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간호사의 노인의 성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성교육 요구도

Nurses' Knowledge, Attitude and Education Needs for Sexuality of the Elderly

  • 투고 : 2012.12.28
  • 심사 : 2013.02.12
  • 발행 : 2013.03.28

초록

본 연구는 간호사의 노인의 성에 대한 지식, 태도, 교육 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전라북도의 I, K, J시의 종합병원 2곳과 노인 요양원(병원) 5곳에 근무하는 간호사 235명이었으며 자가보고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2년 12월 1일부터 10일까지 자료 수집을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각 변수는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DUNCAN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성지식 평균점수는 $15.91{\pm}6.43$이고, 결혼(p=.024), 근무지(p<.001), 경력( p=.006), 성교육 필요여부(p<.001), 성교육 수용여부(p<.001)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성태도 평균점수는 $38.26{\pm}4.41$이고 근무지(p=.033), 노인 가족과 동거여부(p=.009), 성교육 필요여부(p<.001), 성교육 수용여부(p<.001)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성교육 요구도의 평균점수는 $35.97{\pm}6.28$이며 연령(p=.023), 노인 가족과 동거여부(p=.014), 성교육 필요여부(p<.001), 성교육 수용여부(p<.001)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간호사의 노인의 성에 대한 성지식은 성태도(p<.001)와 성교육 요구도(p<.001))가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로 학부과정 및 간호사 대상으로 노인의 성에 관한 전반적인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기초로 임상에서 노인들의 건강 사정 및 간호 중재 시 노인의 성에 대해 좀 더 적극적인 간호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nurses' sexual knowledge, attitude and sex education needs of the elderly. The participants were 235 nurses who were working at hospitals, geriatric hospitals and nursing homes at I city, K city and J city in Jeollabukdo province.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self questionnaire scale from December 1, 2012 to December 10, 2012. First, the mean score of sexual knowledge was $15.91{\pm}6.43$.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marital status(p=.024), workplace(p<.001), duration of work experience(p=.006), sex education needs(p<.001), sex education acceptance(p<.001). Second, the mean score of attitude was $38.26{\pm}4.41$.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workplace(p=.033), living with the elderly(p=.009), sex education needs(p<.001) and sex education acceptance(p<.001). Third, the mean score of sex education needs was $35.97{\pm}6.28$.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age(p=.023), living with the elderly(p=.014), sex education needs(p<.001) and sex education acceptance(p<.001). Nurses' knowledge on the elderly's sexuality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attitude(p<.001) and sex education needs(p<.001). This study indicated that general education on sexuality of the elderly fo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and registered nurses is essential. More active nursing care on the elderly's sexuality is required when providing them with health assessment and nursing interventions.

키워드

참고문헌

  1. 통계청, 인구 총 조사, 2011.
  2. 최아름, 노인의 삶의 질 결정요인에 관한 한일 비교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3. 노준희, 임은주, "농촌거주 노인의 성지식과 태도", 노인간호학회지, 제13권, 제2호, pp.109-119,2011.
  4. 권명숙, 노인의 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5. 윤은숙, "노인간호학 개설 현황 및 교과과정 조사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4권, 제2호,pp.188-194, 2008.
  6. 김봉임, "간호 관련 인력의 노인의 성에 대한 지식과 태도", 노인간호학회지, 제9권, 제2호,pp.163-172, 2007.
  7. 김남초, "노인의 성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과 태도", 노인간호학회지, 제2권, 제2호, pp.195-203,2000.
  8. 이명옥, "노인의 성생활에 대한 문헌고찰", 노인간호학회지, 제4권, 제2호, pp.113-122, 2002.
  9. 황은희, 신수진 "지역사회 거주노인의 성생활과삶의 만족도간 관계", 성인간호학회지, 제24권, 제2호, pp.183-190, 2012.
  10. 문장합, 노인의 성적 권리에 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11. 이자경, 노인의 성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영향인자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2. 김광태, 노인의 성생활에 대한 재가노인과 시설노인의 지식과 태도 연구,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13. 최유호, 김윤정, 김용미, "시설 노인의 성태도, 성욕구가 성 대처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제10권, 제10호, pp.227-236, 2010.
  14. 김대숙, 재가 남녀 노인의 성지식, 성태도, 성교육 요구 비교,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12.
  15. 국민건강보험공단, 연령별 성병 환자 현황, 2011.
  16. M. Smith, "The Nurse as promotor of sexualhealth Rehabilitation in adult nursing practice,"Edenburgh : Churchull Living Stone, 1999.
  17. 오진주, "노인의 성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간호학생들의 지식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연구",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9권, 제1호, pp.64-71,1998.
  18. 유소영, 노인의 성지식과 태도 및 성생활 실태,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9. 한혜자, 김남초, 지성애 "노인의 성 지식과 태도및 교육요구", 성인간호학회지, 제14권, 제2호,pp.45-55, 2003.
  20. 김효정, 간호사의 노화와 노인의 성에 관한 지식과 태도,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21. 정서연, 노년기 성인식과 성교육 수요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12.
  22. 정희원, 노인성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성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23. C. B. White, "A Scale for the assessment ofattitude and knowledge regarding sexuality inthe aged," Archives of Sexual Behavior, Vol.11,No.6, 1982.
  24. C. B. White, "A Scale for the assessment ofattitude and knowledge regarding sexuality inthe aged," Archives of Sexual Behavior, Vol.11,No.6, 1982.
  25. 박미현, 박명화 "성교육이 노인의 성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노인간호학회지, 제12권, 제1호,pp.62-71, 2010.

피인용 문헌

  1. Effects of Sex Education Program on Careworkers' Knowledge, Attitudes and Coping toward Sexuality of the Elder vol.14, pp.12,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2.8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