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e-Learning

이러닝 수강생 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 문숙경 (목원대학교 정보컨설팅학과) ;
  • 남상조 (목원대학교 서비스경영학부)
  • Published : 2007.01.28

Abstrac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e-Learning, and attempt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educational results. Based on survey data from 712 distance learning participants, we selected and verified factors affecting educational results through a correlation analysis and confidential test. Participants' scores were standardized and considered as a dependent variable representing educ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several tests using the program AMOS, we suggest the most appropriate structural equation that can verify the causal relation of factors affecting the effectiveness of e-Learning. In result, the most important factor affecting score which is our measurement for educational effectiveness is job-possession. The fidelity has slightly direct influence to the score and the satisfaction has least indirect influence to the score.

본 연구에서는 이러닝 수강생들의 교육 효과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어떤 요인들이 교육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가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러닝에 실제 참여한 712명의 이러닝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학기말 경에 설문을 실시하여 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학기를 마친 후 설문에 응한 학생들의 실제 취득점수를 표준화하여 종속변수로 설정하였고 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AMO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을 통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성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장유무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충실도는 성적에 작은 직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만족도는 성적에 간접적으로 가장 작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밝혀졌다.

Keywords

References

  1. D. L. kirkpatrick,Evaluation Tranining Prorams: The Four Levels, Berrett-Koehler Publishers,1994.
  2. 감윤진, 웹 기반 가상 연수의 교육효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1991
  3. 정인성,최성희,"온라인 열린 원격교육의 효과 요 인 분석" 교육학연구,제37권,제1호, pp.369-388, 1999.
  4. 조영만, 원격교육의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 L기업의 원격교육 시스 램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경영학과 석사학위논문, 2001.
  5. 김효근,곽소아,서현주 "기업의 e-Learning 교육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2004년도 한국경영정보학회 춘계 학술대회 논문집, pp.36-44, 2004.
  6. 정인근, 조정융, "e-Learning에서의 학습환경과 학습자 자기효능감이 학습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학습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2004년도 한국경영정보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pp.3-9, 2004.
  7. 정인성, 임철일, 최성희, 엄정훈, "평생교육을 위한 웹기반 학습에서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효과분석", 교육공학연구, 제 16권, 제 1호, 2000.
  8. 이인숙, "e-Learning 환경에서의 자기조절 학습전략, 자기효능감과 e-Learning 학습전략 수준 및 학업성취도 관련성 규명", 교육공학, 제 19권, 제3호,pp.41-68, 2003.
  9. 이웅규, 이종기, "e-Leaming에서의 학습환경과 학습자 자기효능감이 학습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경영정보학연구, 제 16권, 제1호, pp.1-19, 2006.
  10. 이웅규, 이종기, "가상강좌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품질요소와 자기효능감", 한국품질경영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pp.357-264, 2004.
  11. 김현수, 최형림, 김선희, "가상교육의 핵심 성공요인", 교육공학연구, 제 15권, 제 1호, pp.241-264, 1999.
  12. 박성현, 조신섭, 김성수, 한글 SPSS, 한나래, 2006

Cited by

  1. Participant Characteristic and Educational Effects for Cyber Agricultural Technology Training Courses vol.21, pp.1, 2014, https://doi.org/10.12653/jecd.2014.21.1.00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