되는 주요 함수에 대해 후킹 기술을 적용한 브라우저를 이용해서 난독화된 스크립트를 자동으로 해독하고, 악성코드 경유/유포지로 악용되는 웹 서버를 탐지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 기술을 프로토타입 시스템으로 구현하고, 악성 URL 공유 사이트를 통해 수집한 난독화된 자바 스크립트 샘플 분석을 통해 제안한 기술이 높은 악성코드 경유/유포지 탐지율을 보이는 것을 증명한다.
-
이동통신은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음성이나 영상, 데이터 등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통신할 수 있도록 이동성을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로 이동이 자유롭지 못한 유선통신과 달리 언제 어디서나 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단순 음성통화 서비스만 가능한 1세대 이동통신 서비스가 1984년에 시작되었으며 2세대, 3세대를 거쳐 현재 데이터 통신 기능이 강화된 3.5세대 통신이 사용되고 있다. 통신의 발달과 함께 모바일 디바이스 역시 점차 발전되어 스마트폰이 등장하게 되었다. 여러 가지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폰의 장점으로 인해서 스마트폰 사용자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하지만, 스마트 폰은 일반 모바일 디바이스와 다르게 개인 정보 및 주요 정보가 디바이스에 저장되는 경우가 많아 이를 분실할 경우 심각한 개인정보 유출 사고로 확대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보안 기술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모바일 환경에서 안전성 제공 방안의 하나로 신뢰 컴퓨팅 기술을 적용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신뢰 컴퓨팅 기술을 제공하는 MTM을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주요 정보 노출을 방지하며, 비밀번호 손상 시 가용성을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 기술을 제안한다.
-
본 논문은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보안 시스템을 제안한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방대한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자원 가상화를 통해 다수의 사용자에게 그들이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보유한 자원과 시스템내에 저장된 사용자들의 정보로 인해 공격자의 공격 대상이 되기 쉬우며, 공격이 성공할 경우 단일 컴퓨팅 시스템이나, 엔터프라이즈 컴퓨팅 시스템에서의 피해 규모에 비할 수 없는 막대한 손실을 일으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보안을 위협하는 다양한 공격들로부터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한 보안 시스템을 설계하고 제안한다.
-
인터넷을 통한 IT환경의 변화로 개인정보를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들이 등장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개인정보보안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정당한 사용자를 확인하는 인증기술의 발달로 한 세션에서 패스워드 값을 사용 후 폐기하는 일회용 패스워드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일회용 패스워드는 기밀성, 상호인증, 연산량 등 여러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기존의 일회용 패스워드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타원곡선 암호 알고리즘을 이용한 일회용 패스워드 생성 기법에 관하여 제안하였다. 제안방식은 암호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기밀성을 제공하며,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상호인증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
휴대용 저장장치의 발달로 인하여 많은 보안상의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공공기관 혹은 기업체 내에서 USB메모리 등 보조기억매체를 활용한 정보유출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전송이 허가된 문서에 인증패킷의 삽입 후 실시간 패킷분석을 이용하여 휴대용 저장장치로 전송하는 문서의 이동경로 확인 및 허가되지 않은 문서들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제안하게 되었다.
-
스마트폰 사용자의 폭발적 증가와 함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시장에 대한 관심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더불어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위협 역시 증가하고 있는데 각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마켓에서는 이에 대한 대처방안 중 하나로 코드사이닝 기법을 활용하고 있다. 코드사이닝 기법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및 개발자에 대해 인증을 받는 방식에는 각 모바일 마켓별로 다른 점이 존재한다. 그 종류로는 개발자가 생성한 공개키와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애플에 전송하고 애플이 이에 대한 검증을 하여 마지막 서명을 부여하는 방식의 애플 앱스토어, 개발자가 키와 증명서를 이용해 스스로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증명서를 발급하는 방식의 구글 안드로이드 마켓, RIM에 등록되어 있는 코드사이닝 키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제출하면 자동적으로 서명을 받을 수 있는 블랙베리 앱월드, 사전에 개발자가 자기 증명을 통해 아이디를 발급받고 애플리케이션을 테스트 하우스에 등록하여 검증 및 서명을 받는 노키아오비스토어 등이 있다. 이와 같이 개발자 및 애플리케이션을 인증 받는 방식이 각 마켓별로 차이가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분석과 그에 따른 보안 위협에 대한 안정성에 대해 분석해 보겠다.
