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fluence of User-Motivation on User-Commitment in Social Media: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Pressure

소셜미디어 이용 동기가 이용자 몰입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압력의 조절효과

  • Received : 2014.10.02
  • Accepted : 2014.12.08
  • Published : 2015.01.28

Abstract

This article is aimed to investigate the role of social pressure i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of user motivation on user commitment in social media. On this purpose, user motivation in social media was divided into 3 sub-dimensions as social motivation, functional motivation and hedonic motivation and social pressure was also categorized into informational isolation pressure and conformity pressure and then it was explored that how the social pressure makes differential effects in the relationship of each dimensions of user motivation and user commitment.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user's social motivation and hedonic motivation in social media had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user commitment. Second, the informational isolation pressure showed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 of functional motivation and commitment. Third, conformity pressure displayed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 of social motivation and commitment. This article suggests empirical supports about the role of social pressure in the phenomena of social media use and commitment, but requires to explore more specific factors and multi-dimensional studies in regard of social pressure in social media.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이용자를 대상으로 소셜미디어에 대한 이용자 동기가 이용자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소셜미디어에 대한 사회적 압력이 양자의 관계에서 어떠한 기능을 하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소셜미디어 이용자 동기 차원을 각각 사회적 동기, 기능적 동기, 유희적 동기로 구분하였으며, 사회적 압력은 정보소외압력과 동조압력으로 구분하여, 각 차원에서 사회적 압력이 이용자 동기와 이용자 몰입의 관계에 있어 어떤 차별적 효과를 나타내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셜미디어에 대한 이용자의 사회적 동기와 유희적 동기는 소셜미디어에 대한 이용자 몰입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보소외압력은 기능적 동기와 몰입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동조압력은 사회적 동기와 몰입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발생하였다. 본 논문은 소셜미디어에 대한 이용과 몰입 현상에서 사회적 압력이 작용하는 방식에 대한 실증적 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소셜미디어와 관련된 사회적 압력에 대한 보다 세분화된 요인을 탐색하고 이들이 이용자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진행될 필요성이 제기된다.

