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haracteristics of Spectacularity and Narrative in Digital Fiction Film Split Screen

디지털 극영화 화면분할(Split Screen)의 내러티브와 스펙터클적 특성에 대하여

  • 장미화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
  • 문재철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 Received : 2016.12.02
  • Accepted : 2017.01.10
  • Published : 2017.01.28

Abstract

Computer technology pursuing more innovative image than before, makes some characteristics which distinguishes the digital fiction film from the analogue fiction film. One hand, the split screen in analogue film aides the development of drama in the aspect of narrative, on the other hand, it controls the psychology of spectator. The composite image in digital fiction film by computer graphic, and elaborated digital editing show many innovation in the field of audiovisual. In this context, I would like to remark on the digital film (2003) directed by Ang-Lee. In , the split screen and the composition of the fast transiition of shots in the scene of laboratory were created by computer graphic program for special effects. As visual special effect plays an important role in digital film, its narrative space creates a space which is distinguishable from that of analogue film.This can be an example which says a lot for the special aspect of digital narrative.

컴퓨터 테크놀로지가 더 혁신적인 이미지를 추구하면서 디지털 극영화는 아날로그 극영화와는 다른 고유한 특징을 띠게 되었다. 아날로그 영화의 화면분할은 한편으로 내러티브 차원에서 극적 전개를 효율적으로 도우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관객의 심리를 조정하는 데 중점을 둔다. 디지털 극영화에서 화면분할은 컴퓨터 그래픽을 사용한 합성 이미지들과 정교화된 디지털 편집으로 새로운 시각적 혁신들을 선보이게 된다. 그런 맥락에서 이안의 디지털 영화 <헐크>는 주목할 만하다. <헐크>의 화면분할과 실험실 장면에서의 빠른 쇼트 이동의 구성은 컴퓨터 그래픽 프로그램을 사용한 디지털적 방식으로 과거의 특수효과들을 재매개하는 것이다. 디지털 영화에서 특수효과가 주요한 역할을 하게 됨에 따라 내러티브 공간은 아날로그 영화의 공간들과 확실히 다른 공간들을 만든다. 이는 디지털 내러티브의 독특한 양상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장우진, "화면분할의 미학과 의미-극영화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호, 2012.
  2. 정정화, "분할화면의 미학:비디오/영화," 기초조형학연구, 제9권, 제2호, 2008.
  3. Alexandre Tylski, "Le split-screen audiovisuel, contemporaneite(s) d'une figure," Positif, Vol.566, pp.56-59, 2008.
  4. Peter Wollen, Signs and Meaning in the Cinema, BFI, 2013.
  5. Douglas Keesey, Brian De Palma's Split-Screen: A Life in Film, University Press of Mississippi, 2015.
  6. 데이비드 노먼 로도윅, 정헌 역, 디지털 영화 미학, 커뮤니케이션 북스, 2012.
  7. 문재철, "현대영화에서 내러티브와 스펙터클의 관계," 문학과 영상, 제5권, 제2호, 2004.
  8. Eleftheria Thanouli, Puzzle films, ed. Warren Buckland, Wiley-Blackwell, 2009.
  9. http://www.editorsguild.com/v2/magazine/News letter/JulAug03/hulk.html
  10. Deborah Tudor, "The Eye of the Frog, Questions of Space in Films Using Digital Processes," Cinema Journal, Vol.48, No.1, 2008.
  11. Lev Manovich, The Digital Dialectic, ed. Peter Lunenfeld, Cambridge, MA:MIT Press, pp.172-197,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