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sign Strategy for Improving the Effect of Educational Contents for Public Institutions

공공기관 교육용 콘텐츠의 학습효과 증진을 위한 디자인 전략

  • 박성억 (중원대학교 IT공학부 컴퓨터그래픽디자인학)
  • Received : 2009.09.01
  • Accepted : 2010.03.22
  • Published : 2010.03.28

Abstract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are rapidly built through networks; and, through this, epochal changes and developments are reoccurring in diverse societal economic cultural ways. Especially, digital-education emerging together with educational environment changes is taking its place as an educational system which will be able to replace traditional education methods by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ime and space held by present education methods. The role of GUI(Graphic User Interface) design, which adds user cognitive power and convenience as a method of purveying innumerous information, is growing. Consequently in this research, through the analysis of educational contents utilized in public organizations, research is performed regarding an educational content design for a more effective education of learners.

지식과 정보가 네트워크를 통해 빠르게 구축되고, 이것을 통해 사회 경제 문화의 다양한 측면에서 획기적인 변화와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발전은 교육환경에도 크게 영향을 미쳐 인터넷을 활용하여 학습 성과를 높이려는 시도가 다방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교육환경 변화와 함께 출현한 디지털 교육은 기존의 교육 방법이 가지는 한계인 시공간의 제약을 극복하여 전통적 수업방식을 대체 할 수 있는 학습 시스템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하지만 최근 급속한 양적인 성장은 개발과정에서 전문적인 학습이론이나 디자인적 고려 없이 단순히 텍스트를 이용하거나 각종 멀티미디어 소스를 무분별하게 사용하여 호기심 유발에만 치중한 나머지 정작 학습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양질의 콘텐츠가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의 수많은 정보들을 전달하는 방법으로 사용상의 인지력과 편리함을 더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디자인의 역할은 점점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웹상에서 서비스되고 있는 공공기관 교육용 콘텐츠의 체계적인 분석을 통하여 학습자에게 보다 현실적이고 효과적인 교육이 되기 위한 디자인 전략에 대해 연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용 콘텐츠 질 관리 방안 조사 분석,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 RR 2005-01
  2. 이혜정, 김태현, “2006, 이러닝 콘텐츠 제시 유형이 학습결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공학회추계학술대회 발표자료, pp.171-182, 2006.
  3. "2008이러닝산업실태조사", 한국전자거래진흥원보고서, 2008.
  4. "2007년 해외 디지털콘텐츠 시장조사",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 2007.
  5. 박현숙, "도덕과 교수학습에서의 컴퓨터 멀티미디어 자료 제작과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p.17, 2001.
  6. 이현수, "디지털 디자인너", 학문사, 1996.
  7. 조철희, 이경용, "웹상의 GUI 구현을 위한 감성디자인 활용에 따른 유져빌리티의 향상에 관한 연구", 디자인연구 통권 제9호 pp.25-35, 2004.
  8. kevin Mullet, Darrell Sano, 황지연 옮김, “비주얼인터페이스 디자인”, 안그라픽스, 2001.
  9. 린다 와인만, “웹 그래픽 디자인”, 안그라픽스, 2000.
  10. Holzschlag, “Web by Design,” 삼각형프레스, 2000.
  11. 패트릭J린치,“웹 스타일 가이드”, 안그라픽스, 2000.
  12. 최윤철, “실용인터넷”, 생능출판사, 2000.
  13. Bijan B.Gillani저, 김영수.김혀닌.한승연 공역, “학습이론과 이러닝환경 설계”, 교육과학사, 2007.
  14. 김종현, “월간웹디자인, 일관된 스타일적용을 위한 웹스타일 가이드 제작”, 임프레스, p.82,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