-
최근 인터넷 뱅킹이 주요 국가들의 은행 거래 서비스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보안이 중요한 인터넷 뱅킹 분야에서 국내와 해외의 보안 방식을 비교하여 도출된 시사점을 적용한다면 더 안전한 시스템 설계에 바탕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와 해외의 인터넷 뱅킹 보안의 특징과 그 진행 과정을 살펴보았다. SSL/TLS(Secure Socket Layer/Transport Layer Security) 기술을 사용하는 외국 인터넷 뱅킹에 비해 공인인증서 체계를 채택한 국내 인터넷 뱅킹은 웹 브라우저에서 지원하지 않는 암호 알고리즘을 사용하기 위한 플러그인을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불편을 느끼며, 또한 이런 플러그인 때문에 인터넷 뱅킹을 이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의 종류가 제한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플러그인을 은행 별로 서비스하기 위한 별도의 비용이 추가된다. 이런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더 나은 인터넷 뱅킹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면밀한 검증과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
공인인증서는 10여 년 간 국내 인터넷 뱅킹이나 전자상거래에서 본인인증 수단으로 긴요하게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공인인증서는 처음 발급받았던 저장매체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재발급 시에 기존 인증서를 폐기한 후 새로운 인증서를 발급받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2010년 행정안전부에서는 2013년부터 하드디스크 내 공인인증서 저장을 금지한다는 방안을 발표하였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공인인증서를 이동형 저장매체에 저장한 후 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이동형 저장매체의 중요성이 높아지게 되었으며, 분실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이동형 저장매체가 없을 시에도 안전하게 인증서를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위와 같은 불편함을 줄이고자 기존에 발급받았던 인증서를 토대로 경량화 된 일회용 인증서를 발급받음으로써 안전하고 효율적인 결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은 방대한 정보와 자료를 가진 컴퓨팅 시스템으로 해커의 공격 대상이 되기쉽다. 또한 복잡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취약점이 발생하기 쉬워 체계적인 보안 분석이 필요하다. 현재 클라우드 컴퓨팅 보안 요구사항 분석이나 권고 사항 연구를 위해 많은 국제 협의기구가 활발히 활동 중이다. 하지만 협의기구들의 연구 활동은 서비스 유형에 따라 사업자 기준에서 보안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가 보다 활발히 발달하기 위해서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을 세분화하고 그들에 맞는 보안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보안 분석들과 다르게 사용자 기준에서 분석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의 보안 분류를 제시한다.
-
지금의 IPTV는 IP기반 방송융합 서비스로서 현재 세계 유명 통신 사업자들을 중심으로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하지만 'IP+방송' 이라는 그저 단순한 결합과 부가서비스들의 제한으로 인해 기술의 비효율성이 드러나 있으며, 주로 IPTV서비스를 필두로 현재 콘텐츠에 대한 유출사고가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변화된 새로운 형태의 차세대 IPTV서비스와 더불어 그 특성에 맞게 보안 서비스에 대한 요구사항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유무선 통합 환경에서 제공되는 IPTV서비스에서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콘텐츠 서비스 제공을 위한 'CAS 적응형 DRM 모델'을 제안하였다. 사용자가 다운로드한 DRM이 적용된 콘텐츠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자신이 소유한 디바이스에서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
인간의 가장 큰 욕구인 편의와 안전을 위해 우리의 곁에서 떨어질 수 없는 것이 차량이다. 그러므로 차량을 이용하면서 겪게 되는 안전과 편의 또한 떼어놓을 수 없는 문제 중에 하나다. 그 편의와 안전을 위해 VANET이 활발히 개발 중이다. VANET은 차량에서 사용되는 근거리/중거리 통신용 무선 프로토콜로써 차량 간 통신인 V2V, 차량과 네트워크 기반구조 간의 통신인 V2I를 지원하는 네트워크로써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에 학문적, 상업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네트워크 기반의 기술인만큼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침해가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 중에서도 사용자의 익명성, 추적성, 객체인증에 관한 Location Privacy는 개발과정에서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VANET에서의 Location Privacy 보호에 대한 기술들의 개략적인 내용을 서술하고, 장단점을 분석하였다. Location Privacy 보호를 위한 기술에는 해쉬통합을 이용한 보호기술, MAC-체인을 이용한 보호기술, 그리고 세션 키 교환을 이용한 보호기술이 있다. 세 가지 기술 중에서 MAC-체인을 이용한 기술이 Location Privacy 보호에 가장 적합하다.
