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Hybrid Style Problem-Based Learning in Food Service Entrepreneurship Subject - Focusing on Problem Solving Skills

하이브리드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외식창업관련과목의 교육효과 -문제해결능력을 중심으로

  • 신승훈 (영남이공대학교 관광외식학부) ;
  • 유동숙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관광경영학과)
  • Received : 20140229
  • Accepted : 2014.04.09
  • Published : 2014.06.28

Abstract

Although fairly descent amount of research outcomes has been generated on problem-based learning(PBL) with regard to science and medical subjects, relatively less outcome has been generated on social science and management subject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exam effect of problem-based learning in food service entrepreneurship subject on improving problem solving skills. After literature review, for constructing for this research frame, each class schedules were formed by hybrid-PEL and traditional lecture style respectively then problems, solution, and evaluation process were generated for hybrid-PBL. Through the result, there was hardly any differences occurred before and after traditional lecture approach on students' problem solving skills. There was, however, certain differences appeared on students' skills after hybrid-PBL approach. Through the study, hybrid-PBL learning can be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in social science and management subject for improving students' problem solving skill.

본 연구는 과학과 의학 분야에서 많은 연구와 그 성과를 검증받고 있지만 사회과학과 경영분야에서 상대적으로 미흡한 연구가 진행된 문제중심학습에 대한 연구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외식창업관련과목에서 문제중심학습의 적용을 통해 문제해결능력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자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문헌조사를 마친 후 외식창업관련과목을 위한 문제중심학습의 개발을 위해 교과목의 목표와 학생들의 외식창업관련 기초 지식을 점검하였다. 이후 문제의 개발과 시행에 대한 구체적이고 세밀한 부분에 대한 고려를 통해 하이브리드 형식의 문제중심학습을 진행하기로 하고 수업계획서, 문제의 생성과 적용, 평가과정에 대한 일련의 구성을 완성하였다. 교육 시행 후 학생들에게서 나타나는 문제해결능력의 향상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구분하고 이들에게 각각 문제중심학습과 일반적인 강의방식의 교육을 실시한 후 교육전과 후의 문제해결능력에 대한 변화를 측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 일반적인 강의방식의 일부를 적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문제중심학습의 적용은 외식창업관련과목에서 학생들의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매우 효과적인 학습방법임을 선행연구들과 함께 다시 한 번 증명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영, 이지은, "국제무역론의 문제 중심학습 설계 및 운영 사례", 교육방법연구, 제23권, 제2호, pp.251-276, 2011.
  2. 채창균, 옥준필, 기업의 대학교육 만족도와 신입사원 교육훈련, 한국직업능력개원, 2006.
  3. H. S. Barrows and Foreword. In D. H. Evensen, & C. E. Hmelo (Eds.) Problem Based Learning: A Research Perspective on Learning Interactions(vii-ix),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000.
  4. L. Torp and S. M. Sage, Problem as Possibilities: Problem Based Learning for K-16 Education(2st Ed.),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2002.
  5. 조연순, 문제 중심학습의 이론과 실제: 문제로 시작하는 수업, 학지사, 2006.
  6. 홍기칠, "문제 중심학습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교육과학연구, 제39권, 제3호, pp.79-110, 2008.
  7. 한신일, 김혜정, 이정연, "한국대학 상황에서의 문제중심학습 적용사례 비교연구",비교교육연구, 제14권, 제1호, pp.23-53, 2004.
  8. 박성은, 박진용, "경영학 수업에서의 학습자의 학습양식이 문제중심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 경영교육연구, 제5권, 제1호, pp.73-85, 2001.
  9. 신승훈, 김충호, "식음료실무관련과목의 문제중심 학습 적용을 통한 직업기초능력 향상효과: 대구지역 Y대학교 식음료조리계열 재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외식산업학회지, 제8권, 제2호, pp.131-161, 2012.
  10. http://stat2.smba.go.kr/dbsearch_re_02.jsp
  11. H. S. Barrows and R. M. Tamblyn, Problem-Based Learning: An Approach to Medical Education, Springer Publishing Company,1980.
  12. H. S. Barrows and A. C. Myers, Problem-Based Learning in Secondary Schools, Problem Based Learning Institute, 1993.
  13. W. J. Steipen, Problem-Based Learning with the Internet, Zephyr Press,2002.
  14. B. B. Levin, C. D. Dean, and J. W. Pierce, Frequently Asked Questions about Problem-Based Learning,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2001.
  15. 유명란, 최윤정, 강명숙, "문제 중심 학습이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과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효과", 기본간호학회지, 제16권, 제1호, pp.46-55, 2009.
  16. 김지윤, 최은영, "문제중심학습 교육을 받고 있는 간호학생의 학습유형에 따른 참여도와 학업성취도", 기본간호학회지, 제16권, 제2호, pp.200-206, 2009.
  17. 정영란, 이우숙, 조덕주, "치위생과 학습자의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의사소통능력의 향상을 위한 문제중심학습 패키지 개발", 한국치위생교육학회지, 제10권, 제1호, pp.33-49, 2010.
  18. 김설희,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치위생 교육 경험 연구: 학습태도, 학생평가 중심으로", 한국치위생학회지, 제10권, 제5호, pp.797-805, 2010.
  19. 정영란, 최혜숙, 장기완, "문제중심학습에서 성찰일지 작성의 효과.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34권, 제3호, pp.444-450, 2010.
