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상가 및 쇼핑센터의 범죄예방진단 프로그램 개발

Diagnosis Program Development for Shopping District and Shopping Mall

  • 투고 : 2010.06.07
  • 심사 : 2010.07.13
  • 발행 : 2010.08.28

초록

범죄로부터 안전이 시민들에게는 일상생활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요인이라는 의식이 자리를 차지하면서 공적공간뿐만 아니라 사적장소에서의 안전에 대해 국가나 지방정부는 시민들의 안전을 보장할 책임이 있다.범죄는 시민들의 일상생활에서 공포와 두려움의 대상이 되기 때문에 이러한 범죄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면 시민들의 삶의 질도 개선되지 못할 것이다. 범죄로부터의 안전한 지역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다양한 정책들이 구성되어야 하겠지만 그 중심에는 CPTED의 도입이 필수적일 수밖에 없다. CPTED는 도시공간의 물리적 환경설계를 범죄로부터 방어적인 구조로 변경 또는 적용함으로써 범죄와 범죄피해에 대한 공포를 차단하고 감소시켜 주는 이론이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안전을 위협하는 범죄에 대한 예방 방안 중의 하나로서 상가 및 쇼핑센터를 중심으로 한 범죄예방 진단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정책에 이용하고 나아가 지역주민의 안전한 삶을 보호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Recently, in contemporary society, because of the international economic crisis and the increase of unemployment, there are dangerous crime elements that threaten the safety of citizen. The Safety from the crime is important as much as existence of need. Therefore, in order to make the safety of community, the government needs to make the best effort. In everyday life, crime is the fear of the target. Therefore, if the government can not solve the crime problem, the quality of citizen's life can not improve. In order to safety of community, this study is the one of the crime prevention diagnosis about shopping district and shopping mall. Also, this study can apply to the policy. If this study can apply to the policy, the safety of citizen's life will be protecting. The content of this study consist of introduction in chapter 1, theoretical consideration in chapter 2, foreign crime prevention diagnosis evaluation in chapter 3, crime prevention diagnosis in chapter 4 and conclusion in chapter 5.

키워드

참고문헌

  1. 국감자료, 2009.10.23.(보안뉴스).
  2. 이상원, 범죄예방론, 서울: 대명출판사, 2005.
  3. Derek J. Paulsen, Matthew B. Robinson, Spectical Aspects of Crime: Theory and Practice, N.Y. : Macmillan, 2004.
  4. Clarke Ronald, Situational Crime Preventio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5.1995.
  5. 최응렬, 김연수, “방범용 CCTV의 범죄예방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16권, 제1호, pp.147-160, 2007.
  6. Siegel, Larry J. Criminology, Belmont, CA: Wadworth/Thomson Leanning, 18thed, 2003.
  7. Newman Oscar, Defensible Space, N.Y.: Macmillan Publishing Co. Inc, 1973.
  8. Theethorn Pochara, "Architectural Style, Aesthetic Landscaping, Home Value and Crime Prevention," Intennational Journal of Comparative and Applied Criminal Justice, 12.
  9. 노호래, “범죄예방을 위한 CCTV의 효과적 활용 방안”,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19호, pp.11-50, 2005.
  10. Siegel, Larry J., Criminology, St. paul, MN: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1998.
  11. P. Mayhew, "Defensible Space, The Current Status of Prevention Theory", Howand Journal of Pendogy and Crime Prevention, Vol.18, pp.332-349, 1979.
  12. 경찰청,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방안, 2005.
  13. 이상원, “안전한 사회구축을 위한 CPTED전략, “한국경찰학회보, 제21호, pp.98-99, 2009.
  14. 이상원.김상균, “공동주택 방범평가 지표개발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37호, pp.227-250, 2009.
  15. National Crime Prevention Council of Singapore, Crime Prevention Checklist, 2003.
  16. Department of Community Development Services, Federal Way City, CPTED Checklist(2004).
  17. NSW Police Force, Companion to Safer by Design Crime Risk Assessment Vol.15.2007.
  18. 경찰청,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방안,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