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DHD, Depression, Anxiety, Self-esteem, Impulsivity, Suicide Idea and Quality of Life with Burnout of Kindergarten Teacher

어린이집 교사의 소진과 ADHD, 우울, 불안, 자존감, 충동성, 자살사고, 삶의 질

  • 이혜안 (안성시정신건강증진센터) ;
  • 심수연 (안성시정신건강증진센터) ;
  • 양영애 (안성시정신건강증진센터) ;
  • 임명호 (안성시정신건강증진센터/단국대학교 심리학과)
  • Received : 2016.03.03
  • Accepted : 2016.06.13
  • Published : 2016.07.28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of ADHD, depression, anxiety, self-esteem, impulsivity, suicide idea and quality of life as well as burnout of kindergarten teachers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lso, it examined the odds ratio with ADHD, depression, anxiety, self-esteem, impulsivity, suicide idea and quality of life between burnout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throug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 set of questionnaires was provided to a total of 310 participants (80 with higher burnout risk and 230 without burnout risk) from April 2015 to July 2015. All of participants were evaluated using the Korean Adult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Scales, Beck's Depression Inventory, Beck's Anxiety Inventory, Baratte' Impulsivity Scale, Rosenberg's Self-esteem Inventory and Qulity of Life Sc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burnout risk group is related to ADHD and anxiety and impulsivity. For the treatment of burnout in kindergarten teachers, effective evaluation and treatment of ADHD and impulsivity, as well as anxiety, seem to be necessary.

어린이집 교사는 과도한 업무 및 지속적인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소진 등의 여러 가지 정신적 문제를 나타낼 수 있다. 본 연구는 어린이집 교사의 소진뿐만 아니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증상, 우울, 불안, 자존감, 충동성, 자살사고, 삶의 질의 관련성에 대해 광범위하게 평가하였다. 또한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어린이집 교사의 소진위험군에 대해서 대조군에 비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증상, 우울, 불안, 자존감, 충동성, 자살사고, 삶의 질의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2015년 4월부터 7월까지 ${\bigcirc}{\bigcirc}$시에 거주하는 어린이집 교사 310명을 대상으로 설문평가를 시행하였다. 이중에서 소진위험군에 해당하는 군은 80명이었다. 모든 대상군에서 한국형 성인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척도, 벡 우울척도, 벡 불안척도, 바렛 충동성척도, 로젠버그 자존감 척도, 자살사고 척도, 삶의 질 척도 등을 평가하였다. 결과로서 소진위험군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증상, 우울, 불안, 자존감, 충동성, 자살사고, 삶의 질에서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회귀분석에서는 불안,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충동성에서도 유의한 odds ratio를 나타내었다. 이는 어린이집 교사의 소진에는 불안 등의 정서적 위험요인 외에도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충동성 등이 연관성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중재적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은미, "영아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보육효능감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제15권, 제4호, pp.263-290, 2011.
  2. 김은영, 박은혜, "유치원 교사의 직무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3권, 제2호, pp.303-323, 2006.
  3. 김은영, 어린이집 교사의 복지 실태 및 개선 방안, 육아정책연구소, 2014.
  4. 박은주, 문태형, "유아교사가 지각한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 사회적 지지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제31권, 제2호, pp.75-99, 2011.
  5. H. J. Freudenberger and G. Richelson, Burnout, New York, Bantam Books, 1980.
  6. 이원일, 직무소진과 조직유효성의 관계에서 자기 효능감 사회적지원의 조절효과에 관한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7. 민하영,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우울 및 동료교사/원장의 정서적 지지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정서적 지지의 주 효과 완충효과를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제31권, 제4호, pp.1-14, 2010.
  8. 홍길회, 정혜진,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우울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 우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제9권, 제4호, pp.263-280, 2013.
  9. 김승욱, 직장인의 직무소진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0. 이형주, 상담자의 공감, 상태특성불안, 완벽주의 부정적 결과와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1. 서홍숙,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집단자존감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2. 이지연, 정서노동이 유아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집단자존감의 매개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3. A. T. Beck, C. H. Ward, M. Mendelson, J. Mock, and J. Erbaugh, "An inventory for measuring depression," Arch Gen Psychiatry, Vol.4, pp.561-571, 1961. https://doi.org/10.1001/archpsyc.1961.01710120031004
  14. Y. H. Lee and J. Y. Song, "A study of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BDI, SDS, and MMPI-D scales," Korean J Clin Psychol, Vol.10, No.1, pp.98-113, 1991.
  15. A. T. Beck, N. Epstein, G. Brown, and R. A. Steer, "An inventory for measuring clinical anxiety: psychometric properties," J Consult Clin Psychol, Vol.56, No.6, pp.893-897, 1988. https://doi.org/10.1037/0022-006X.56.6.893
  16. S. P. Yook and Z. S. Kim, "A clinical study on the korean version of Beck Anxiety Inventory: comparative study of patient and non-patient," Korean J Clin Psychol, Vol.16, No.1, pp.185-197, 1997.
  17. K. Murphy and R. Barkley, "Preliminary normative data on DSM-IV criteria for adults," The ADHD Report, Vol.3, pp.6-7, 1995.
  18. E. J. Kim, "The validation of Korean Adult ADHD Scale," Korean J Clinical Psychology, Vol.22, pp.897-911, 2003.
  19. 이영호, 귀인양식, 생활사건, 사건 귀인 및 무망감과 우울의 관계: 공변량구조 모형을 통한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3.
  20. 최옥화, 칭찬부모교육 집단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및 어머니가 지각한 모-자 관계 변화에 비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21. J. Yoo, W. Yang, K. Lee, S. Lee, C. S. Lee, and H. Y. Lee, "Gender Difference in Self-Esteem of Medical Students,"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Vol.15, No.3, pp.241-248, 2003. https://doi.org/10.3946/kjme.2003.15.3.241
  22. E. S. Barratt and R. White, "Impulsiveness and anxiety related to medical students' performance and attitudes," J Med Educ, Vol.44, pp.604-607, 1969.
  23. 이현수, 충동성검사, 서울:한국가이던스, 1992.
  24. E. Diener, "Subjective well-being : The science of happiness and aproposal for a national index," American Psychologist, Vol.55, No.1, pp.34-43, 2000. https://doi.org/10.1037/0003-066X.55.1.34
  25. 조명한, 차경호, 삶의 질에 대한 국가 간 비교, 서울:집문당, 1998.
  26. 김양희, 유성경, 임지숙, "한국 여대생의 진로지향성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다중역할 계획태도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청소년연구, 제22권, 제4호, pp.161-185, 2011.
  27. 강정희, 김철웅, "말라크 소진 측정 도구(Maslach Burnout Inventory)의 적용가능성 평가," 성인간호학회지, 제24권, 제1호, pp.31-37, 2012. https://doi.org/10.7475/kjan.2012.24.1.31
  28. 한임순, 이순례, 김향자, 권용은, "어린이집 교사의 소진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제10권, pp.97-130, 1997.
  29. 김순안, 보육교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30. 최윤이, 심숙영, "근무환경에 따른 유아교육 교사의 소진 정도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제19권, pp.133-148, 1999.
  31. 김창기,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문제중심적 대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제69권, pp.315-336, 2011.
  32. 구은미, "보육교사의 신체적.정신적 건강상태와 소진에 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제15권, 제4호, pp.119-139, 2011.
  33. 권화숙, "사회지지와 근무환경이 어린이집 교사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업무요인과 소진을 매개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제8권, 제2호, pp.157-1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