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ulture and Art Policies of Korean government for Traditional Dancing Digital Contents

전통춤 디지털 콘텐츠에 관한 문화예술정책 연구

  • Received : 2012.07.30
  • Accepted : 2012.09.10
  • Published : 2012.09.28

Abstract

It is the time of the Korean Wave booming throughout the world, placing Korean culture in the center of the world and its added value is unaccountable. At this prosperity, the preserving of the archetype of Korean dancing and digital contents making is becoming a task not only for the government but also for the private sector because culture industry has enormous added values. To achieve such goals, contents development is an urgent matter but establishing the value of the archetype of Korean traditional dancing must have priority. The public has to take an active role in rediscovering the values of traditional culture, and as the representative of Korean identity traditional dancing must be the object of a systematic art policy. This study will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digital contents program of the archetype of culture' for traditional dancing and will reconsider the modern value of preserving the archetype of culture to make a suggestion to the direction of culture art policies in the near future. The study acknowledged the lack of technical personnel majoring in the archetype of traditional dancing and the need of reviewing the credibility of historical research procedures. Even with the studies by industry-university collaboration and positioning of specialists, effective policies that will form the foundation for private firms to train personnels is in urgent need. In other words, training personnels, allocation of resource, securing funds, policies promoting collaboration between private and individual businesses, and the commercial recognition at private firms are still far from establishing.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archetype of culture is not a business that creates revenue immediately, therefore the recognition of traditional dancing as an investable item by business-oriented firms or movements are difficult to find. To overcome such situation, software oriented policies that establish open communication and sharing with the public should be done at first rather than the quantity oriented hardware policies of contents development. Through this process the public can change the attitude on traditional dancing and traditional dancing could be newly recognized as a creative repository of culture and as public businesses giving birth to economic value.

세계적으로 한류 붐이 일면서 한국문화가 세계의 중심에 자리잡고 있는데 이로 인해 생겨난 부가가치는 측정하기 어려울 정도로 크다. 이에 따라 한국 전통춤의 원형을 보존하는 일과 디지털 콘텐츠화 작업은 정부만의 일에 그치지 않고 막대한 부가가치 가능성 때문에 문화산업측면에서 민간 부문이 관심을 크게 기울이고 있다.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콘텐츠 개발이 시급하기는 하나 한국 전통 춤의 원형의 가치를 확립하는 일이 선행되어야 한다. 대중은 문화적 가치를 재발견하는데 있어서 적극적 역할을 해야 하며 한국인의 정체성을 대표하는 전통 춤은 체계적인 예술정책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 이 논문은 전통춤 디지털 콘텐츠 개발의 실태를 점검해보고자 한다. 또한 문화원형을 보존하는 것이 지닌 현대적 가치를 재조명해봄으로써 가까운 미래의 문화예술정책의 방향에 관해 제언하고자 한다. 연구를 통해 전통춤의 원형에 관한 전문 인력이 부족한 점과, 역사적 고증 절차의 신뢰성을 점검해야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했다. 산학협력단의 협동과제와 전문 인력 배치에도 불구하고 민간 기업이 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은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다. 즉 인력 양성과 자원 배분, 예산 확보, 민간 분야와 개인의 협력 증진, 민간 기업의 산업적 차원에서의 관심은 부족하다. 이는 문화 원형이 즉각 수입을 창출해주는 비즈니스가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비즈니스 지향적인 회사가 전통춤을 불가피한 요소로 인식하는 경우도 없으며 그러한 시도도 아직 없다. 이를 위해서는 콘텐츠 개발이라는 하드웨어적인 정량적 정책보다 대중의 소통과 참여와 나눔을 통해 문화수요를 촉진하는 소프트웨어적 정책이 우선 추진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전통춤의 가치에 대한 자연스런 인식 변화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정책을 통해 전통춤은 문화의 창조적 보고로서, 또한 경제적 가치를 만들어내는 공공산업으로 새롭게 인식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Easton, David, Systems Analysis of Political Life, New York: Wiley, p.358, 1953.
  2. 노시평, 박희서, 박영미, 정책학, 서울:학현사, pp.3-4, 1999.
  3. 샤르칸스키(Sharkanskym) Ira, Public Adminstration: Policy-Making In Government Agencies, 3rd ed., Chicago: Rand McNally Co, 1975.
  4. 안선국, 한국의 전통공연예술 정책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2-13, 2004.
  5. 임희섭, "한국사회의 발전과 문화", 전환기시대의 문화와 문화변동, pp.37-38, 1987.
  6. 서종대, 한국전통문화의 형성과 특징에 관한 연구 - 60년대 이후 무형문화재 마당종목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8, 1994.
  7. 김정수, "국제화.세계화 시대의 한국행정의 진로", 한국행정연구원, p.45, 1995.
  8. 이용학, 무형문화재 전승.보존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20, 1999.
  9. 김교빈, "문화원형의 개념과 활용", 인문콘텐츠 제6호, 인문콘텐츠학회, p.11, 2005.
  10. 안지영,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화 사업을 중심으로 본 무용콘텐츠 활성화 방안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12, 2008.
  11. 배수율, 디지털 무용콘텐츠에 대한 가치 인식 조사와 발전 방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28, 2006.
  12. 정민, 조성문, 이인호, 최형욱, "한.중 전통문화 관련 디지털 인문콘텐츠 실태 비교 및 수준 향상 방안 연구", 한국학 논집, 제36집, p.153, 2002.
  13. 김기헌, 문화원형 디지털 콘텐츠화 사업의 발전 방향 연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12, 2010.
  14. 이헌숙, 문화예술 정책이 경제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p.17, 2012.
  15. 최재승, 문화를 읽는다, 미래를 본다: 21세기 한국문화정책의 방향 모색, 서울:나무와 숲, pp.77-81, 2011.
  16. 임학순, "한국 문화정책 연구 경향 분석(1998-2007)", 문화정책논총, 제21집, pp.99-104, 2009.
  17. 김정연, 김재웅, "한국 애니메이션에 있어 문화 정책의 영향과 그 변용",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7, No.12, pp.55-65, 2007.
  18. 김기헌, 문화원형 디지털 콘텐츠화 사업의 발전 방향 연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98, 2002.
  19. 롤런드 로버트슨, 세계지역화: 시간, 공간과 동질성, 이질성, 윤민재 편저, 근대성 탈근대성 그리고 세계화, p.73, 2000.
  20. 김재영, "원형이론의 이해: 칼 융과 그 이후 의논리를 중심으로", 인문학 콘텐츠 워크샵 자료, pp.2-16, 2005.
  21. 김진영, "문화콘텐츠 신전략과 개발모형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14, 2011.
  22. 경기문화재단, 경기 북부형 커뮤니티아트 모델 네트워크화 최종보고서, p.75, 2009.
  23. 한국도시지리학회, "지방도시 경쟁력 창출을 위한 커뮤니티 활성화 사업방안 연구", 2008, 오세형, 커뮤니티 아트의 유형과 사례연구, 성공회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5, 2011. 재인용.
  24. 노수정, 커뮤니티 아트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연구,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7, 2009.
  25. 김진영, "문화콘텐츠 신전략과 개발모형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22, 2011.
  26. 이성호, 김말애, "체육공원내의 야외공연장 건립에 관한 법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1, p.212, 2012.
  27. 전범수, "문화예술 취향 레퍼토리 구조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6, pp.201-210,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