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커피관련전공의 교육서비스품질이 학생만족도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of the Coffee-realted Majors on the Students' Satisfaction and Recommend Intention

  • 투고 : 2012.10.16
  • 심사 : 2012.12.10
  • 발행 : 2013.01.28

초록

커피산업의 분야가 확대 발전되면서 체계적이고 실용성 있는 지식을 갖춘 인력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한 커피교육기관의 증가는 그 외형적 성장에 비해 내실화는 다소 미흡하다고 여겨진다. 따라서 전문직업인의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직업전문학교의 커피관련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서비스 품질의 구성요소와 그에 대한 만족도 그리고 학생만족도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여 커피교육의 적정성과 개선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실증연구를 통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서비스 품질의 5개 차원(유형성, 신뢰성, 반응성, 내용성, 확신성)은 학습만족도와 추천의도에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커피교육의 발전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커피교육관련 실습시설과 장비의 구비가 우선적 고려요소였으며 지도력과 전문성 있는 교, 강사의 중요성도 제시되었다. 또한, 커피전공을 선택함에 있어서 소신성을 보이고 있지만 직업으로의 연계에 불만족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장기적 대책을 수립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reason I propose the work to suggest the appropriate education for coffee and improvement on the service quality of education coffee related majors at vocational school that affects the students' satisfaction and recommend intention, achieved the training for professional man. For the study, I did a research in October, 2011, targeting 263 students who complete regular course majoring in coffee at vocational school. The main study results as follows. First, the result from the service quality of education that affects students' satisfaction, the tangibles is the highest portion followed by assurance, contents, responsiveness and reliability. Second, the result shown satisfaction has influence on loyalty represents the positive effect which corresponds to the previous study. Through the study, the facilities and equipment are the most considerable elements for improving coffee education and the professional teachers and instructors with leadership are also necessary condition in order to develop coffee education system though, the students are not satisfied with all connection towards their future careers, hence I deliberate the long term measures to improve all matters for coffee industry.

키워드

참고문헌

  1. P. Kotler and K. F. A. Fox. Strategic Marketing for Educational Institutions. New Jersey : Prentice Hall. 1995.
  2. 최덕철, 이경오, "대학교육서비스 마케팅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Journal of Global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제6집, pp.339-366, 2000.
  3. C. H. Lovelock, Service Marketing Englewood Cliffs, New Jersey : Prentice-Hall, 1991.
  4. 차수련, 채연수, "교육서비스 품질의 측정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독경상논총, 제20권, pp.81-111, 1999.
  5. F. Abdullah, "The Development of HEdPERF: a New Measuring International Journal of Consumer Studies, Vol.30, No.6, pp.569-581, 2006. https://doi.org/10.1111/j.1470-6431.2005.00480.x
  6. 김소영, 김연정,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의 서비스 품질 측정과 기대 효과에 관한 연구", 문화경제연구, 제12권, 제1호, pp.110-134, 2009.
  7. 조영대, 임효원, "관광호텔 조리종사원의 직무에 대한 의식과 만족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 제16권, 제1호, pp.25-40, 2003.
  8. 이유재, 이준엽, "서비스품질에 관한 종합적 고찰", 경영논집, 제31권, 제3호, pp.249-283, 1997.
  9. H. K. Hunt,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Consumer Satisfaction and Dissatisfation. Introduction and CS/D-Overview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Cambridge, Massachusetts : Marketing Science Institute, 1977.
  10. D. K. Tse and P. C. Wilton, "Models of Consumer Satisfaction Formation : An Extens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25, No.2, pp.204-212, 1988. https://doi.org/10.2307/3172652
  11. 최명철, 관광교육 서비스품질과 참여자 관계성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12. 최규환, "관광분야 대학교육서비스 평가에 관한 구조적 관계 연구", 관광학연구, 제32권, 제2호, 2008.
  13. 박주성, 김종호, 신용섭, "대학 교육서비스 품질 요인이 학생만족, 재입학의도 및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저널, 제4권, 제4호, pp.51-71, 2003.
  14. 정유리, 차석빈, "교육서비스품질, 학생만족 및 학교충성도간 관계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제23권, 제2호, pp.139-155, 2008.
  15. A. Astin, What matters in college? : Four Critical Years Revisited, San Francisco, CA.:Jossey-Bass Publishers, 1993.
  16. S. Magnus and R. Sara, "Receiving word-of-mouth from theservicecustomer : Anemotion-based effectiveness assessment," Journal of Retailing and Consumer Services, Vol.14, No.2, pp.123-136, 2007. https://doi.org/10.1016/j.jretconser.2006.10.001
  17. W. Stephen and R. E. Litvin, "Electronic word-of-mouth in hospitality and tourism management," Tourism Management, Vol.29, pp.1-11, 2007.
  18. 정민의, 장양래, "박람회 여행상품속만족에 의한 재 구매와 추천 관계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제24권, 제2호, pp.235-253, 2000.
  19. M. J. Bitner, "Evaluating Service Encounters The Effects of Physical Surroundings and Employee Responses," Journal of Marketing, Vol.54, pp.69-82, 1990. https://doi.org/10.2307/1251871
  20. S. A. Taylor and T. L. Baker, "An Assessm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in the Formation of 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Journal of Marketing, Vol.57, pp.18-34, 1994.
  21. 노영, 조선구, "대학교육서비스품질 만족도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고객만족연구, 제6권, 제2 호, pp.101-117, 2004.
  22. 엄은주, "대학서비스가 학생 재구매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인문사회논총, 제14권, pp.207-224, 2007.
  23. 유동근, 박노현, "서비스품질에 따른 고객만족 및 행동의도의 구조적 관계", 한국호텔경영학연구, 제7권, 제1호, 1998.
  24. 양태식, 대학의 교육서비스 품질이 학생만족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4.
  25. 최명환, 체육계역학과의 강의서비스품질이 만족, 신뢰 및 강의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26. 구순이, "서비스모호성이 소비자만족의 형성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마케팅연구, 제1권, 제4호, pp.76-105, 1999.
  27. 양수영, 서비스품질의 영향요인과 고객만족에 관한 연구: 이동통신 산업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28. A. V. Parasuraman, A. Zeithaml, and L. L. Berry, "SERVQUAL : Amulti-Item Scale for Measuring Consumer Perceptions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Retailing, Vol.64, Spring, pp.12-40, 1988.
  29. A. V. Parasuraman, A. Zeithaml, and L. L. Berry, "Refinrment and Reassessment of SERVQUAL Scale," Journal of Retailing, Vol.67(Winter), pp.420-450, 1991.
  30. J. J. Cronin and S. A. Taylor, "Measuring Service Quality A Reexamination and Extension," Journal of Marketing, Vol.56, pp.55-68, 1993(7).
  31. 황인호, 신재익, 정기한, "학생만족의 구조적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고객만족경영연구, 제8권, 제1호, pp.31-47, 2006.
  32. R. L. Oliver, Satisfaction: A Behavioral Perspective on the Consumer, McGraw Hill, New York. p.177, 1997.
  33. 신우성, "문화관광축제 방문자 만족의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에 관한 연구", 관광서비스연구, 제8권, 제1호, pp.35-51, 2008.
  34. 신우성, "문화관광축제 서비스품질과 가치가 관광객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제16권, 제3호, pp.107-125, 2009.

피인용 문헌

  1. The Model Development of Satisfaction Measurement Index of Education Service and the Improvement Plan of IPA vol.13, pp.11,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1.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