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Story-Retelling Structure in Digital Storytelling Applications for Infants

유아용 서사 창작 어플리케이션의 스토리-리텔링 구조 분석

  • 한혜원 (이화여자대학교 디지털미디어 학부) ;
  • 류민수 (이화여자대학교 디지털미디어 학부)
  • Received : 2013.02.27
  • Accepted : 2013.04.29
  • Published : 2013.05.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ory-retelling structure of tablet PC-based applications that designed to help infants to create stories. Owing to the popularization and the usability of smart devices, infants have become from content consumers to creators who reconstruct stories in creative ways, based on the stories they heard. In those participatory process, infants experience enjoying stories independently and expanding the meaning of texts. Story-retelling is an adequate methodology that cultivates creativity, expressiveness, and literacy ability to infant. Consequently, this study investigates three types of story-retelling in , , and , and searches structure elements and methods of story-retelling in integrated approach. In conclusion, the story-retelling applications that provide 'creative gap' have educational value, because they allow infants to demonstrate imagination by filling in the gap and to realize the rule of stories.

본 연구는 태블릿 pc 기반 유아용 어플리케이션 중 이야기 창작을 주로 지원하는 콘텐츠의 스토리-리텔링 구조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과거 단순히 콘텐츠의 수동적 소비자로 존재했던 유아도, 유아용 서사 창작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소비한 이야기의 구조를 토대로 자신만의 이야기를 창조적으로 재구성 및 리텔링하는 생산자로 변화해가는 중이다. 기존과 달리 주체적으로 이야기 창작에 참여하고 그 결과물을 도출하는 과정을 통해서 유아는 이야기 텍스트의 의미 지평을 확장하는 유의미한 경험을 하게 된다. 이처럼 스토리-리텔링은 유아의 창의성과 표현력, 리터러시 능력을 배양하는 측면에 있어서 적합한 방법론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유아용 서사창작 어플리케이션을 양상별로 유형화하고, 그 중에서 각 유형을 대표할 만한 , , 를 통해서 스토리-리텔링의 구성요소 및 구성방식을 통합적 관점에서 조망한다. '창조적인 틈'을 제공하는 스토리-리텔링 어플리케이션은 유아로 하여금 스스로 빈 칸을 채우게 하고 그 과정을 통해서 상상력을 발휘하는 동시에 이야기의 법칙성을 깨닫게 한다는 점에서 교육적으로 유의미하며, 나아가 차세대 어플리케이션의 발전 방향을 제시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노운서, 노명희, 김명화, 백미열, 아동문학, 양서원, 2010.
  2. 윤은미, "'동화 듣고 다시 말해보기(Story-Retelling)'활동이 만 3세 유아의 이야기 구성능력과 읽기 발달에 미치는 효과", 열린교육연구, 제15권, 제1호, pp.213-236, 2007.
  3. Vladimir Y. Propp, 유영대 역, 민담형태론, 새문사, 2007.
  4. L. M. Morrow, "Retelling stories: A strategy for improving young children's comprehension, concept of story structure, and oral language complexity," The Elementary School, Vol.85, No.5, pp.646-661, 1985. https://doi.org/10.1086/461427
  5. B. Cambourne, The Whole Story: Natural Learning and the Acquisition of Literacy in the Classroom and the Acquisition of Literacy in the Classroom, Ashton Scolastic, 1998.
  6. M. J. Cliatt and J. M. Shaw, "The story time exchange: Ways to enhance it," Childhood Education, Vol.64, pp.293-294, 1988. https://doi.org/10.1080/00094056.1988.10521555
  7. L. B. Gambell, P. S. Koskinen, and B. A. Kapinus, "Retelling and the reading comprehension of proficient and less-proficient readers,"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Vol.84, No.6, pp.356-362, 1991. https://doi.org/10.1080/00220671.1991.9941816
  8. 박수정, 동화재구성 활동이 유아의 동화재구성 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9. 김문희, 동화와 관련된 확장활동이 유아의 언어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0. 이은영, 이야기 꾸미기 활동과 유아의 창의성 및 언어표현력과의 관계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1.
  11. 박영란, 동화제시방법이 유아의 동화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12. 이현지, 동화를 듣고 다시말해보기 활동이 만4세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3. 김지연, 글 없는 그림책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14. 신경미, 신인숙,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하는 극화활동과 이야기 짓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21권, 제6호, pp.515-525, 2007.
  15. 김희동, 전자책과 종이책의 경험 활동이 유아들의 이야기 이해도 및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6. 김은정, 박성덕, 김경철, "학습관련 인지이론에 기반한 유아용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분석", 한국게임학회논문지, 제11권, 제4호, 2011.
  17. 권혜령, 유아의 학습 능력을 고려한 전자동화책 설계 및 구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8. http://www.youtube.com/user/zincRoeGames
  19. http://toontube.launchpadtoys.com
  20. 이경화, "동시와 미술을 활용한 아르미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창의력 교육 연구, 제6권, 제1호, pp.5-20, 2003.
  21. Maria Nikolajeva, 조희숙 외 5역, 아동문학의 학적 접근, 교문사, 2009.
  22. 신헌재, 권혁준, 곽춘옥, 아동문학의 이해, 박이정, 2007.
  23. 이승훈, 문학으로 읽는 문화상징사전, 푸른사상, 2009.
  24. 한혜원, 아이의 마음을 훔치는 스토리텔링 전략, RHK, 2012.
  25. Jeff Howard, Quests, Taylor&Francis Group, 2008.
  26. 홍민정, 영웅 서사를 활용한 창작 교육 방안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7. 강심호, 디지털 에듀테인먼트 스토리텔링, 살림,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