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미디어 교육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모델 연구 -온라인 대학을 중심으로-

Study on Curriculum Model for Media Education Expert -Basis on Online University-

  • 이성균 (서울디지털대학교 교육학부) ;
  • 윤영두 (강원대학교 디자인학과)
  • 발행 : 2010.01.28

초록

최근 우리나라는 미디어법의 통과로 인하여 미디어의 영향력이 더욱 증가하게 되었다. 그러나 미디어문화의 발전과 체계적인 미디어교육 시스템이 갖추어져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이제는 단순한 ICT활용 교육에서 벗어나 새로운 미디어문화를 만들어갈 수 있는 교육적 역할 제시를 위해 비판적이고, 창조적인 미디어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어 가야 한다. 본 연구는 미디어교육이 학교 밖에서 뿐만 아니라 학교 내의 공교육으로까지 올바른 미디어교육의 활성화와 체계적인 시스템을 만들어 가기 위한 방법으로 통합적 미디어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을 위한 새로운 전문인 양성 교육과정을 제안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진행되어져 왔던 단편적이고 비체계적인 미디어교육 시스템에서 벗어나, 좀 더 전문적이고 체계적이며 구체적 방법인 미디어 리터러시 영역, 미디어스토리텔링 영역, 미디어제작 영역 등의 세 가지의 교육단계로 교육과정을 나누어 제시하였다.

Since the Media law recently passed, the media's influence has further enhanced than before. However, in reality, systematic media education can't catch up a trend of the fast growing media culture development. The new paradigm is much needed in getting rid of utilizing previous ICT training tool but rather using a creative and critical new role model. This study, media education in schools outside the school, as well as to the proper education of the active and systematic media education system as a way to create a top integrated media that is responsible for training new teachers to offer courses to train professionals. To change fragmentary and unsystematic media education system having been implemented to more professional, systematic and concrete, it is proposed that 3 systematic courses media literacy course, media story telling course and media production course should be implemented.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기태, “미디어 교육 전문지도자 양성 시스템 연구”, 한국언론학회, No.03, pp.32-34, 2007.
  2. 김규원, “지역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미디어 교육활성화 방안”, 충북개발연구원, No.04, p.6, 2008.
  3. Renee Hobbs, “The seven great detates in the media literacy movement,” Journal of Communication, Vol.48, No.6, p.6, 1998.
  4. 최민재, 한국의 미디어교육 현황, 한국언론재단, 2006.
  5. 김기태, 이제는 미디어 교육이다, 바른 언론 시민문화 교실, 2007.
  6. 김양은, 안정임, “미디어 교육의 개념 및 학교 미디어 교육의 방향”, 한국언론학회, No.1, pp.3-4, 2004.
  7. 최민재, 한국의 미디어교육현황, 한국언론재단, 2006.
  8. 은혜정, 영국의 미디어 교육, 세계 미디어 교육 모델, 한국언론재단, 2000.
  9. 조동원, 영상문화교육 교육과정 기초연구, 영화진흥위원회, 2002.
  10. http://www.academyinfo.go.kr/schoolSearchAction.do
  11. 정현선, 미디어 교육과 비판적 리터러시,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12. 문혜성, “미디어교육이 변화하고 있다", 한국언론학회, No.1, p.29, 2003.
  13. 주형일, 미디어 교육의 원리와 방법, 영남대학교출판부, 2008.

피인용 문헌

  1. Change of Teachers' Activities since using Technology in Schools and its Differences in the Psychological Background vol.11, pp.9,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9.536
  2. Exploratory Study on the Impact of News Literacy Self-Efficacy on News Content Usage: Based on News Consumers in 20s vol.13, pp.8,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8.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