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Ways to Reduce Clinical Practice Stress of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Radiology

방사선학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감소 방안

  • 신성규 (동아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 이효영 (양산부산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Received : 2013.05.22
  • Accepted : 2013.07.11
  • Published : 2013.08.31

Abstract

This study was developed to provide the basis for efficient bedside training by discovering and analyzing ways to reduce stress when students are in clinical practic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using a 3-part questionnaire format and was based on 253 participants who were students completing clinical practice. The results showed that environmental factors were the most stressful for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radiology.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 the highest factor relating to stress was 'standing for long durations' with a value of $3.27{\pm}1.04$, and values were respectively high in the sections on' disregard when students have a lack of knowledge' and 'repetition in simple tasks'. Students who had a good training atmosphere, good relationships with clinical radiological technologists and other students, and students who had high self-esteem showed low stress levels. The effect on BEPSI scale increased a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performance declined. Therefore,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consider relaxation areas for students, radiological technologists should not ignore the reality that students do not have substantial knowledge in clinical practice and comparisons made between students should not exist. In addition, there is the need to make an effort to reduce stress experienced by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through the use of positive communication and encouragement by assigning various training opportunities, providing areas to sit and initiating relaxation periods for students to reduce fatigue, as well as challenging students rather than restricting them to the simple and repetitive routines they encounter in clinical practice.

본 연구는 부산, 경남 소재 방사선학과 재학생중 임상실습을 마친 253명을 대상으로 실습 기간 중에 받는 스트레스를 분석하고 감소 방안을 마련하여 효율적인 임상실습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결과는 환경요인 스트레스가 가장 높았다. 문항별로는 '오랜 시간 서 있다'가 $3.27{\pm}1.04$로 가장 높았고 '모른다고 무시', '단순한 일 반복'에서 높게 나타났다. 실습분위기와 임상방사선사와의 관계가 좋고 실습 지도를 성의 있게 받은 대상자와 방사선사에 대한 자부심이 높은 대상자들의 스트레스 지수가 낮았다. 대인관계요인과 수행요인이 BEPSI scale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습기관에서는 학생들에게 휴식 및 편의 공간을 배려하고 단순하고 반복적인 실습이 아닌 다양한 실습프로그램을 진행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임상방사선사들은 학생들이 모른다고 무시하거나 비교하는 행위는 자제하고 앉을 자리와 휴식시간을 배정하여 피로를 줄여주고 따뜻한 말과 격려를 통해 학생들의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유광열, 김현수, "대학 방사선학과 학생들의 임상 실습에 대한 만족도 현황과 발전방향", 방사선기술과학, 제29권, 제4호, pp.303-310, 2006.
  2. 신선행, "치위생직에 대한 치위생 학생의 태도 변화 및 임상실습경험과의 관계", 진주간호보건전문대학 논문집, 제19권, 제2호, pp.99-111, 1996.
  3. R. S. Lazarus and S. A. Folkman,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 Pub. 1984.
  4. C. Tennant, and L. McLean, "Impact of emotions on coronary heart disease risk," Journal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 No.8, pp.175-183, 2001.
  5. R. Elosua, L. Molina, M. Fito, A. Arquer, J. L. Sanchez-Quesada, M. I. Covas, "Response of oxidative stress biomarkers to a 16-week aerobic physical activity program, and to acute physical activity, in healthy young men and women," Atherosclerosis, No.167, pp.327-334, 2003.
  6. J. Herbert, J. O'Donoghue, G. Ling, K. Fai, and C. L. Fok, "Mobile Agent Architecture Integration for a Wireless Sensor Medical Application," In proceedings of First IEEE International Workshop on Intelligent Agent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IA-WSN), pp.18-22, 2006.
  7. 양선희, "간호학생이 임상실습 시 경험하는 스트레스 요인에 관한 분석적 연구", 최신의학, 제31권, 제3호, 1988,
  8. 김현자, 치위생과 학생들의 임상실습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관련 요인, 경북대학교보건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07.
  9. 배종면, 정은경, 유태우, 허봉렬, "외래용 스트레스량 측정도구 개발연구", 가정의학회지, 제13권, 제10호, pp.809-820, 1992.
  10. 장성연, 권순복, 양승경, "임상실습 시 병원형태별 치과위생사와 실습학생이 경험하게 되는 스트레스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치위생과학회, 제12 권, 제6호, pp.682-688, 2012.
  11. 김경종, 종합고등학교 학생의 스트레스 요인과 대처방안에 대한 연구, 건국대학교석사학위논문, 2004.
  12. 김학성, "방사선과 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에 관한 연구", 방사선기술과학, 제27권, 제4호, pp.75-83, 2004.
  13. http://kosis.kr/wnsearch/totalSearch.jsp
  14. C. M. Baek, S. I. Chae, and J. K. Kim, "Characteristic of Stress According to Student Clinical Training in Department of Radiolog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ol.6, No.4, pp.291-298, 2012. https://doi.org/10.7742/jksr.2012.6.4.291
  15. 한승헌, 스트레스지수 알고리즘 설계 및 분석 표현 기법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대학원 공학박사학위논문, 2008.
  16. 구현영, 임형석, "학제별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비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호, pp.311-321, 2013.
  17. P. G. Wasieleksi,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he student radiographer, the role of the staff technologist," Semin Radiol Technol, Vol.2, pp.39-43, 1994.
  18. 신성규, 임인철, "방사선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만족도와 관련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9호, pp.276-284,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