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n the Value of Korea Professional Baseball as TV Contents

TV콘텐츠로서의 한국프로야구 가치분석

  • Received : 2014.02.27
  • Accepted : 2014.04.14
  • Published : 2014.04.28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status of Korean professional baseball as TV contents utilizing rating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Korea professional baseball's relative status to other genres though ratings is investigated. For this study, ratings per minute for the whole cable TV channel viewer ratings in 2010 were analyzed, and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ratings per genre and channel of cable TV. Among 11 genres, drama showed the highest rating, and entertainment, movies, kids, news/reports, sports, music, etc followed. Drama and entertaining channels showed the highest ratings and sports did not show any high ranking. However, when analyzing times for broadcasting Korean professional baseball separately, Korean professional baseball in both genre and channel showed the highest r ratings and it was significant statistically. Thus, it is considered that Korean professional baseball is the most valuable contents for the related cable TV times.

본 연구는 시청률을 활용하여, TV콘텐츠로서 한국프로야구의 위상이 어떠한지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른 장르의 TV콘텐츠에 대한 한국프로야구의 상대적인 위상을 시청률을 통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2010년도 케이블TV채널 전체의 시청률에 대해 분당 시청률을 확보해 분석하였으며, 케이블 TV의 장르별, 채널별 시청률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총 11개 장르에서 가장 높은 시청률을 기록한 장르는 드라마였으며, 예능, 영화, 어린이, 뉴스/보도, 스포츠, 음악 등의 순이었다. 가장 높은 시청률을 기록한 채널들은 드라마와 예능 채널들로 장르나 채널 수준에서 스포츠는 높은 순위를 기록하지 못했다. 하지만, 한국프로야구를 중계하는 시간대만을 별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장르와 채널 수준 모두에서 한국프로야구가 가장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즉, 케이블TV 해당 시간대에서 한국프로야구가 가장 가치 있는 콘텐츠라고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KBO홍보팀, 한국프로야구연감, 한국야구위원회, 2013
  2. http://www.trendmonitor.co.kr
  3. 이기호, 케이블채널 스포츠3사의 시청률 비교분석:KBSN SPORTS, MBC ESPN, SBS SPORTS의 프로야구 중계방송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4. 김용만, "기업의 스포츠 스폰서십 참여 및 효과 평가 기준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제30권, 제3호, pp.365-374, 2001.
  5. 홍진배, "스포츠 팬이 프로 스포츠 팀에 인식하고 있는 신뢰도와 몰입도가 기업 스폰서쉽 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제13권, 제1호, pp.83-98, 2008.
  6. 백승태, 조광민, 이광용, "프로야구 관중의 경기관람결정 요인과 재관람 의사와의 관계",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제10권, 제2호, pp.127-138, 2005.
  7. 신충식, 이승철, "프로야구 팬의 관여도와 팀동일시, 재관람의도 및 라이센싱제품 구매의도간의 인과관계",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제11권, 제1호, pp.167-183, 2006.
  8. 홍석표, 손승범, "프로야구 관람 소비자의 팀 충성도 발달과정 모형분석",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제15권, 제6호, pp.83-96, 2010.
  9. 김홍설, "프로스포츠 관람만족 및 관람몰입이 재관람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7호, pp.216-223, 2008. https://doi.org/10.5392/JKCA.2008.8.7.216
  10. 장진수, "프로야구 선수계약에 관한 연구", 스포츠와 법, 제8권, pp.283-324, 2006.
  11. 장재옥, "프로야구 선수계약에서의 불공정성 문제", 스포츠와 법, 제10권, 제3호, pp.381-411, 2007.
  12. 최경호, "세이버 메트릭스 소개 및 통계적 측면의 한국프로야구 기록 분석", 사회과학론집, 제25권, 제1호, pp.129-139, 2009.
  13. 임수원, 이근모, "영,호남팀 프로야구경기가 지역감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제16권, 제1호, pp.73-92, 2003.
  14. 김지선, 이근모, "한국프로야구 선수협회 활동의 마르크스주의적 이해",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제24권, 제2호, pp.199-216, 2011
  15. 최영환, "2008 베이징올림픽 시청률의 시청자 프로파일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39권, 제1호, pp3.07-318, 2010.
  16. H. A. Solberg, "The auctioning of TV sports rights,"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 Finance, Vol.11, 2006.
  17. 이상인, 스포츠방송환경과 방송중계권의 변화분석 및 미래 전망,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18. 김현운, 프로야구 관람객의 관람동기와 확장제품 구매결정요인 및 구매태도와의 관계,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9. http://www.olympic.org/
  20. 홍유표, 미디어 환경 변화와 스포츠 중계권 갈등에 관한 연구, 가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21. R. Fort, Sports Economics, Saddle River, NJ:Pearson Prentice Hall, 2006.
  22. 박보현, "2006년도 지상파TV 스포츠 중계방송 프로그램 편성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6호, pp.204-212, 2008. https://doi.org/10.5392/JKCA.2008.8.6.204
  23. 박원기, 김수영, "시청률 예측에 관한 연구", 광고연구, 제46호, pp.61-81, 2000.
  24. 이동연, 지상파TV와 케이블TV의 미디어믹스를 통한 광고집행 효과 분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25. 원형중, 신규리, "TV 스포츠수용자의 감각추구성과 스포츠 관여도가 시청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제18권, 제3호, pp.355-371, 2005.
  26. 이철성,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PPL에 대한 시청자 인식에 관한 연구 : 텔레비전 시청량, 선호 장르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