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Utilizing Mobile Social Game as a Gamification Advertising Platform

게임화(Gamification)된 광고 플랫폼으로서 모바일 소셜네트워크게임(SNG)의 활용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게임(SNG) <레스토랑스타>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 신지호 (건국대학교 예술학부 영상전공)
  • Received : 2013.02.27
  • Accepted : 2013.04.01
  • Published : 2013.04.28

Abstract

This study is about utilizing social game as a gamification advertising platform. Since iPhone released to the world, the smart phone industry has rapidly increased. And the development of the smart phone industry has rapidly increased its rate of users in which it has led to leaping growths of new kind of service such as SNS(Social Network Service), and SNG(Social Network Ga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edicting the development of advertising industry in smart phone paradigm shift. This study focused on social network game as a gamification advertising platform, and studied on case of which is social network game used as a gamification advertising platform. Finally, this study has developed suggestions for new way of advertising by utilizing Mobile social network game as a gamification advertising platform.

본 논문은 게임화된 광고 플랫폼으로서 소셜 네트워크 게임을 활용하는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진행되었다. 아이폰이 세상에 소개된 후 스마트폰 시장은 급격한 성장을 이루었고, 스마트 폰 시장의 성장은 모바일을 통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소셜 네트워크 게임의 시장의 성장으로 이어졌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소셜 네트워크 게임을 게임화된 광고의 플랫폼으로 이용하여 효율적인 광고매체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띠 배너 형태의 모바일 광고 형태가 아닌 게임의 형식안에 자연스럽게 광고를 결합시킨 새로운 개념의 모바일 광고 모델을 위해 설계된 모바일 소셜네트워크 게임인 <레스토랑스타>의 사례를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게임의 광고 플랫폼으로서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임우성, 유석호 "인터넷 유저의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게임성향 광고 콘텐츠 개발 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 2004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제2권, 제2호, 2004(11).
  2. 이석인, "모바일게임 고객 충성도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6권, 제10호, 2006.
  3. 박홍, 박정현, 박진완, "타이쿤 모바일게임의 문제점 도출 및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 2006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제4권, 제1호, 2006.
  4. 류철호, 박승환, "인터넷광고의 표현전략",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7권, 제9호, 2007(9).
  5. 장수민, 조용준, 곽재정, 유관희, "온라인 게임을 이용한 간접광고시스템 설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1호, 2008(1). https://doi.org/10.5392/JKCA.2008.8.1.348
  6. 한혜원, 심세라, "소셜 게임의 사용자 특성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2호, 2010(12). https://doi.org/10.5392/JKCA.2010.10.12.137
  7. 조선호, 이상호, 서상범 "모바일 단말 내의 사용자 맞춤형 광고 기술", 정보과학학회논문지, 제39권, 제1호, 2012.
  8. 손증군, 문영주, 이종호, "소셜커머스 속성이 신뢰, 몰입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제12권, 제2호, 2012(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2.265
  9. 소셜네트워크게임(SNG) 시장현황 및 전망, DMC 미디어, 2010.
  10. 김태규, 유석호, 겨병표, 이완복, 이동열, "SNS 에서의 사회적 기능 요소에 관한 연구-Run Away를 중심으로", 한국 컴퓨터 게임학회지, 제3권, 제21호, 2010.
  11. 서성은, "소셜 네트워크 게임(SNG)의 사용자 정체성 연구", 한국 컴퓨터 게임 학회지, 제2호, 제 23호, 2010.
  12. 김태규, 유석호, 이완복, 이동열, 경병표, "소셜커머스에 기반한 SNG 비즈니스 모델에 관한 연구 - 개발게임(Tour City)사례를 중심으로" 디지털정책연구, 제10권, 제10호, 2012(11).
  13. 존 라도프, 게이미피케이션 & 소셜 네트워크 게임 P195, 에이콘출판사, 2011.
  14. 유상진, 플렛폼이란 무엇인가?, 한빛비즈, 2012.
  15. 송용진, 소셜 네트워크 게임, 게임업계의 새로운 희망, KOTRA & globalwindow.org, 2010.
  16. http://www.bloter.net/archives/39282
  17. http://ko.wikipedia.org/wiki/
  18. www.chorewars.com
  19. http://www.terms.co.kr/platform.htm
  20. http://osen.mt.co.kr/article/G1109563555

Cited by

  1. The Influence of Mobile Service Delivery Characteristics on Perceived Interactivity and Attitude towards Mobile Service vol.13, pp.12,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2.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