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movies in the 1930s

영화광고로 본 1930년대 영화연구 -『매일신보』와 『동아일보』 영화광고의 비교-

  • Received : 2011.09.30
  • Accepted : 2011.11.16
  • Published : 2011.11.28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and compared Dong-a Il-bo, a new material, based on the result of analysis of movie commercials on Mae-il Shin-bo from the previous study. Although we could not analyze precisely them in regard to their form,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m in terms of where they show movie commercials and how large their movie commercials are. However, in terms of the content, the characteristics of movies in the 1930s correspond with the result of the study that analyzed Mae-Il Shin-Bo. As Mae-Il Shin-Bo was actually a organ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nd Dong-A Il-Bo was a representative of private newspapers, our comparative study actually covered almost all materials on the movies of the 1930s, considering repeating movie commercial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can learn more precise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vies in the 1930s.

이 연구는 1930년대 상영영화에 대한 "매일신보"와 "동아일보"에 실린 영화광고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형식적인 면에서의 분석보다는 게재내용상의 비교, 분석에 중점을 두고 연구가 진행되었다. 두 신문의 광고는 게재면수나 단수에서는 그 형태상 다소 차이를 보였지만 내용적인 면에서는 "매일신보"와 "동아일보"가 대부분 일치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총독부 기관지의 성격을 띤 "매일신보", 민간신문의 대표격인 "동아일보"를 비교 조사한 결과는 광고의 반복을 고려한다면 1930년대 상영작품에 대한 대부분의 광고 자료를 확보한 것으로 1930년대 상영영화 광고 특징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보다 확장된 1930년대 한국영화의 특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수남, 한국영화의 쟁점과 사유, 서울: 문예마당, 1997.
  2. 동아일보사, 동아일보사지, 서울: 동아일보사, pp.409, 1975.
  3. 신인섭, 김병희, 한국 근대 광고 걸작선 100,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pp.176, 2007.
  4. 어일선, 일제강점기 영화광고에 나타난 개봉 영화 의 특성 연구:매일신보 영화광고와 개봉 영화 의 특성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대학원, 2010.
  5. 임정택, 세계영화사강의,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pp.128-129, 2001.
  6. 정진석, 한국 언론사, 서울: 나남출판사, 1990.
  7. 정진석, "광고 사회사II(일제강점기의 광고)", 광고연구, 가을호, pp.331-380, 1991.
  8. 조희문, 초창기 한국영화사 연구: 영화의 전래와 수용(1896-1923),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2.
  9. 조희문, "최근 한국영화사 연구 경향에 대한 비판적 평가", 한국영화사연구, 제3호, pp.133-158, 2005.
  10. 차하순, 서양사총론, 서울: 탐구당, pp.543, pp.583, 1986.
  11. 한국광고단체연합회, 한국광고 100년, 서울: 나남출판사,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