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a Brain Dance Group Program for Pre Early Childhood Care Teachers' Self Acceptance and Self Control

브레인댄스 집단프로그램이 예비보육교사의 자기수용,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효과

  • 고은교 (남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신수경 (남부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5.10.01
  • Accepted : 2015.11.20
  • Published : 2015.12.28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as experimental research for testing the effects of a brain dance group program for cultivating human qualities on pre early childhood care teachers' self acceptance and self contro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 students in the course for early childhood care teacher certificate at N University in G City who consent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and they were divided randomly into an experimental group n=10) and a control group n=10). Data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brain dance group program for cultivating human qualities.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4.0 for Windows through paired sample t-test.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brain dance group program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elf acceptance and self control. and this suggests that brain dance is a useful tool for enhancing pre early childhood care teachers' self-acceptance and self control.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information for tertiary education institutions' development of strategies to raise brain dance experts and educational experts who are to develop various education programs using brain dance.

본 연구는 브레인댄스 집단프로그램이 예비보육교사의 자기수용과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효과 검증을 통해 보육교사의 인간적 자질 함양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은 G시에 소재한 N대학의 보육교사 자격 이수과정 학생 중 참여를 원하는 20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 10명씩 무선 배정 하였다. 브레인댄스 집단프로그램 실시 전 후 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SPSS 14.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한 결과, 브레인댄스 집단프로그램의 자기수용과 자기조절력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가 규명되어 브레인댄스가 예비보육교사의 자기수용과 자기조절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유용한 매체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브레인댄스를 활용한 다양한 교육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는 브레인댄스 전문가와 교육 분야 전문가를 양성하는 대학교육기관의 교사인성교육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기숙, 어머니의 양육행동, 유아의 인지양식 및 자기통제행동발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위논문, 2001.
  2. 권정윤, 윤주희, 김소희, "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한 유아문제행동 지도에 대한 어려움 및 요구," 유아교육학논집, 제16권, 제2호, pp.265-288, 2012.
  3. 기채영, "대학생의 자기위로, 자기격려, 자기수용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한국놀이치료학회, 제11권, 제4호, pp.65-76, 2008.
  4.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 개념분석: 한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15권, 제2호, pp.19-39, 2001,
  5. 김미경, "교육실습과정에서 예비유아교육사로서의 어려움과 극복요인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제15권, 제2호, pp.135-160, 2011.
  6. 김민정, 유아교사 및 예비유아교사의 자아개념과 교사 효능감의 관계,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7. 김선영, 김지윤, "구성주의 관점에서의 유치원과 보육시설의 요리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태," 유아교육연구, 제27권, 제5호, pp.313-334, 2007.
  8. 김수정, 김인숙, 임명숙, "브레인댄스 프로그램이 유아들의 자기 조절력과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예술심리치료연구, 제9권, 제3호, pp.91-111, 2013.
  9. 김수향, 한민경, 이은진, "이야기나누기 활동에서 예비유아교사가 나타내는 언어적 상호작용과 어려움에 관한 연구," 아동교육, 제19권, 제4호, pp.129-147, 2010.
  10. 김유미, 두뇌를 알고 가르치자, 서울: 학지사, 2002.
  11. 김인숙, "창의력 교육 브레인댄스: 동작게임놀이치료 중심으로," 상담과 지도, 제49권, pp.167-178, 2014.
  12. 김인숙, 안태영, "브레인댄스 프로그램이 학교폭력 피해 청소년의 스트레스 호르몬 및 자율신경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예술심리치료연구, 제8권, 제2호, pp.27-46, 2012.
  13. 김현정, "오르프 음악치료가 학교부적응 초등학생의 사회성 및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음악교육공학, 제15권, pp.73-86, 2012.
  14. 김화숙, 신용숙, "브레인댄스의 교육적 의미에 관한 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지, 제17권, 제2호, pp.10-20, 2006.
  15. 남미경, "예비보육교사의 교사역할인식 및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보육실습기관 관련 변인의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제22권, 제3호, pp.167-181, 2006
  16. 박미정, 김영주, 송연숙, "그림책을 활용한 명상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4호, pp.73-88, 2009.
  17. 박미정, 송연숙, 김영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그림책을 활용한 명상프로그램이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제19권, 제4호, pp.149-167, 2010.
  18. 박성일, "뇌건강과 심신치료: 2006년도 제3회 예술심리치료학회연수회 자료집," 24-30,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06.
  19. 박성현, 마음챙김 척도들의 탈중심화에 대한 민감성,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20. 박은혜, 유아교사론, 서울: 창지사, 2003.
