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ctors on the Intention to Purchase Charged Items in Mobile Social Network Game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게임의 아이템 구매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 Received : 2013.11.18
  • Accepted : 2013.12.06
  • Published : 2014.01.28

Abstract

Recently, the social network game (SNG) industry is expanding at a fast pace by the increase in the charged item sales.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plore factors influencing user intention to purchase charged item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flow has been introduced as an influential factor of the intention to purchase and individual influence, social relationship, and social influence as factors of flow. Enjoyment and self-competence are assumed to be measurement constructs for individual influence, social interaction and self-presentation for social relationship, social norm and perceived critical mass for social influence. Empirical analysis show that enjoyment and self-presentation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users' flow while self-competence and social interaction has not. Also social norms and perceived critical mass directly influence intention to purchase item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by this results.

최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기반으로 다양한 형태의 비즈니스와 컨텐츠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바로 소셜 네트워크 게임(Social Network Game, 이하 SNG)에 대한 주목도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SNG 내 유료 아이템 구매로 인한 SNG 개발업체 및 개발자의 수익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떠한 요인들이 SNG 이용자로 하여금 유료 아이템 구매를 유도하는 지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해 유료 아이템 구매의도의 선행 요인으로 플로우를 도출 하였고, 플로우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크게 개인적 영향, 사회적 관계, 사회적 영향으로 분류하였다. 개인적 영향으로는 재미와 유능성, 사회적 관계로는 사회적 상호작용과 자기표현요구, 그리고 사회적 영향으로는 사회적 규범과 인지된 확산정도를 도출하고 연구 가설을 설정하였다. 국내 SNG 이용 경험자를 대상으로 실증 분석을 수행한 결과, 개인적 특성 중 재미, 사회적 관계 특성 중 자기표현욕구만 이용자 플로우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영향의 사회적 규범과 인지된 확산정도는 모두 아이템 구매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준, 신선진, 김희웅,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자기표현욕구의 영향요인과 디지털 아이템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 경영정보학연구, 제18권, 제1호, pp.117-144, 2008.
  2. 권두순, 이상철, 서영호, "자기결정성 요인이 온라인 게임 몰입에 미치는 영향", 經營科學, 제27권, 제3호, pp.71-86, 2010.
  3. 김명소, "인터넷 항해과정의 flow 모형 및 flow - 구매의도 모형에서의 성차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4권, 제1호, pp.27-40, 1999.
  4. 김언정, 임달호, "일본 온라인 게임시장에서 게임특성이 이용자의 아이템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일경상논집, 제55권, 단일호, pp.29-57, 2012a.
  5. 김언정, 임달호, "중국 온라인게임 시장에서 게임특성이 이용자의 몰입과 아이템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유통경영학회지, 제15권, 제1호, pp.61-72, 2012b.
  6. 김윤경, "국내 소셜 게임 시장 전망",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제24권, 제1호, pp.113-123, 2011.
  7. 김제영, 온라인 게임의 이용만족도가 게임아이템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테크노경영대학원 : 디지털콘텐츠전공 석사학위논문, 2006.
  8. 남현정, 온라인 게임에서 고객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9. 냉대위, 온라인 게임 이용자의 만족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강릉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9.
  10. 노해선, 이대웅, "소셜 게임의 분류에 관한 연구", 2011년 한국게임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011.
  11. 박승배, 정남호, "e-비즈니스 기술: 온라인 게임 커뮤니티의 상호작용이 자기표현욕구와 게임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e-비즈니스연구, 제11권, 제5호, pp.291-308, 2010.
  12. 원명주, 황민철, 이동엽,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소셜네트워크게임 (Social Network Game) 사용자의 행동 패턴에 따른 SNG 기능 요소에 관한 연구", HCI 2012 학술대회, 2012.
  13. 이지애, 소셜네트워크 게임 사용자 몰입에 관한 연구 : 사용자의 개인적, 사회적 요인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4. 조남재, 백승익, 류경문, "온라인 게임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과학회지, 제26권, 제2호, pp.85-97, 2001.
