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ultiplexing or Convergence of Media Use in Everyday Life: Exploratory Study Centered on the Media Repertoires

미디어 이용의 다중화 혹은 수렴화, 그리고 일상생활: 미디어 레퍼토리를 중심으로 한 탐색적 연구

  • 박진우 (건국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 김위근 (한국언론진흥재단 연구팀)
  • Received : 2014.11.04
  • Accepted : 2014.12.09
  • Published : 2014.12.28

Abstract

Recently media use is in the period of upheaval because of the advent of smart media. At this present, there are many discussions about the multiplexing or convergence of media use and these effects of everyday life, based on the theory of 'media repertoires'. But many researches just divide media repertoire categories and show media use hours by these categories. To have more mighty power of explanation, the study about media repertoires must execute both a static analysis of media use hours and a dynamic analysis of media use by media repertoire categories in everyday life.

스마트 미디어의 등장은 미디어에 대한 정의와 범위 뿐 아니라 이용의 개념까지 새로운 격변에 몰아넣고 있다. 미디어 이용이 다중화 되는지 아니면 하나의 미디어로 수렴되고 있는지, 또는 이런 미디어 이용 변화가 일상생활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등에 대한 논의가 그것이다. 다중 미디어 이용 현상에 대한 기존 연구와는 달리, 이 연구는 '미디어 레퍼토리'를 이론적 근거로 삼는다. 하지만 많은 기존 연구들은 미디어 레퍼토리에 따른 이용 현실을 결코 완전하게 설명하지 못한다. 즉 레퍼토리 유형을 설정하고 유형별 이용 시간 등이 어떤 차이가 있는가에 대해 언급함으로써 끝을 맺는다. 이 이론의 현실 설명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용시간 등과 같은 정태적인 분석뿐만 아니라 미디어 레퍼토리 유형별로 일상생활이 어떻게 달리 구성되는지 등과 같은 동태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그 동안의 미디어 레퍼토리 관련 연구의 한계를 지적하고, 이에 근거해 미디어 레퍼토리와 일상생활 간의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관련 연구의 지평을 넓히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J. G. Webster, "The Audience,"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42, No.2, pp.190-270, 1998. https://doi.org/10.1080/08838159809364443
  2. J. G. Webster, P. F. Phalen, and L. W. Lichty, Rating Analysis: The Theory and Practice of Audience Research, 2nd Ed.,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000.
  3. J. Bryant and S. Thompson, Fundamentals of Media Effects, 2002, 배현석 옮김, 미디어 효과의 기초, 한울, 2005.
  4. 안동근, "인터넷 시대의 수용자: 능동성 개념을 뛰어넘어", 김정기, 박동숙 외, 매스미디어와 수용자, 커뮤니케이션북스, pp.305-326, 1999.
  5. G. S. Enli and K. A. Ihlebæk, "'Dancing with the Audience': Administrating Vote-Ins in Public and Commercial Broadcasting," Media, Culture & Society, Vol.33, No.6, pp.953-962, 2011. https://doi.org/10.1177/0163443711412299
  6. E. Ytreberg, "Extended Liveness And Eventfulness in Multi-Platform Reality Formats," New Media & Society, Vol.11, No.4, pp.467-485, 2009. https://doi.org/10.1177/1461444809102955
  7. P. Gilster, Digital Literacy, 1997, 김정래 옮김, 디지털 리터러시, 해냄, 1999.
  8. 강명신, "인터넷 방송과 텔레비전의 장르별 충족 비교 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제19호, pp.7-36, 2002.
  9. K. van Rees and K. van Eijck, "Media Repertoires of Selective Audiences: The Impact of Status, Gender, and Age on Media," Poetics, Vol.31, No.5, pp.465-490, 2003. https://doi.org/10.1016/j.poetic.2003.09.005
  10. 심미선, "다매체 시대 미디어 레퍼토리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1권, 제2호, pp.351-390, 2007.
  11. 김인경, 다매체 이용과 콘텐츠 소비에 따른 이용자 통합 충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12. 김진영, "미디어 대체에 관한 연구: 전통적 미디어에 대한 인터넷 이용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제24호, pp.37-67, 2004.
  13. D. A. Ferguson, "Channel Repertoire in the Presence of Remote Control Device, VCR and Cable Television,"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36, No.1, pp.83-91, 1992. https://doi.org/10.1080/08838159209364156
  14. C. Heeter, "Program Selection with Abundance of Choice: A Process Model,"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12, No.1, pp.126-152, 1985. https://doi.org/10.1111/j.1468-2958.1985.tb00070.x
  15. D. A. Ferguson and E. M. Perse, "The World Wide Web as a Functional Alternative to Television,"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44, No.2, pp.155-171, 2000. https://doi.org/10.1207/s15506878jobem4402_1
  16. J. G. Webster and S. F. Lin, "The Internet Audience: Web Use as Mass Behavior,"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46, No.1, pp.1-12, 2002. https://doi.org/10.1207/s15506878jobem4601_1
  17. 김병선, "재택공간에서 미디어 대체가능성의 재평가", 한국언론학보, 제48권, 제2호, pp.400-428, 2004.
  18. 심미선, "지상파 텔레비전의 프로그램 레퍼토리 연구: 평일, 주말 저녁 시간대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19권, 제2호, pp.85-125, 2005.
  19. 심미선, "다중 미디어 이용 연구에 관한 비판적 고찰: 미디어 레퍼토리를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 제47권, 제2호, pp.40-73, 2010.
  20. 전범수, "문화예술 취향 레퍼토리 구조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pp.201-210,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6.201
  21. 조성동, 강남준, "다채널 수용자의 채널이용 집중과 분극: 채널레퍼토리 구성 차이에 따른 채널 이용행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2권, 제4호, pp.152-178, 2008.
  22. U. Hasebrink and J. Popp, "Media Repertoires as a Result of Selective Media Use: A Conceptual Approach to the Analysis of Patterns of Exposure," Communications, Vol.31, No.3, pp.369-387, 2006.
  23. 심미선, "융합 미디어 환경과 다중 미디어 이용", 이재현 편, 컨버전스와 다중 미디어 이용, 커뮤니케이션북스, pp.247-279, 2011.
  24. 강남준, 이종영, 이혜미, "군집분석 방법을 사용한 미디어 레퍼토리 유형분석", 한국방송학보, 제22권, 제2호, pp.7-46, 2008.
  25. 박은아, "다매체 이용자들의 미디어 동시사용 행태: DMB 초기수용자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22권, 제1호, pp.44-85, 2008.
  26. 김은실, 하예린, 박원기, "미디어 레퍼토리와 라이프스타일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1권, 제1호, pp.61-95, 2009.
  27. 조성동, 강남준, "다매체 환경 정작에 따른 수용자들의 매체 이용 특성변화와 이용매체 구성변화", 한국언론학보, 제53권, 제1호, pp.233-256, 2009.
  28. 이중식, "DMB 미디어 이용과 틈새시간에 관한 연구", 방송문화연구, 제17권, 제1호, pp.207-229, 2005.
  29. 김은미, 박주연, "조직에서의 대인매체 선택과 이용", 한국언론학보, 제51권, 제3호, pp.142-171,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