  21. 박정옥, 김태인, "반성적 저널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경험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제15권, 제호, pp.371-394, 2011.
  22. 박정임, 부모의 양육태도에 대한 자녀의 지각과 자아수용과의 상관 연구,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7.
  23. 박지현, 송하나,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증진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유아지원연구, 제5권, 제2호, pp.49-72, 2010.
  24. 방혜경, MBTI 집단활동이 여고생의 성격유형별 자아수용도, 타인수용도 및 자존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25. 성은현, 조경자, "예비 유아교사의 내외통제성, 자기효능감, 창의성의 관계에 대한 탐색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12권, 제3호, pp.31-52, 2005.
  26. 손인환, 소집단학습이 학업성취도와 자아수용 및 타인 수용도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7.
  27. 송지연, 서소정, "예비 보육교사의 배경변인 및 교사전문성 인식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18권, 제4호, pp.293-32, 2011.
  28. 양옥승, "3-6세 유아의 자기조절력 측정척도 개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13권, 제2호, pp.161-187, 2015.
  29. 유봉애, 옥경희, "사회적 지지가 다문화가족 아동의 학교적응력, 정서조절력, 사회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제18권, 제4호, pp.511-538, 2013.
  30. 윤영신, 청소년의 자기조절능력 관련 변인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31. 윤은영,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적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체육학회지, 제9권, 제1호, pp.27-39, 2008.
  32. 이미숙, "예비 유아교사와 예비 초등교사의 유아 역할 인식," 교원교육, 제23권, 제2호, pp.63-80, 2007.
  33. 이상혁, 보육시설 보육교사의 근무만족도 연구, 협성 대학교 사회과학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이연섭, 유아교육개론, 서울: 정민사, 1996.
  35. 이원영, 박찬옥, 노영희, "유아의 사회성 발달 프로그램 개발연구," 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pp.85-91, 1993.
  36. 이윤정, 박성현, "게슈탈트예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자기표현과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게슈탈트치료연구, 제1권, 제2호, pp.1-29, 2011.
  37. 이정란, 유아의 자기조절 구성요소 및 관련변인에 대한 구조분석,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38. 이주연, "초등무용교육에서 브레인댄스의 적용," 모드니 예술, 제3권, pp.169-189, 2010.
  39. 이현주, 신종호, "다중목표 추구상황에서 목표간 관계가 저기조절학습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심리학회, 제23권, 제2호, pp.261-278, 2009.
  40. 이형득, 본성실현상담, 서울: 학지사 ,2003.
  41. 이혜진, 김성희, "대학생용 자기성장 척도개발," 상담학연구, 제14권, 제1호, pp.609-626, 2013.
  42. 임전옥, 장성숙, "자기수용 연구의 동향과 제언," 인간이해, 제33권, 제1호, pp.159-184, 2012.
  43. 장혜민, 부모의 공감적 태도가 자녀의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자녀의 자아존중감 및 자기조절력의 매개역할-,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44. 전화은, 박경, 송현주, "탈춤을 활용한 무용/동작 심리치료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9호, pp.303-324, 2014.
  45. 정동영, "미술치료가 인터넷게임 중독아동의 주의집중력, 대인관계 및 자기조절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제12권, 제2호, pp.355-381, 2005.
  46. 정옥분, 전 생애 인간발달의 이론, 서울: 학지사, 2007.
  47. 정옥분, 정순화, 부모교육, 서울: 학지사, 2007.
  48. 정은주, 유아의 행동적 정서적 자기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49. 정희정, 김혜순, "전래동요를 활용한 통합적 국악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19권, 제4호, pp.413-434, 2012.
  50. 차영숙, 강민정, 유희정, "예비유아교사들이 교육 실습과정에서 겪는 어려움과 긍정적 경험," 유아교육학논집, 제15권, 제3호, pp.369-394, 2011.
  51. 최선남, "집단미술치료가 자기수용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제8권, 제2호, pp.25-35, 2001.
  52. 최효숙, 자기조절력이 낮은 청소년들의 심리적 특성, 백석대학교 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53. 추미래, 이영순, "무조건적 자기수용 척도 타당화," 한국심리학회: 상담 및 심리치료, 제26권, 제1호, pp.27-43, 2014.
