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ignificance of 'Photolanguage' in the Digital Era: Focused on Advertising Photographs by Yong-ho KIM

디지털 시대 '포토랭귀지'의 의미: 김용호 광고 사진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4.09.29
  • Accepted : 2014.11.14
  • Published : 2015.01.28

Abstract

Describing the filmography of Yong-ho KIM simply in a few sentences is considered nearly impossible. For the last 20 years and longer, KIM has been building up his career energetically as he never lets himself obsessed with any particular boundaries or areas but work on everything from paper advertisements to art galleries, advertising photographs and pure photographs. The Photolanguage personally mentioned by Yong-ho KIM himself is to visualize this imaginary story in a form of photograph, which one would come up with before shooting. When it comes to the advertising photographs, since they are used basically to sell products, they are considered rather temporary, and in addition, they photograph the products mostly under these bright lights with colorful backgrounds behind. However, Yong-ho KIM was recognized for presenting very much different work as he went even beyond these old stereotypes of the advertising photographs. The advertising photographs processed by KIM do more than merely introducing details or functions of some products, but they deliver these values and cultures that consumers can enjoy and gain through these original stories about the products. Of several pieces of KIM's work, this advertisement on Hyundai Card named was invited to an exhibition by a private gallery after the work was exposed through various media. The work was even purchased, and that was something that had not happened before in the history of the relevant field. When a photograph is purchased, it makes the photograph recognized for its value to be possessed, and when a photograph is displayed, it, again, makes the photograph win recognition as an art work. This thesis discusses the Photolanguage found in the works of Yong-ho KIM, one of the most well-known advertising photographers in South Korea. The research inquiries that have been analyzed in the body of the thesis, therefore, are the photographs and language in the digital era, the story-telling advertisements and these works by Yong-ho KIM.

김용호의 필모그래피는 한 줄로 요약하기 힘들다. 지난 20여 년간 광고 지면과 미술관, 광고 사진과 순수 사진을 오가며 경계나 영역을 한정짓지 않고 왕성한 활동을 해왔다. 김용호가 직접 언급한 포토랭귀지는 사진을 찍기 전 스스로 가상의 이야기를 먼저 지어내고 내용을 사진으로 시각화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고 사진은 제품을 팔기 위한 목적이라 일회성으로 그치는 경우가 많고, 대부분 화려한 조명과 배경 아래 제품을 촬영한다. 그러나 김용호는 이러한 광고 사진의 고정관념을 벗어나 매우 독특한 작품을 발표해 인정 받았다. 작가가 작업한 광고 사진은 단순히 제품의 세부정보나 기능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제품에 관한 독창적인 스토리를 만들어 소비자들이 누리고 얻을 수 있는 가치와 문화를 전달한다. 여러 편의 작품 중 현대카드 광고 <우아한 인생, 2012>은 다양한 매체를 통해 작품이 소개된 후, 이례적으로 사설 갤러리의 초청을 받아 전시되고 판매까지 되었다. 사진이 판매되었다는 것은 소장가치가 높다는 의미이고, 전시되었다는 것은 예술작품으로 인정받았다는 의미이다. 본 논문은 한국을 대표하는 광고 사진가 김용호의 작품을 중심으로 포토랭귀지에 관한 내용이다. 이를 위해 본론에서 다룬 연구문제는 디지털 시대의 사진과 언어, 스토리텔링 광고 전략, 김용호 작품 분석이다.

Keywords

References

  1. 박동숙, 전경란, 디지털 미디어 문화, 한나래, p.273, 2006.
  2. 김지영, 디지털 시대 필요한 교육콘텐츠 연구: 초등학교 고학년 사진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외대 박사논문, p.1, 2013.
  3. 노용, 조성근, "광고 사진과 텍스트 분석을 통한 중학교 디자인 수업 연구", 조형교육, 제34집, 2009.
  4. 황연주, "미술과 교육에서 사진영상을 통한 비주얼 리터러시 교육: 광고 사진영상의 '눈길' 을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제14권, 2008.
  5. 장상근, "비주얼 리터러시를 통한 패러디 광고의 텍스트에 대한 고찰", 정보디자인학연구, 제13집, 2009.
  6. 임재문, "광고의 기호학적 분석에 관한 연구: 기호학자 소쉬르와 바르트의 이론 중심으로", AURA, 제23집, 2010.
  7. 김지영, 디지털 시대 필요한 교육콘텐츠 연구: 초등학교 고학년 사진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외대 박사논문, p.91, 2013.
  8. 이영준, "디지털 사진에서의 이미지와 텍스트의 관계", 영상예술연구, 제6권, p.95, 2009.
  9. 박승희, "디지털 텍스트와 새로운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글쓰기와 읽기를 중심으로", 한국사상과문화, 제31집, p.347, 2009.
  10. 한국인터넷진흥원, "UCC이용실태조사", p.7, 2007.
  11. 정현선, "디지털 시대 글쓰기에 있어 '표현도구'와 '매체특성' 이해의 필요성: 초등학교 어린이의 사진과 글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어문학, 제106집, p.114, 2009.
  12. 김지영, 디지털 시대 필요한 교육콘텐츠 연구: 초등학교 고학년 사진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외대 박사논문, pp.91-92, 2013.
  13. 정현선, "디지털 시대 글쓰기에 있어 '표현도구'와 '매체특성' 이해의 필요성: 초등학교 어린이의 사진과 글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어문학, 제106집, p.102, 2009.
  14. 김지영, "디지털 시대 '사진쓰기'의 의미",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제12권, 제4호, p.156, 2012.
  15. 김지영, "디지털 시대 '사진쓰기'의 의미",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제12권, 제4호, p.156-157, 2012.
  16. 심영덕, "스토리텔링의 구성과 광고의 서사 전략", 한민족어문학, 제58집, p.311, 2011.
  17. 김병희, "스토리텔링 전략을 활용한 불황기 광고 효율성의 제고", 광고PR실학연구, 제5권, 제1호, p.145, 2012.
  18. 소유나 외,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기반의 환경공익광고 디자인", 디자인융복합연구, 제12권, 제2호, p.100, 2013.
  19. "자동차, 예술이 되다", 월간사진, 2013년 11월호.
  20. "현실 너머 진실 담는 사진가 김용호", 디자인하우스, 2008년 4월호.
  21. "꿈꾸고 확장하는 사진가: 광고 사진을 파는 사진가, 김용호", 월간사진 2013년 10월호.
  22. "전방위 아티스트 김용호의 상상력 공장", 여성동아 2014년 06월호.
  23. http://www.ryuhwarang.com/exhibition/exhibition_view.php?i=10
  24. 월간사진 2012년 10월호, "꿈꾸고 확장하는 사진가: 광고 사진을 파는 사진가, 김용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