  20. 최정임, "대학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 적용 사례 연구: 성찰일기를 통한 효과성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제23권, 제2호, pp.35-65, 2007.
  21. 김승용, 김동환, 조남기, "문제중심학습을 통한 레저스포츠 지도자 양성과정 교육생의 학습동기 및 가지 효능감에 관한 탐색", 한국체육학회지, 제49권, 제3호, pp.281-292, 2010.
  22. 박재흥, 송해덕, "웹기반 문제중심학습에서 의사소통 유형과 학습자의 성격유형에 따른 집단구성 방식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논단, 제10권, 제1호, pp.41-62, 2011.
  23. J. Dunlap, "Problem-Based Learning and Self-Efficacy:How a Capstone Course Prepares Students for a Profession," ETR&D, Vol.53, No.1, pp.65-85, 2005. https://doi.org/10.1007/BF02504858
  24. V. Pearson, D. K. P. Wong, K. M. Ho, and Y. C. Wong, "Problem Based Learning in an MSW Programme: A Study of Learning Outcomes. Social Work Education," Vol.26, No.6, pp.616-631, 2007. https://doi.org/10.1080/02615470701456533
  25. D. O. B. Lam, "Impact of Problem-Based Learning on Social Work Students: Growth and Limits," British Journal of Social Work, Vol.39, pp.1499-1517, 2009. https://doi.org/10.1093/bjsw/bcn073
  26. A. Yadav, D. Subedi, M. A. Lundeberg, and C. F. Bunting, "Problem-Based Learning: Influence on Students Learning in an Electrical Engineering Course,"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Vol.100, No.2, pp.253-280, 2011. https://doi.org/10.1002/j.2168-9830.2011.tb00013.x
  27. N. Semerci, "The Effect of Problem-Based Learning on the Critical Thinking of Studentsin the Intellectual and Ethical Development Unit," Vol.34, No.9, pp.1127-1136, 2006. https://doi.org/10.2224/sbp.2006.34.9.1127
  28. H. Gabr and N. Mohamed, "Effect of Problem-Based Learning o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Enrolled in Nursing AdministrationCourse," International Journal of Academic Research, Vol.3, No.1, pp.154-162, 2011.
  29. 박병선, 초등학교 사회과에서 문제중심학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30. 송현숙, 문제중심수업과 지식수업이 중학교 가정과 수업의 유의미성 지각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31. 이장호, 중학교 기술, 가정, 교과에서 ICT활용 문제중심학습의 설계 및 적용, 공주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32. 이수연, 초등학교 환경교육에서 문제중심학습이 환경문제에 대한 태도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서강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33. 정정섭, 초등학교 과학과에서 문제중심학습이 학업성취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34. W. Hung, "Theory to Reality: A Few Issues in Implementing Problem-Based Learning," Education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Vol.59, pp.529-552, 2011. https://doi.org/10.1007/s11423-011-9198-1
  35. H. S. Barrows, "A Taxonomy of Problem Based Learning Methods," Medical Education, Vol.20, pp.481-486, 1986. https://doi.org/10.1111/j.1365-2923.1986.tb01386.x
  36. 정용우, 양성관, "수업컨설팅이 교사의 수업효율성과 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및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교육행정연구, 제26권, 제1호, pp.315-341, 2008.
  37. R. M. Gagne, The Condition of Learning and Theory of Instruction, Rinehart and Winston. 1985.
  38. 차경수, 사회과 교육과정과 지도법, 교육과학사, 1997.
  39. 이석재, 장유경, 이헌남, 박광엽, 생애능력 측정도구 개발연구-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03.
  40. 김정선, 강호감, 임희준, "초등 과학 수업에서의 문제중심학습이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초등과학교육, 제28권, 제4호, pp.382-389, 2009.
  41. 박인옥, "문제 중심학습이 문제 해력력에 미치는 효과연구-합리적 소비에 대한 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교육학연구, 제40권, pp.162-189, 2001.
  42. 손영주, 송영아,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능력과 학습에 대한 PBL과 S-PBL의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8권, 제1호, pp.43-52, 2012.
  43. 박동열, 이성덕, 김종오, 조경희, 강경심, 박윤희, 김대영, "실업계 고등학생의 직업기초능력 향상을 위한 문제중심학습의 효과",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제38권, 제4호, pp.63-87, 2006.
  44. 장경원, "문제중심학습환경에서 예비교사들의 자기 효능감 변화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8권, 제2호, pp.331-355, 2008.
  45. S. M. Sage, "A Qualitative Examination of Problem Based Learning atthe K-8 Level: Preliminary Finding," ERIC Document Reproduction Number ED, pp.398-263, 1996.
  46. J. M. Frambach, E. W. Driessen, L. C. Chan, and C. P. M. Vleuten, "Rethinking the Glottalization of Problem-Based Learning: How Culture Challenges Self-Directed Learning," Medical Education, Vol.46, pp.738-747, 2012. https://doi.org/10.1111/j.1365-2923.2012.04290.x
  47. H. G. Schmidt and J. H. C. Moust, "Toward a Taxonomy of Problems Used in Problem Based Learning Curricula," Journal on Excellence in College Teaching, Vol.11, No.2&3, pp.57-72, 2000.
  48. 김계수, New Amos 16.0 구조방정식모형분석, 한나래, 2007.
  49. 송경숙, "외식산업 창업속성이 고객지향성 및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컨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6호, pp.481-495,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6.4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