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유아교육과 지원자의 유아에 대한 이미지와 입학 후 유아에 대한 이미지 변화 연구

A Study on Changes in the Images of Children Possessed by Applicants for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fter They Enter the Department

  • 투고 : 2015.06.08
  • 심사 : 2015.07.08
  • 발행 : 2015.07.28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과 지원자의 유아에 대한 이미지를 살펴보고 합격자를 대상으로 유아교육 전공 1학년 과정을 마친 후 유아에 대한 이미지가 변화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유아교육자 지원자 328명과 합격한 후 1학년을 마친 25명이었다. 자료수집방법은 그림 그리기 은유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내용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유아교육과 지원자들의 유아에 대한 이미지는 '정성, 사랑, 관심이 필요한 존재', '가르치고 이끌어야 하는 존재', '자유분방하고 개성이 있는 존재', '밝고 순수하여 행복을 주는 존재', '학습과 성장 잠재능력을 가진 존재' '여리고 연약한 존재'로 나타났고, 입학 후 1년이 지난 시점에는 교사로서 자신이 가르쳐야 하는 대상으로 이해하고 유아기에 대한 발달적 지식을 바탕으로 한 이미지로 변화하였음을 보여 주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images of children possessed by applicants for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find out how the images of children have been changed when the applicants have entered the department from successful applicants. Study subjects were 328 applicants for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25 students who passed the entrance examination and completed the first year. Data were collected by painting metaphors and the contents of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the images of children possessed by applicants for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beings that require sincerity, love, and attention', 'beings that must be taught and led', 'beings that are liberal and characterful', 'beings that are bright and pure and give happiness', 'beings that have potential for learning and growth' and 'beings that are soft and weak' and when one year had passed after the entrance into the department, the images of children possessed by the students were changed into the subjects of teaching by the students as teachers and images based on developmental knowledge of childhood.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용익,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눈에 비친 실과 교과의 이미지",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제16권, 제1호, pp.59-77, 2003.
  2. 손상희, "지체부자유아에 대한 이미지 형성이 아동들의 태도 변화에 미치는 효과", 특수아동연구, 제3권, pp.165-194, 2001.
  3. 최명선, 김영희,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 교사, 친구 이미지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2권, pp.229-249, 2005.
  4. M. A. Carter and N. D. Roe, "Our image of the child. Procedia,"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Vol.93, No.21, pp1.704-1709, 2013.
  5. 윤부아, 유아가 인식한 부모 이미지, 중앙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6. 김경철, 채미영, "한국 전래동화에 나타난 아동관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제6권, 제3호, pp.203-218, 2001.
  7. 심상욱, "현대미술에 나타난 아동화적 성향과 어린이 이미지에 대한 연구", 미술치료연구, 제9권, 제3호, pp.119-142, 2002.
  8. 김태오, "소파의 아동관의 교육철학적 검토", 교육철학, 제18권, pp.21-42, 2000.
  9. 윤팔중, "속담에서 본 한국인의 아동관", 교육학 연구, 제5권, 제1호, pp.36-46, 1967.
  10. 우성영, "속담을 통해 본 한국인의 교육관", 교육논총, 제1권, pp.1078-1108, 1981.
  11. 정진, 백혜리, "조선 후기 풍속화를 통해 본 아동인식", 아동학회지, 제22권, 제1호, pp.109-124, 2001.
  12. 홍성태, "지식사회와 어린이- '똑똑이' 이데올로기와 학력주의의 내면화", 문화과학, 제21호, pp.53-70, 2000.
  13. 조문현, 박현주, "TV광고에 나타난 어린이의 이미지 분석", 어린이미디어연구, 제4권, pp.21-39, 2005.
  14. 이영자, "교사의 아동관이 교사-유아간의 언어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교육학 연구, 제23권, 제1호, pp.113-133, 1985.
  15. 이원영, 주영희, 김경철, 유치원의 교육목적에 관한 연구, 서울: 창지사, 1994.
  16. 최애경, 강영심,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아동에 대한 이미지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제11권, 제3호, pp27-42, 2007.
  17. 강인애, 우리시대의 구성주의, 서울: 문음사, 2003.
  18. J. D. Novak and D. B. Gowin, Learning how to learn. Cambridge, NY: University Press, 1984.
  19. I. M. Kinchin and D. B. Hay, "How a qualitative approach to concept map analysis can be used to aid learning by illustrating patterns of conceptual development," Educational Research, Vol.42, No.1, pp.43-57, 2000. https://doi.org/10.1080/001318800363908
  20. Y. W. Lin, Early childhood student teachers' images and their classroom practice, ERIC Document Production Service No. ED 370916, 1994.