  54. 신선화, 정구철, "자기수용과 가족용서가 가족응집력에 미치는 영향: 성별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3호, pp.277-288,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3.277
  55. 홍길동, 이흥식, 이형국, 오진호, 이기호, "공연시 배우의 각성변화와 심리적 자기조절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12호, pp.176-189, 2008. https://doi.org/10.5392/JKCA.2008.8.12.176
  56. 황현아, 임한규, "개인화된 자기조절 학습 시스템 설계 및 구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5권, 제 2호, pp.19-28, 2005.
  57. E. M. Berger, "The relation between expressed acceptance of self and expressed of others,"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Vol.47, pp.778-782, 1952. https://doi.org/10.1037/h0061311
  58. A. E. Berk, Infant and children: prenatal through middle childhood(5th ed), Boston, MA: Allyn & Bacon, 2005.
  59. S. H. Carson, and E. Langer, "Mindfulness and self-acceptance," Journal of Rational-Emotion & Cognitive-Behavior Therapy, Vol.24, No.1, pp.29-43, 2006. https://doi.org/10.1007/s10942-006-0022-5
  60. K. A. Dodge, Emotion and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In Garber, J, and Dodge, K, A,(Eds),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regulation and dysregulatio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61. A. G. Gilbert, Brain-compatible dance education, Reston: N,D,A, 2006.
  62. M. R. Gottfredson and T. A. Hirschi, general theory of crime, Standford, CA: Standford University Press, 1990.
  63. H. G. Gough, California psychological inventory: administer's guide,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1987.
  64. S. Hareli and B. Weiner, "Social emotion and personality inferences: scaffold for a new research direction in the study of achievement motivation," Educational Psychologist, Vol.37, pp.183-193, 2002. https://doi.org/10.1207/S15326985EP3703_4
  65. S. Harter, D. B. Marold, N. R. Whitesell, and G.. Cobb, "A. model of the effects of perceived parner and peer on adolescent false self behavior," Child Development, Vol.67, No.2, pp.360-374, 1996. https://doi.org/10.2307/1131819
  66. D. L. Haynie, T. Nansel, P, Eitel, A. Crump, K. Saylor, K. Yu, and M. B. Simons, "Bullies, victims and bully/victims: distinct groups of at-risk youth,"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Vol.21, pp.29-49, 2001. https://doi.org/10.1177/0272431601021001002
  67. D. C. Kendall and L. E. Wilcox, "Self-control in children: Development of a rating scale," Journal of Counselling and Psychology, Vol.47, No6, pp.1020-1029, 1979.
  68. C. B. Kopp, "Antecedents of self-regulation: a development perspective," Developmental Psychology, Vol.18, pp.199-214, 1982. https://doi.org/10.1037/0012-1649.18.2.199
  69. C. B. Kopp, "Regulation of disteess and negative emotions, a developmental view," Development Psychology, Vol.25, No.3, pp.343-354, 1989. https://doi.org/10.1037/0012-1649.25.3.343
  70. D. I. Macinnes, "Self-esteem and self-acceptance: an examination into their relationship and their effect on psychological health,"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Vol.13, pp.483-489, 2006. https://doi.org/10.1111/j.1365-2850.2006.00959.x
  71. W. Mischel, Y. Shoda, and P. K. Peake, "The Nature of Adolescent Competencies predicted by preschcool delay of gratific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4, pp.687-696, 1988. https://doi.org/10.1037/0022-3514.54.4.687
  72. E. L. Philips, "Attitudes toward self and others: a brief questionnaire report," Journal of Consulting Psychology, Vol.15, No.1, pp.79-81, 1951. https://doi.org/10.1037/h0054271
  73. C. D. Ryff,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7, No.6, pp.1069-1081, 1989. https://doi.org/10.1037/0022-3514.57.6.1069
  74. M. E. P. Seligman, Flourish: 우문식, 윤상운(역), 플로리시: 웰빙과 행복에 대한 새로운 이해, 경기: 물푸레, 2011.
  75. http://userpage, fu-berlin, de/-health/selfreg,html.
  76. S. S. Spivack, "A study of method of appraising self-acceptance and self-rejection,"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Vol.88, pp.183-202, 1956. https://doi.org/10.1080/00221325.1956.10532969
  77. B. L. Thompson and J. A. Waltz, "Mindfulness, self-eteem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 Journal of Rational-Emotion & Cognitive-Behavior Therapy, Vol.26, No.2, pp.119-126, 2008. https://doi.org/10.1007/s10942-007-0059-0
  78. J. D. Unnever and D. G. Cornell, "Bullying, self-control and ADHD,"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Vol.18, pp.129-147, 2003. https://doi.org/10.1177/0886260502238731
  79. I. S. Vygotsky, Mind in society,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9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