Keywords

References

  1. Nielsen Social Media Report, 2012.
  2. 김남이, 이수범, "공중의 라이프스타일이 소셜 미디어 이용 동기 및 이용 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3권, 제2호, 2011.
  3. 박차라, 임성택, 차상윤, 이인성, 김진우, "소셜미디어에서 약한 유대관계의 형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4호, pp.97-109,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4.097
  4. 금희조, "소셜미디어 시대, 우리는 행복한가?", 한국방송학보, 통권 제25-5호, pp.7-48, 2011.
  5. 김명수, 이동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에 있어서의 디지털 피로감과 플로우의 역할", e-비즈니스연구, 제13권, 제1호, pp.67-87, 2012.
  6. 이상호, "소셜미디어 중독과 지속사용 의도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2권, 제1호, pp.273-280, 2014. https://doi.org/10.14400/JDPM.2014.12.1.273
  7. Social News Daily, Facebook Psychosis: Social networking will literally make you crazy, 2013, http://socialnewsdaily.com/13720/facebook-psychosis-social-networking-will-literally-make-you-crazy.
  8. 박순주, 권민아, 백민주, 한나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이용하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5호, pp.289-297,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5.289
  9. 오은해, "소셜 미디어의 이용동기가 소셜 미디어의 상호작용과 사용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경영연구, 제27권, 제1호, pp.49-74, 2012.
  10. 심성욱, 김운한, "대학생들의 소셜미디어 이용동기가 소셜미디어 광고 이용의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3권, 제2호, 2011.
  11. 이방형, 한상린, 이성근, 이성훈, "소셜미디어 이용 동기의 차원 분석과 마케팅 시사점에 관한 탐색적 연구", 마케팅연구, 제28권, pp.87-108, 2013.
  12. 박찬욱, 이신복, 김선조, "친구따라 SNS한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사회적 동조성(Social Conformity)을 중심으로", 한국IT서비스학회지, 제12권, 제4호, pp.25-40, 2013. https://doi.org/10.9716/KITS.2013.12.4.025
  13. M. Anandarajan, M. Igbaria, and U. P. Anakwe, "IT acceptance in a less-developed country: a motivational factor perspective,"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Vol.22, No.1, pp.47-65, 2002. https://doi.org/10.1016/S0268-4012(01)00040-8
  14. S. Taylor and P. Todd, "Understanding Information Technology Usage: A Test of Competing Models,"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6, No.2, pp.144-176, 1995. https://doi.org/10.1287/isre.6.2.144
  15. V. Venkatesh and F. Davis, "A Theoretical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ur Longitudinal Field Studies," Management Science, Vol.46, No.2, pp.186-204, 2000. https://doi.org/10.1287/mnsc.46.2.186.11926
  16. 박종구, 뉴미디어 채택 이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17. G. C. Moore and I. Benbasat,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the Perceptions of Adopting an Information Technology Innovation," Information System Research, Vol.2, No.3, pp.192-222, 1991. https://doi.org/10.1287/isre.2.3.192
  18. J. Bercovici, Who coined 'Social Media?' Web Pioneers Compete for Credit, Forbes, 2010.
  19. 황용석, 온라인 저널리즘,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20. E. Katz, Mass Communications Research and the Study of Popular Culture: Studies in Public Communication 2, 1959.
  21. E. Katz, J. G. Blumler, and M. Gurevitch, Utilization of Mass Communication by the Individual, In J. G. Blumler & E. Katz(Eds.), The Uses of Mass Communication, Beverly Hills, CA: Sage, pp.19-32, 1974.
  22. E. Katz, Television as a horseless carriage, In G. Gerbner, et al. (Eds.), Communications Technology and Social Policy, New York: Wiley, 1973.
  23. B. K. Kaye, "It's a Blog, Blog, Blog, Blog World," Atlantic Journal of Communication, Vol.13, No.2, pp.73-95, 2005. https://doi.org/10.1207/s15456889ajc1302_2
  24. D. G. Taylor, J. E. Lewin, and D. Strutton, "Friends, Fans, and Followers: Do Ads Work on Social Networks? How Gender and Age Shape Receptivity,"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51, No.1, pp.258-275, 2011. https://doi.org/10.2501/JAR-51-1-258-275
  25. 정지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 동기가 사회자본과 경제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석사학위논문, 2011.
  26. 문영주, 정철호, "소셜미디어 이용동기가 만족과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농촌체험마을 이용자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9호, pp.202-211,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9.202
  27. M. Fishbein and I. Ajzen,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Addison-Wesley, 1975.
  28. E. Karahanna and D. Straub, "The Psychological Origins of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to-Use," Information & Management, Vol.35, No.4, pp.237-250, 1999. https://doi.org/10.1016/S0378-7206(98)00096-2
  29. E. Aronson, Social Animal, Worth Publishers, 2008.
  30. L. Festinger, "A theory of Social Comparison Processes," Human Relations, Vol.7, No.2, pp.117-140, 1954. https://doi.org/10.1177/001872675400700202
  31. 오윤경, SNS 중독경향성과 외로움, 우울, 대인관계, 사회적지지의 관계,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32. 권석만, 긍정심리학:행복의 과학적 탐구, 학지사, 2008.
  33. M. Csiksentmihalyi, "Play & Intrinsic Rewards," Journal of Humanistic Psychology, Vol.15, No.3(1977), pp.41-63. https://doi.org/10.1177/002216787501500306
  34. 유일, 최혁라,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사회적 영향이 플로우, 지각된 유용성,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싸이월드를 중심으로", 정보시스템연구, 제17권, 제2호, pp.113-135, 2008. https://doi.org/10.5859/KAIS.2008.17.2.113
  35. 박윤서, 김용식,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이용요인간 구조적 관계: 기술수용모델(TAM)과 플로우(Flow)를 중심으로", 한국IT서비스학회지, 제11호, 제1호, 2012. https://doi.org/10.9716/KITS.2012.11.1.247
  36. J. J. Mohr and R. S. Sohi, "Communication Flows in Distribution Channels: Impact on Assessments of Communication Quality and Satisfaction," Journal of Retailing, Vol.71, No.4, pp.393-416, 1995. https://doi.org/10.1016/0022-4359(95)90020-9
  37. 박성연, 이순민,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정도가 Flow, 소비자-웹 사이트 브랜드 관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경영논총, 제23권, 제1호, pp.15-36, 2005.
  38. 장정무, 김종욱, 김태웅, "무선인터넷서비스 수용의 영향요인 분석: 플로우이론을 가미한 기술수용모델의 확장", 경영정보학연구, 제14권, 제3호, 2004.
  39. 박광순, 조명휘, "인터넷의 웹블로그(Web-blog) 이용동기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학생 집단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48권, 제5호, pp.270-294, 2004.
  40. 정제우, 유명숙, 주효진, 조주연, "소셜미디어 이용동기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코레일 트위터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대회, pp.1-20, 2011.
  41. 양희동, 최인영, "사회적 영향이 정보시스템 수용에 미치는 영향-정보기술수용모형(Technology Acceptance Model)에서", 경영정보학연구, 제11권, 제3호, pp.165-184, 2001.
  42. 고동완, 박용순, 이한아름, "소셜미디어 이용동기가 몰입과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제28권, 제4호, pp.137-156.

Cited by

  1. A Study on Seniors’ Fashion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hown at Overseas Social Media vol.18, pp.6, 2016, https://doi.org/10.5805/SFTI.2016.18.6.8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