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Love Stories in Korean TV Series which are popular in Japan: Comparison between Love Stories in Korean TV Series and Japanese TV Series

일본에서 인기 높은 한국드라마의 연애스토리: 일본의 연애스토리와의 비교

  • 나고마리 (경희대학교 호텔관광대 문화콘텐츠학과)
  • Received : 2014.01.16
  • Accepted : 2014.02.27
  • Published : 2014.03.28

Abstract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love stories in Japanese TV series are decreasing. Comparing this with Korean popular TV series in Japan, it was found that Korean TV series have the following differences. In the Japanese series, the main characters were mostly from common origin. The conflicts within each relationship stage illustrated the conflicts between characters and their surroundings, as well as the conflicts which commonly arise in real life, that with the self. Confessions of love in the Japanese series used simpler expressions. Some couples did not even say "I love you". Further, when love was threatened, rarely was deep attachment shown. There were even cases where the main characters did not end up as a couple. On the other hand, there often existed a class difference between the male and female main characters in the Korean series and conflicts mostly arose from differences of environment, illness, love rivals, and etc. Every couple verbally confessed their love and they used more passionate expressions of love than in the Japanese series, and when love was threatened no man backed down and each showed his deep attachment. Finally, there were happy endings for everyone even after the many complications.

근래 일본에서 TV 드라마 속의 연애스토리가 감소하는 가운데, 인기 높은 한국드라마의 연애스토리가 어떤 점에서 차별화되어 있는지를 검토한 결과 일본의 연애스토리에 비해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나타났다. 일본작품의 주인공은 평범한 남녀가 많았고, 연애과정의 갈등은 인물 환경에 대한 갈등과 더불어 현실에서도 흔히 일어나는 개인의 생각 속의 갈등도 겪게 했었다. 사랑의 고백은 한국작품보다 심플한 표현을 사용하며 '좋아한다' '사랑한다'도 말하지 않은 남녀도 있었고, 사랑의 위기일 때도 상대에 대한 집착행동이 많이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반드시 맺어지지는 않는 결말도 묘사되어 있었다. 한편 한국작품의 주인공은 남녀간 격차가 있는 입장이 많았고, 갈등도 환경 차이, 병, 연적 등의 환경적인 것이 대부분이었다. 모든 남녀가 '좋아한다' '사랑한다'는 말로 고백함은 물론 일본작품보다 열혈한 애정 표현을 많이 사용했고, 위기일 때도 모든 남자가 물러서지 않고 사랑에 대한 집착을 보여줬다. 그리고 우여곡절 끝에 모두가 행복하게 사랑이 결실되는 결말이 그려졌었다.

Keywords

References

  1. 關根智惠, "年層による差がさらに廣がるテレビ視聽-2000-2011年の全國個人視聽率調査から-", 放送硏究と調査, pp.23-34, 2011(12).
  2. 安部安彦, "テレビドラマの 軸 なき變轉-20代女性のドラマ受容の考察-", NHK放送文化硏究所年報, Vol.53, pp.95-118, 2009.
  3. 林香理, "中高年女性の日常とテレビ", 學士會會報(2005-III), pp.72-73, 2005.
  4. 유승관, "한국과 일본 수용자의 방송콘텐츠 수용 특성과 인식에 대한 비교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9권, 제2호, pp.328-346, 2009.
  5. 채지영, "일본인의 한국 대중문화 소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 드라마 소비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소비자.광고, Vol.11, No.4, pp.835-836, 2010.
  6. 김준숙, 김관태, "한국드라마에 대한 일본 대학생의 이미지 양상(1)-지역별에 따른 교차분석-", 일어일문학, Vol.29, pp.281-283, 2006.
  7. 三浦基.小林憲一, "セグメント化されたユ一ザ一のニ一ズ-海外ドラマ調査から-", The NHK monthly report on broadcast research, Vol.57, No.8, pp.41-43, 2007.
  8. 茂木健一郞,"韓流ドラマは何故うける?, 嗜み, No.15, pp.37-40, 2012.
  9. 檜山珠美, "韓國ドラマ K-POP の秘密を探る", GALAC, pp.14-18, 2011(12).
  10. 安部裕子, "リアリティ一よりトキメキに徹した演出", pp.22-24, 2011(12).
  11. http://artv.info/ar.htm (Audience Rating TV)
  12. http://hanryu10.jp/about/ (한국드라마대상)
  13. http://koread.tank.jp/ (K-MANIA)
  14. Syd Field, "素晴らしい映畫を書くためにあなたに必要なワ一クブック", フィルムア一ト社, pp.48-196, 2012.
  15. 內閣府, 若者の結婚や家庭觀に關する調査結果, 2011.
  16. http://nendai-ryuukou.com(연대유행)
  17. 森岡正博, 最後の變は草食系男子が持ってくる, マガジンハウス, pp.17-21, 2009.
  18. 牛窪惠, 草食系男子 お讓マン が日本を變える 講談社, pp.44-45, 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