  15. 최동성, 김호영, 김진우, "인간의 인지 및 감성을 고려한 게임 디자인 전략", 경영정보학연구, 제10권, 제1호, pp.166-187, 2001. https://doi.org/10.1046/j.1365-2575.2000.00100.x
  16. 한혜원, 심세라, "소셜 게임의 사용자 특성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2호, pp.138-144,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12.137
  17. 홍유진, "특집: SNS 와 산업공학; 소셜 네트워크게임 (SNG) 현황 및 전망", IE 매거진, 제18권, 제1호, pp.33-37, 2011.
  18. I. Ajze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Vol.50, No.2, pp.179-211, 1991. https://doi.org/10.1016/0749-5978(91)90020-T
  19. Reuben M. Baron, Davi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p.1173-1182,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20. A. Bandura, Self-efficacy : The exercise of control, 1997.
  21. T. J. Chou and C. C. Ting, "The role of flow experience in cyber-game addiction," CyberPsychology & Behavior, Vol.6, No.6, pp.663-675, 2003. https://doi.org/10.1089/109493103322725469
  22. M. Csikszentmihalyi, Optimal Experience : psychological studies of flow in consciousnes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23. J. R. Dominick, "Who do you think you are? Personal home pages and self-presentation on the World Wide Web,"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Vol.76, No.4, pp.646-658, 1999. https://doi.org/10.1177/107769909907600403
  24. N. Ellison, R. Heino, and J. Gibbs, "Managing impressions online: Self-presentation processes in the online dating environment,"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Vol.11, No.2, pp.415-441, 2006. https://doi.org/10.1111/j.1083-6101.2006.00020.x
  25. J. F. Engel, R. D. Blackwell, and P. W. Miniard, Consumer Behavior 8th edition, The Dryden Press Inc, 1995.
  26. E. C. Hirschman and M. B. Holbrook, "Hedonic consumption: emerging concepts, methods and propositions," The Journal of Marketing, pp.92-101, 1982.
  27. C. L. Hsu and H. P. Lu, "Why do people play on-line games? An extended TAM with social influences and flow experience," Information & Management, Vol.41, No.7, pp.853-868, 2004. https://doi.org/10.1016/j.im.2003.08.014
  28. T. Jung, H. Youn, and S. Mcclung, "Motivations and self-presentation strategies on Korean-based Cyworld weblog format personal homepages," CyberPsychology & Behavior, Vol.10, No.1, pp.24-31, 2007. https://doi.org/10.1089/cpb.2006.9996
  29. M. L. Korzaan, "GOING WITH THE FLOW : PREDICTING ONLINE PURCHASE INTENTIONS," Journal of Computer Information Systems, Summer 2003, pp.25-31, 2003.
  30. H. Nysveen and P. Pedersen, "Usefulness and self-expressiveness: extending TAM to explain the adoption of a mobile parking service," Proceeding of the 16th Bled eCommerce Conference, 2003.
  31. H. J. Schau and M. C. Gilly, "We are what we post? Self-presentation in personal web spac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30, No.3, pp.385-404, 2003. https://doi.org/10.1086/378616
  32. K. D. Trammell and A. Keshelashvili, "Examining the new influencers: A self-presentation study of A-list blogs,"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Vol.82, No.4, pp.968-982, 2005. https://doi.org/10.1177/107769900508200413
  33. L. K. Trevino and J. Webster, "Flow in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Electronic Mail and Voice Mail Evaluation and Impacts," Communication research, Vol.19, No.5, pp.539-573, 1992. https://doi.org/10.1177/009365092019005001
  34. http://www.gamemeca.com/news/view.php?gid=215861, DMC미디어 '소셜네트워크게임(SNG) 이용행태 조사'

Cited by

  1. The influence of Social Norm and Critical Mass on Online Game User's Word of Mouth vol.14, pp.4,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4.355
  2. Effects of Self-Esteem, Life Satisfaction and Gender on the Self-Presentation and Social Interaction Motivations for Facebook Use vol.14, pp.9,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9.513
  3. The Impacts of Usefulness and Annoyingness of Cross-Promotion on Users' Flow Experience of Social Network Games vol.15, pp.1, 2015, https://doi.org/10.7583/JKGS.2015.15.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