  21. R. E. Scott, Psychological and Social Correlates of International Images, In H. C. Kelman(Ed.), Internal Behavior, NY: Halt, Kinehart and Winston, 1986.
  22. 안득기, "대북 이미지의 이중구조와 통일의식 분석", 한국시민윤리학회보, 제22권, 제2호, pp.206-224, 2009.
  23. 서보윤, "대학 이미지광고 메시지 구성에 관한 연구", 광고홍보연구, 제9권, pp.183-201, 2001.
  24. 이두원, "한국 대학의 상징적 가치체계에 대한 기호학적 해독 연구", 커뮤니케이션학연구, 제18 권, 제3호, pp.131-154, 2010.
  25. 이금란, 유치원 교사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26. 이춘자, "예비유아교사의 유치원교사에 대한 이미지 변화", 교원교육, 제26권, 제1호, pp.1-19, 2010.
  27. 최애경, "예비유아교사의 보육실습 전.후에 따른 교사이미지 변화", 아동교육, 제16권, 제3호, pp.291-302, 2007.
  28. 하은옥, "교육실습 전.후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교사 이미지 변화",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 3호, pp.19-42, 2007.
  29. S. Weber and C. Mitchell, "Drawing ourselves into teaching: Studying the images that shape and distort teacher education,"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Vol.12, No.3, pp.303-313, 1996. https://doi.org/10.1016/0742-051X(95)00040-Q
  30. D. P. Britzman, "Cultural myths in the making of a teacher: Biography and social structure in teacher education," Harvard Educational Review, Vol.56, No.4, pp.442-456, 1986. https://doi.org/10.17763/haer.56.4.mv28227614l44u66
  31. M. S. Ball and G. W. H. Smith, Analyzing visual dat, CA: Sage publication, 1992.
  32. 박성일, "이미지의 시각적 사고에 관한 연구-대뇌 생리학을 중심으로-", 혜전전문대학논문집, 제 16권, pp.171-190, 1998.
  33. 이정희, "근대과학에서 시각적 재현의 의미", 철학논총, 제55권, 제1호, pp.299-322, 2009.
  34. 김정선, "시각적 의사소통의 이해에 관한 연구", 미술교육논총, 제18권, 제3호, pp.29-44, 2004.
  35. 고은성, 이경화, 송상헌, "시각적 사고와 분석적 사고 사이에서 이미지의 역할",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제10권, 제1호, pp.63-78, 2008.
  36. A. C. Rule and M. Harrell, "Symbolic drawings reveal changes in preservice teacher mathematics attitudes after mathematics methods course,"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Vol.106, No.6, pp.241-258, 2006. https://doi.org/10.1111/j.1949-8594.2006.tb17913.x
  37. J. A. Thomas, L. E. Pedersen, and K. Finson, "Validating the Draw-A-Science-Teacher-Test Cheklist(DASTT-C): Exploring mental models and teacher beliefs,"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Vol.12, No.3, pp.295-310, 2001. https://doi.org/10.1023/A:1014216328867
  38. 박은혜, 조운주,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유아교사 이미지의 변화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제11권, 제4호, pp.25-246, 2007.
  39. 유승연, "유아예비교사의 메타포활용을 통한 전문성 함양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20권, 제1호, pp.241-276, 2013.
  40. 장정윤, "예비유아교사의 수학에 대한 이미지", 육아지원연구, 제8권, 제2호, pp.101-130, 2013.
  41. G. Lakoff and M. Johnson, Metaphors we live by, Chicago: Univ of Chicago Press, http://stdweb2.korean.go.kr/search/Lost-dic.jsp, 1980.
  42. M. Maxson and R. Sindelar, "Images revisited: Examining preservice teachers' ideas about teaching," Teacher Education Quarterly, Vol.25, No.2, pp.5-26, 1998.
  43. R. C. Bogdan and S. K. Biklen, 교육연구의 새접근: 질적 연구(신옥순 역), 서울: 교육과학사, 1990(원서 1982 출판).
  44. 김병성, 교육연구방법, 서울: 학지사, 1996.
  45. 성원경, 이춘자, "그림 그리기를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수업 이미지 분석-교육실습전.후를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제19권, 제4호, pp.75-100, 2013.
  46. 정진, 성원경, 이춘자, 조인경,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유아에 대한 이미지", 아동교육, 제16권, 제4호, pp.261-270, 2007.
  47. 고동섭,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특성,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48. 이미숙, "예비 유아교사와 예비 초등교사 역할인식", 교원교육, 제23권, 제2호, pp.63-80, 2007.
  49. 박혜경, "유치원 교사의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 유아교육학논집, 제16권, 제6호, pp.189-211, 2012.
  50. 성원경, 이춘자, 김현지, "좋은 수업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인식", 한국교육, 제36권, 제2호, pp.49-73,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