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uty of the Business Owner in the Contents(Casino) Corporation related with the Commercial Law - In the case of claim for damages of the gambler against the Kangwon Land(Supreme Ct. 2014.8.21, 2010다92438 case)

상법상 유기장콘텐츠 영업주(카지노영업주)의 주의의무에 관한 연구 -강원랜드 카지노 이용자의 손해배상청구의 경우 (대판 2014.8.21., 2010다92438 전원합의체 판결)

  • 전우현 (한양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 Received : 2017.10.17
  • Accepted : 2017.10.24
  • Published : 2017.12.28

Abstract

This is Kangwon Land casino case due to the damages of betting money, which is likely to affect the contents industry in the future. The reason why the gambler and his family's suit is that why the manager did not control their own access or did not supervise the wagering rules. The provisions of the "Restriction on the amount of money to be paid to the casino" in the Article 14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Act on the Support for the Development of the Abandoned Mine Area are not intended to increase the duty of the casino managers. It is just one of many public regulations imposed. No matter what legislation is made for public interest, it can not be considered equally in the private duty. If so, too much effort will be required to enact or amend the public law and this makes the legislative activity impossible. The Act on the Restriction on Access to the Casino shall be construed accordingly. From the point of view of economic efficiency theory, if we overestimate statutory duties (liability for compensation) excessively, the price goes up on the market, and the volume of transaction decreases drastically. This reduces the economic utility of resources in the society as a whole (total output, foreign currency acquisition amount, etc.).

본 사안은 카지노 사업장에서 판 돈을 잃은 고객과 그 가족이 왜 고객 자신의 출입을 제지하지 않았는가 또는 베팅한도액 규정을 잘 지키도록 감독하지 않았는가라는 이유로 수 백억원의 배상책임(손해배상책임)을 카지노 사업주에게 추궁한 사건이다. 사례의 카지노업은 일종의 관광콘텐츠산업이다. 향후 관광업 내지 콘텐츠산업에서 유사한 사례가 빈발할 수 있는 바 그에 대한 판단기준을 제시하려고 한다. 구 폐광지역 개발지원에 관한 법률시행령 제14조상 영업제한 중 '카지노에 거는 금액의 제한' 규정은 카지노 사업자의 사법상 주의의무를 가중시키는 것이 아니라 카지노업을 예외적으로 허용하는 강원도 폐광지역에 대해 공익상 부과되는 여러 규제 중 하나일 뿐이다. 그 법률 시행령상 카지노 출입제한 규정도 이와 같이 해석해야 한다. 어떤 법규가 공익적인 목적으로 제정되었다고 하여도 사법적인 과실(過失) 유무와 정도에까지 모두 영향을 미친다고 여길 수는 없다. 경제적 효용론(經濟的 效用論)의 관점에서 보더라도 사법상 주의의무(배상책임)를 지나치게 가중시키면 시중에서 가격만 높아지고 거래량은 대폭 감소하는 역효과가 나타난다. 공법적 감독규정을 근거로 사업주의 사법상(私法上) 주의의무를 쉽게 가중하는 법해석은 신중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호, 상법총칙.상행위법, 팔마도서, 2004.
  2. 김홍기, 상법강의, 박영사, 2015.
  3. 김정호, 상법강의(상), 법문사, 2005.
  4. 神岐克郞, 商法總則.商行爲法通論, 同文舘, 1999.
  5. 이철송, 상법강의, 박영사, 2016.
  6. 최준선, 상법총칙, 삼영사, 2005.
  7. 송옥렬, 상법강의, 홍문사, 2011.
  8. 손주찬, 상법(상), 박영사, 2004.
  9. 이기수, 최병규, 상법총칙.상행위법, 박영사, 2010.
  10. 김선광, 심영, 유주선, 천경훈, 최병규, 상법요해, 피앤씨미디어, 2016.
  11. 서정갑, 改訂 商法(總則.商行爲), 日新社, 1986.
  12. 김병연, 박세화, 권재열, 상법총칙.상행위: 사례와 이론, 박영사, 2012.
  13. 손진화, 상법강의, 신조사, 2013.
  14. Richard A. Mann and Barry S. Roberts, Business Law, 13 ed., West, 2006.
  15. Kenneth W. Clarkson, Roger LeRoy Miller, Garlord A. Jentz, and Frank B. Cross, Business Law, 8th ed., 2001.
  16. David P. Twomey, Marianne Moody Jennings, and Ivan Fox, Business Law and the Regulatory Environment, West, 2001.
  17. 윤진수, 법의 해석과 적용에서 경제적 효율의 고려는 가능한가, 법경제학(이론과 응용), 도서출판 해남, p.5, 2011.
  18. 신도철, 법경제학: 방법론과 법의 제정 및 해석.적용에서의 역할, 법경제학(이론과 응용), 도서출판 해남, p.47, 2011.
  19. 은숭표, "법경제학의 입장에서 본 복합적 제도 (기업, 국가, 시스템, 시스템세계화) 및 제도선택 (시장경제와 민주주의)," 토지공법연구, 제10집, p.411, 2000.
  20. Coase, "The problem of social cost," The journal of Law and Economics, Vol.3, pp.1-44, 1960. https://doi.org/10.1086/466560
  21. 주진열, "한국 법경제학의 도전과 과제," 법경제학연구, 제11권, 제1호, p.3, p.13, 2014.
  22. 신석훈, "기업의 본질과 경쟁," 규제연구, 제15권, 제2호, p.116,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