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Quality Improvement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 Focused on Delivery Room Clinical Practice

간호대학생의 분만실 임상실습 질 향상 방안

  • 전나미 (성신여자대학교 간호대학) ;
  • 노기옥 (성신여자대학교 간호대학)
  • Received : 2016.03.04
  • Accepted : 2016.05.02
  • Published : 2016.07.28

Abstract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strategies to improve quality in clinical practice by identifying the nursing student contents of clinical practice, performance level and satisfaction in the delivery room setting and correlations between the performance level and satisfaction. As the result, Nursing students were mostly rely on observational experiences with very limited experiences of performance and assist. Nursing students'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were relatively low with 69 percentile score. The women's health clinic group showed higher score on frequency of clinical observation,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than the tertiary hospital group. Correlations among frequencies of observation, assist and satisfaction were identified. Simulation based clinical practice as alternative ways to enhance students' performance level, utilizing community based speciality healthcare facilities for clinical practice, increasing observational experiences in the clinical field were suggested as strategies to improve quality of nursing clinical practice and ultimately to improve quality of healthcare services.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분만실 실습 중 수행내용을 파악하고 임상실습 환경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실습 수행도 및 만족도를 분석하여 실습의 질 향상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분만실 임상실습은 대부분 관찰 위주로 진행되고 있었고, 제한된 영역에서만 직접수행과 보조적 수행을 경험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 만족도는 69%정도의 비교적 낮은 수준을 보였다. 임상실습지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여성전문병원의 분만실에서 실습 한 간호대학생은 종합병원에서 보다 더 많은 관찰을 수행 할 수 있었고, 그에 따라 만족도 점수 또한 높았다. 분만실 임상실습에서 관찰 및 보조적 수행이 많을수록 만족도는 상승하였다. 결과에서 확인된 실습 중 부족한 직접수행은 시뮬레이션기반 임상실습 등을 통해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병원 실무자와의 긴밀한 의사소통을 기반으로 실습지를 확보하고, 다양한 간호대상자를 경험하고 관찰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은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와 질 향상을 위한 전략으로서 제시될 수 있겠다.

Keywords

References

  1. 전나미, "단순화 QFD를 적용한 의료서비스 품질 향상," 한국경영공학회지, 제19권, 제1호, pp.177-189, 2014.
  2. I. V. Papathanasiou, K. Tsaras, and P. Sarafis, "Views and perceptions of nursing students on their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teaching and learning," Nurse education today, 제34권, 제1호, pp.57-60, 2014. https://doi.org/10.1016/j.nedt.2013.02.007
  3. 한지영, 박현숙, "임상실습 교수효율성과 임상실습교육환경이 간호학생의 임상실습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지, 제18권, 제3호, pp.365-372, 2011.
  4. 김경선, 노영주, 김증임, 박준식, 보건의료부문 일자리 확충 및 근로의 질 개선 방안 연구,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pp.1-76, 2010.
  5. 박재현, 정의, 고진경, 유효빈, "분만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산부인과 임상실습 교육," 대한산부인과학회지, 제51권, 제9호, pp.950-956, 2008.
  6. 김윤미, 전나미, 이은희, 조인숙, 안숙희, 김증임, 김혜원, "간호학생의 여성건강간호학 임상실습 경험 및 만족도 조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17권, 제3호, pp.225-242, 2011. https://doi.org/10.4069/kjwhn.2011.17.3.225
  7. 김일옥, 박재순, "논평 : 모성간호학 실습교육의 현황 -4년제 간호대학(학과)를 중심으로,"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12권, 제1호, pp.12-21, 2006.
  8. 정옥분, 박현주, "남자간호학생의 분만실 실습경험,"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17권, 제1호, pp.64-76, 2011. https://doi.org/10.4069/kjwhn.2011.17.1.64
  9. 김순애, 이선경, 채현주, "분만 간호에 대한 시뮬레이션 실습교육과 병원 분만실 실습교육의 효과,"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18권, 제3호, pp.180-189, 2012. https://doi.org/10.4069/kjwhn.2012.18.3.180
  10. 송영아, 손영주, "분만간호 핵심술기에 대한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의 효과," 부모자녀건강학회지, 제16권, 제1호, pp.37-44, 2013.
  11. 한국간호교육평가원, 간호교육인증평가 기준집, 한국간호교육평가원, pp.1-51, 2014.
  12. https://www.cia.gov/library/publications/the-world-factbook/
  13. 윤미선, 조주연, "간호대학생의 분만실 실습기관별 간호수행 경험과 간호수행 자신감," 한국자료분석학회, 제12권, 제2호, pp.909-921, 2010.
  14. 강희영, 김은정, 오윤정, "간호시뮬레이션 학습시나리오의 개발 및 평가 - 응급실 내원 간경화증 환자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9호, pp.312-321, 2013.
  15. 김예은, 강희영,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학습시나리오 개발 및 적용 - 신경계 환자간호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1호, pp.236-248, 2013.
  16. 김희숙, "시뮬레이션을 혼합한 모성실습교육이 학습태도와 학습만족도 및 임상실습 수행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시뮬레이션학회지, 제2권, 제1호, pp.45-53, 2014.
  17. 심정신, 박미경, 김정효,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전과 후에 따른 시뮬레이션 기반 분만교육의 효과," 한국모자보건학회지, 제18권, 제1호, pp.125-133, 2014.
  18. 권인수, 서영미, "임상실습 교육에 대한 간호학생의 요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8권, 제1호, pp.25-33, 2012. https://doi.org/10.5977/jkasne.2012.18.1.025
  19. 이숙자,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간호학회지, 제10권, 제2호, pp.41-52, 1980.
  20. 한지영, "간호학생이 인지한 임상실습교육환경," 한국자료분석학회지, 제12권, 제5호, pp.2595-2607, 2010.
  21. 지은미, 이진희,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이 임상실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지, 제16권, 제2호, pp.1125-1140, 2015.
  22. E. H. Ha, "Attitudes toward clinical practice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A Q methodology study," Nurse education today, Vol.35, No.6, pp.733-739, 2015. https://doi.org/10.1016/j.nedt.2015.01.013
  23. 김지수, 이애란, 어용숙, "아동간호실습 운영형태에 따른 간호학생의 임상실습수행도 및 실습만족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9권, 제4호, pp.542-548, 2013. https://doi.org/10.5977/JKASNE.2013.19.4.542
  24. F. Faul, E. Erdfelder, A. Buchner, and A. G. Lang,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41, pp.1149-1160, 2009. https://doi.org/10.3758/BRM.41.4.1149
  25. 임난영, 강현숙, 서문자, 이여진, 권성복, 김동옥 등, "내.외과계 임상간호사가 인지하는 간호역할행위의 중요도와 수행도 비교," 기본간호학회지, 제11권, 제2호, pp.124-137, 2004.
  26. 이점덕, 프리셉터 지도를 받은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임상수행능력 및 임상실습 만족도, 전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27. 백경선, 송애리, 김영희, 김태경, "문제중심 학습방법을 적용한 임상실습교육의 만족도, 자율성, 성취동기와의 관계-모아임상실습을 중심으로," 동서간호학연구지, 제13권, 제2호, pp.92-106,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