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xamination of 'Fun' that the Audience Have Watching Reality Audition Programs : Focusing on the Application of the 'Fun Evolving Model' to K-POP STAR(Season 3)

리얼리티 오디션 프로그램 수용자들이 느끼는 '재미(fun)'에 대한 고찰 : K-POP STAR(시즌3)의 재미진화모형 적용을 중심으로

  • 최영준 (청주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Received : 2015.02.12
  • Accepted : 2015.03.30
  • Published : 2015.06.28

Abstract

A study on the 'FUN' of TV reality audition programs. "Why are the audience so enthusiastic about the survival audition programs?" "What fun do the audition program audience have?" In order to find the answers for such questions, this study applied 'the 4-step fun evolving model' and thereby, categorized audience's fun-seeking behavioral modes, and therewith, examined how such fun-seeking behavioral modes would change by step over tim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audition program audience had faithfully followed the 4 fun types (watching, having, doing and becoming), and that their fun-seeking behavioral modes had changed by step over time in SBS "K-POP START" (Season 3) in 2013. Such findings suggest that the audition program fans accommodated 'the fun evolving model.' Their step of 'watching' evolved gradually into the step of 'having' both on-line and off-line (support of participants/malicious or good-will replies, participation in blogs/twitters, photo materials collection activities) and that of 'doing' (application for the jury group, organization of fan club, crazy fan activities, participation in phone voting, etc.), while increasing their fun.

