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Qualitative Meta-Analysis about the Change of Adolescences in the Process of Returning from the School Dropout

청소년의 학업중단에서 학업복귀의 변화과정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Received : 2017.10.16
  • Accepted : 2017.10.27
  • Published : 2017.1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kind of changes adolescents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returning from the school dropout. For this purpose, 'Qualitative Meta-Analysis' was conducted for seven papers of this area, which was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as a method. 'Qualitative Meta-Analysis' is a method of presenting new interpretations by synthesizing qualitative studies on the same topic. In this study, the qualitative research on the process of returning from the school dropout was selected. The final articles selected for the analysis were seven article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The results obtain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elected individual papers were as follows. For adolescents, a series of the process of returning from school dropout was 'self-growth through introspection and support.' In this process, there were five stages of change: abandonment, drifting, self-awareness, decisive action, and struggles. Relevant factors that led to this change were self-perception, the awareness of a reality, resources and support. Based on these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ep were explained and discussed.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clarified and the follow-up study was proposed for more detailed examin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이 학업중단에서 학업복귀의 과정에서 어떤 변화를 경험하는지를 탐구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이 분야의 질적 연구 자료들을 대상으로 질적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질적 메타분석은 같은 주제를 다룬 질적 연구들을 종합하여, 새로운 해석을 제시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업중단에서 학업복귀에 이르는 과정을 다룬 국내 질적 연구를 대상으로 선정과정을 거쳤다. 분석 대상으로 최종적으로 선정된 논문은 국내의 학술지에 출판된 7편이다. 선정된 개별 연구들을 비교 분석하여 종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청소년에게 학업중단으로부터 학업복귀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은 '성찰과 지지를 통한 자기 성장'이었다. 이 과정에는 포기, 표류, 자각, 결행, 분투의 5개의 변화단계가 나타났다. 변화를 이끄는 관련 요소는 자기자각, 현실인식, 자원과 지지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각 단계의 특징을 설명하고 논의하였다. 끝으로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밝히고,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교육개발원, 2015 교육통계분석자료집, http://kess.kedi.re.kr
  2. 윤철경, 유성렬, 김신영, 임지연, 엄아람, 최은희,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 I, 한국청소년개발원, 2013.
  3. 이자영, 강석영, 김한주, 이유영, 양은주, "학업중단 위기 청소년이 지각한 학업중단의 위험 및 보호요인 탐색," 청소년상담연구, 제18권, 제2호, pp.225-241, 2010.
  4. 심현, 이병환, 서동기, "학업중단 숙려제 운영을 위한 고등학생 학교 부적응 행동요인 분석," 교육문화연구, 제21권, 제2호, pp.57-75, 2015.
  5. R. Schreiber, D. Crooks, and P. N. Stern, "Qualitative meta-analysis," In J. M. Morse (Ed.), "Completing a qualitative project: Details and dialogue," Thousand Oaks, CA: Sage, pp.311-326, 1997.
  6. D. L. Finfgeld, "Metasynthesis: The state of the art-so far," Qualitative Health Research, Vol.13, pp.893-904, 2003. https://doi.org/10.1177/1049732303253462
  7. L. Timulak, "Meta-analysis of qualitative studies: A tool for reviewing qualitative research findings in psychotherapy," Psychotherapy Research, Vol.19, No.4, pp.591-600, 2009. https://doi.org/10.1080/10503300802477989
  8. G. Nobilt and R. Hare, "Meta-Ethnography: Synthesizing qualitative studies," Newbury Park, CA: Sage, 1988.
  9. B. L. Paterson, S. E. Thorne, C. Canam, and C. Jilling, "Meta study of qualitative health resarch," Thousand Oaks, CA: Sage, 2001.
  10. M. Sandelowski and J. Barroso, "Handbook for synthesizing qualitative research," New York, NY: Springer, 2007.
  11. 정선영, 최성우, "일반계 남자고등학생의 학업중단숙려에 이르는 학교생활요인 탐구," 학교사회복지, 제35권, pp.21-51, 2016.
  12. 명소연, 조진옥, "학교밖 청소년의 학교 이탈과 이후 삶의 도전과 성장에 관한 질적 연구: 학교밖 지원 사업에 참여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청소년상담연구, 제24권, 제2호, pp.75-98, 2016.
  13. 정민선, 김현미, 유순덕, "잠재적 학업중단청소년의 학업지속 요인에 관한 질적 분석," 청소년상담연구, 제19권, 제1호, pp.87-105, 2011.
  14. L. A. Jensen and M. N. Allen, "Metasynthesis of qualitaive findings," Qualitative Health Research, Vol.6, pp.553-560, 1996. https://doi.org/10.1177/104973239600600407
  15. R. Elliot and L. Timulak, "Descriptive and interpretive approaches to qualitative research," In. J. Miles & P. Gilbert(Eds.), A handbook of research methods in clinical and health psychology, pp.147-159, 2005.
  16. 홍나미, 신문희, 박은혜, 박지현, "학업중단 청소년의 학업복귀 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접근," 청소년복지연구, 제15권, 제1호, pp.121-153, 2013.
  17. 김경애, "학교 중단 청소년들에 대한 사례연구: 진로개발 단계 진입이 가능했던 이유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6권, 제9호, pp.1143-1170, 2016.
  18. 윤철경, 서정아, 유성렬, 조아미,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및 지원 방안 연구(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보고서, 2014.
  19. 최지연, 김현철, "학업중단 청소년의 특성 및 지원 방안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23권, 제3호, pp.103-132, 2016.
  20. 이주영, 정제영, "학업중단 결정에 대한 학교 밖 청소년의 인식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22권, 제11호, pp.239-267,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