-
최근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악성코드에 비해 이들을 분석하기 위한 전문 인력은 매우 부족하다. 다행히 양산되는 악성코드의 대부분은 기존의 것을 수정한 변종이기 때문에 이들에 대해서는 자동분석시스템을 활용해서 분석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악성코드 자동분석에는 동적 분석과 정적 분석 모두가 사용되지만 정적 분석은 여러 가지 한계점 때문에 아직까지도 개선된 연구를 필요로 한다. 본 논문은 문자열 비교를 통해 두 실행파일에 대한 유사도를 측정함으로써 악성코드 판별 및 분류를 도와주는 정적 분석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비교 문자열의 수와 종류에 따라 그 성능이 결정되기 때문에 문자열들을 정제하는 과정이 선행된다. 또한 유사도 측정에 있어서 악성코드가 가지는 문자열들의 특성을 고려한 개선된 비교방법을 보인다.
-
최근 애플의 아이폰과 안드로이드폰이 국내에 출시됨에 따라 스마트폰에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오는 인터넷 서비스등도 같이 크게 활성화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의 보안위협에 대해서 각각의 운영체제에 따른 보안 기술을 파악하고, 서로의 보안 취약성을 비교 분석함에 따라 향후 보안 강화를 위한 방안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
기존의 단일 시그니쳐를 이용한 악성 코드 침입 탐지 시스템은 자신의 컨텐츠를 변형시키는 변형웜을 잡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변형웜을 탐지하기 위한 노력으로 변형웜에 적합한 시그니쳐를 만들기 위한 노력이 있어왔다. 이 연구는 기존의 변형웜 탐지 시그니쳐 방법들을 분석하고 비교하여, 상호 보완적인 멀티 시그니쳐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정확도 높은 변형웜 탐지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근본 기술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최근 스마트폰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스마트폰 시장 저변이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 변화에 비례하여 기존에는 크게 대두되지 않았던 스마트폰 보안 위협 역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보안 위협을 억제하기 위해 가장 손쉽게 취할 수 있는 대처방안이 스마트폰에 적합한 백신을 제작 및 배포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 현재 스마트폰 보안 위협이 구체적으로 어떠하며, 출시되어 있는 백신들을 비교, 분석하여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
IPTV 는 대표적인 방송통신융합 산업으로 IT 망의 양방향성을 이용한 서비스의 차별화를 내세우며 여러 사업자에 의해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 유선 통신망을 중심으로 제공되어 왔던 IPTV 서비스는 최근 모바일 환경 등으로 그 영역을 확대하기 위해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IPTV 서비스를 위한 플랫폼 등을 개방하여 사업자가 아닌 일반인도 IPTV 를 통한 방송을 할 수 있는 구조인 Open IPTV 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이러한 Open IPTV 환경에서는 다수의 컨텐츠 제공자가 존재하기 때문에 기존 IPTV 에서 사용 되는 특정 기기 혹은 스마트카드를 통한 사용자 인증 및 키 분배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Open IPTV 환경에서 안전한 컨텐츠 전송을 위한 사용자 인증 및 키 분배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