본 연구는 리얼리티 오디션 프로그램의 '재미'에 대한 것이다. '왜, 사람들은 리얼리티 오디션 프로그램에 그토록 열광하는가?' '오디션 프로그램 수용자들은 어떤 재미를 느끼는가?' 라는 의문에 대하여 '재미진화 모형[1]'의 적용을 통해 확인해 보고자 한다. '재미진화모형'의 4단계에 따라 수용자의 재미추구 행동양식을 구분하고 시간의 변화에 따라 단계별로 변화하는지 살펴보았다. 2013년 SBS "K-POP STAR"(시즌3)에 참여한 오디션 프로그램의 수용자들은 4가지 재미유형(보기, 가지기, 하기, 되기)을 충실히 따랐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재미추구 행동양식이 단계적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오디션 프로그램을 즐기는 수용자들에 대한 '재미진화' 모형의 수용을 의미하는 것으로 오디션 프로그램 수용자들의 '보기'(시청) 단계는 점진적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해 '가지기'(참가자 지지/악플 댓글 달기, 블로그/트위터 참여, 사진자료 수집활동)단계와 '하기'(심사단 참여, 팬클럽 만들기, 사생 팬 활동하기, 전화 투표 참가)단계를 거쳐 프로그램에 대한 재미(fun)를 증대시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동우, "여가경험의 변화 과정 : 재미진화모형", 2002년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465-471, 2002.
  2. 고동우, "여가동기와 체험의 이해 : 이중추동모형과 이중통로 여가체험 모형", 소비자광고, 제3권, 제2호, pp.1-23, 2002.
  3. 최문경, 박지훈, 박진선, "경쟁보다 성장을 강조하는 한국 리얼리티 오디션 프로그램 : SBS<키스 & 크라이>의 제작환경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13권, 제4호, pp.590-618, 2013(12).
  4. R. Kilborn, "How real can you get? Recent developments in 'reality television'," European Journal of Communication, Vol.9, pp.421-439, 1994. https://doi.org/10.1177/0267323194009004003
  5. R. E. Dubrofsky, "The bachelor : Whiteness in the Harem," Critical Studies in Media Communication, Vol.23, No.1, pp.39-56, 2006. https://doi.org/10.1080/07393180600570733
  6. C. Sparks, Reality TV: The Big Brother Phenomenon, International Socialism
  7. 이경숙, "오디션 프로그램의 리얼리티와 경쟁 그리고 참가자의 순환적 위치 : <슈퍼스타K>를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문화, 제20권, pp.107-136, 2011(12).
  8. 김성식, 강승묵, "오디션 리얼리티 쇼 <스타오디션 위대한 탄생>과 <슈퍼스타 K2>의 팬덤 현상", 언론과학연구, 제12권, 제3호, pp.5-36, 2012(9).
  9. 박신영,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과 제3자 효과 : 대학생 시청 집단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25권, 제6호, pp.290-331, 2011(11).
  10. 김미라, "리얼리티 오디션 쇼의 인지된 진정성 차원과 수용자 관여, 재미와의 관계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5권, 제6호, pp.88-124, 2011(11).
  11. 원용진, "텔레비전 서비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의 재미와 사회적 의미(1)", 사목정보, 제5권, 제5호, pp.100-103, 2012(5).
  12. 원용진, "텔레비전 서비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의 재미와 사회적 의미(2)", 사목정보, 제5권, 제6호, pp.104-111, 2012(6).
  13. 고동우, "재미진화모형을 적용한 여가체험 : 프로야구와 프로축구를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제16권, 제2호, pp.85-105, 2004.
  14. 김관호, "경쟁서사의 확장 연구 : '나는 가수다'시즌 1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6권, 제6호, pp.30-50, 2012(12).
  15. 김영찬, 김지희, "오디션 프로그램의 서사적 특성에 관한 연구 : MBC <위대한 탄생>을 중심으로",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13권, 제3호, pp.45-77, 2012(9).
  16. 나은경, 손영준, 김옥태, "리얼리티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과 소셜 미디어 이용을 통한 시청자 참여의 효과 : 사회신뢰와 정치효능감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12권, 제4호, pp.179-220, 2012(12).
  17. 성영신, 고동우, 정준호, "여가 경험의 심리적 본질 : 재미란 무엇인가?", 소비자학 연구, 제7권, 제2호, pp.35-57, 1996.
  18. 손성우, 김동규, "경쟁 리얼리티 TV프로그램의 리얼리티 창출 기제와 그 의미에 관한 연구 :<슈퍼스타 K3>와 <나는 가수다>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언론과 사회, pp.46-80, 2012(11).
  19. 송명진, "서사 전략과 대중문화 콘텐츠 : 방송 오디션 프로그램 '슈퍼스타 K2'와 '위대한 탄생'을 중심으로", 대중서사연구, 제25권, pp.205-228, 2011(6).
  20. 윤태진, "정서적 참여와 실재(reality)의 재구성 : 한국 리얼리티 텔레비전쇼의 작동방식에 대한 고찰", 방송문화연구, 제23권, 제2호, pp.7-36, 2011.
  21. 은혜정, 조영준, 김동우, "시청자는 무엇으로 사는가 : 오디션 프로그램의 시청자 참여에 대한 소고", 한국방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pp.208-209, 2012(11).
  22. 이종수, "오디션 리얼리티쇼와 현대 여성의 '통과의례' :<도전 슈퍼모델>서사분석을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문화, 제9권, pp.51-86, 2008(4).
  23. 이재신, 이민영, 연보영, 김기만,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 시청과 플로우의 매개적 역할", 한국방송학보, 제26권, 제2호, pp.167-204, 2012(3).
  24. 이희승, "지상파 리얼 버라이어티의 한국 지역적 특징과 수용의 쾌락", 언론과학연구, 제11권, 제3호, pp.207-237, 2011.
  25. 최소망, 강승묵, "텔레비전 오디션 리얼리티 쇼의 서사구조 분석 : 스타오디션 위대한 탄생>과 슈퍼스타 K2>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pp.120-131, 2012(6). https://doi.org/10.5392/JKCA.2012.12.06.120
  26. 최지선, "오디션 프로그램의 생산과 소비 : '슈퍼스타 K2'를 중심으로", 문화과학, 제64권, pp.312-323, 2010(12).
  27. M. Csikszentmihalyi,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NY: Harper Perennial, 1990.
  28. J. M. Jones, "Show Your Real Face," New Media & Society, Vol.5, No.3, pp.400-421, 2003. https://doi.org/10.1177/14614448030053006
  29. S. Barnet-Weiser and L. Portwood-Stacer, "I Just Want to be Again!: Beauty Pageants, Reality Television and Post-feminisim," Feminist Theory, Vol.7, No.2, pp.255-272, 2006. https://doi.org/10.1177/1464700106064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