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Human Image Analysis Through Fashion Color of Female Political Leaders

여성정치지도자의 패션컬러를 통해 본 휴먼이미지 연구

  • 김세아 (건국대학교 휴먼이미지학과) ;
  • 장성호 (건국대학교 휴먼이미지학과)
  • Received : 2017.08.25
  • Accepted : 2017.10.06
  • Published : 2017.12.28

Abstract

21st century has become an era can design human's image. By designing the each human's images it is possible to express the hidden abilities of their mind. Modern society changes rapidly where the elements such as consideration, sympathy, understandings, and female leadership of communication emerge as a spur rather than speediness or complexity.In a lot of global conglomerates, it is very common for women to be selected as CEO, and even more, the rate of woman who are the member of Congress is almost 40%. The fashion of female leader has come to the fore with an improvement of female leadership, and the fashion colour which is suitable to P.O has been developed as a significant image strategy. I am going to conduct the research and analyse the fashion of a female political leader through the colour image which is equivalent to a visual image and sensitive language. I will analyze the human image which female leaders present through fashion colors.

21세기는 사람의 이미지를 디자인하는 시대가 되었다. 사람의 이미지를 디자인함으로써 개인 내면의 숨겨진 능력을 밖으로 표출시켜 줄 수 있다. 현대사회는 빠르게 변화되고 이러한 사회는 이제 빠르고 복잡함보다는 배려와 공감, 이해심, 소통의 여성 리더십이 새로운 원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세계적으로 큰 기업에서는 여성 최고 경영자가 선출되는 것이 빈번할 뿐만 아니라 북유럽에서는 여성 국회의원의 수가 40%를 육박하고 있다. 여성리더십의 향상과 함께 여성 지도자의 패션은 주목받고 있으며 장소와 상황에 적합한 패션 컬러는 여성 지도자에게 중요한 이미지 전략 중 하나로 쓰여 진다. 본 연구는 시각 이미지이자, 감각 언어인 컬러 이미지를 통해 여성 정치 지도자의 패션을 분석하고 연구하고자 한다. 그리고 여성 지도자들이 패션컬러를 통해 제시하는 휴먼이미지를 분석한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blog.naver.com/witch_doctor/40000333519.
  2. 이희재, 현대 여성 패션 룩에 나타난 색채 이미지 연구, 숙명여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6.
  3. 임은숙, 21세기 여성 정치리더 6인의 패션에 나타난 색채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4. 권현아, 미국 대통령 부인의 의생활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5. 장문, 중국과 미국 퍼스트레이디의 패션 스타일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6. 이초, 중국 퍼스트레이디 펑리위안의 패션 이미지와 디자인 특성,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7. 이윤주, 색채 이미지에 기반한 패션 색채 계획 도구의 개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9.
  8. 이희재, 현대 여성 패션 룩에 나타난 색채 이미지 연구, 숙명여자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9. 윤호정, 퍼스트레이디의 의상컬러에 나타난 이미지 표현 연구, 성신여자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10. 한지은, 21세기 여성 정치 리더의 패션 정치와 스타일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11. 이정주, 김기연, 패션과 이미지메이킹, 서울 : 신광출판사, 2012.
  12. 이진희, "컬러커뮤니케이션이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5, pp.154-162,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5.154
  13. 김재영, 서혜경, 정연자, 이미지메이킹, 예림출판사, 2012.
  14. 김미현, 컬러진단과 이미지 메이킹, 서울 : 예림 출판사, pp.59-60, 2003.
  15. 이미숙, 강유희, "마가렛 대처의 파워 드레싱연구," 한국패션비지니스학회지, Vol.8, No.1, pp.132-148, 214.
  16. 채금석, 패션디자인 실무, 교문사, 1999.
  17. 민보름, 한국의 이미지 정치와 정치 수사연구, 이화 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8. 장성호, "UCC의 정치적 영향유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3, pp.294-300,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3.294
  19. 김유진, 공익 광고와 블루 컬러 이미지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20. http://www.fashionseoul.com/?p=111661.
  21. www.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