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ase Study on Production for Stop-motion Animation "Galaxay Kids"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갤럭시키즈> 제작 사례 연구

  • 김탁훈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
  • 박진완 (중앙대학교 융합공학부)
  • Received : 2016.10.06
  • Accepted : 2016.11.15
  • Published : 2017.01.28

Abstract

Stop-motion animation is highly valued for realistic imagery and its ability to captivate the five senses of the audience. Despite this, practical research in this area is limited to date. The long hours required to produce stop-motion animation and turn these into profits can be attributed for the lack of knowledge in this area. In production research, the matter is made worse as it is difficult to protect the intellectual property made through the collaborated efforts of students and teaching staff through each laborious stage of planning, broadcasting and making 2D models. Meanwhile as the animation industry finds the investigation of new production processes taxing, it has maintained its focus on pre-existing processes such as the use of pipeline. This paper aims to shed light on new production methods that can be used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existing stop-motion production. In addition, by working with Taktoon Enterprises on its T.V series Galaxy Kids the paper will revise real world production methods including the traditional use of hand made models. Thus by investigating the use of graphic technology such as 3D printing the paper will be able to extend current business models. Research conducted in this paper is a necessary part of overcoming various contents production obstacles. Furthermore, it may help publicize issues faced in production leading to the discussion and sharing of new innovations.

스톱모션 애니메이션은 촉각적 공감을 불러일으키고, 시각적으로 사실감을 더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진 특수한 콘텐츠분야로 여겨진다. 오랜 역사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여타의 애니메이션 제작방식에 비하여 제작사례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많은 노동력과 시간이 요구되는 만큼 제작과 더불어 수익을 창출하기까지의 데이터가 축적되기 힘들기 때문이다. 특히, 기획부터 시작하여, 방영 그리고 2차 저작물 생산까지 애니메이션 전공 학생과 교수가 중심이 되어 단계적으로 지적재산권을 다져나가는 사례는 극히 드물다고 볼 수 있다. 아울러, 애니메이션 제작업계에서 기존의 파이프라인 외의 스톱모션 애니메이션의 제작 프로세스를 분석하고 지속적으로 신규성을 발견하기란 어려운 일이었다. 이에 본 논문은 기존의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제작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제작사례 연구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탁툰엔터프라이즈에서 제작한 TV시리즈 갤럭시키즈의 제작과정을 통하여 선행연구사례에서 미진했던 자체적인 제작프로세스의 개발의 원형을 구축하고 더불어 전통적인 수작업 중심의 제작과정외의 3D프린팅과 같은 그래픽기술의 활용 및 고안된 비즈니스 모델의 확산을 제시할 것이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콘텐츠 제작에 있어 필연적으로 마주하던 난관이 더욱 공론화되고 구체적인 해결방안의 공유가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www.kbs.co.kr/1tv/enter/galaxykids/
  2. http://taktoon.com/
  3. 이정현, 홍정모, "유체 시뮬레이션 기술을 이용한 애니메이션 세븐씨의 영상 특수효과 연출 사례," 한국산업응용수학회 논문집, 제5권, 제1호, pp.15-18, 2010.
  4. 제영호, "영화 서유항마편 VFX 제작사례," 제11회 한국애니메이션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2013.
  5. 박정수, "한국과 중국의 대중문화 교류의 명암 (明暗): 영화공동제작의 사례 분석," 중소연구, 제38권, 제4호, pp.189-220, 2015.
  6. 채범석, 김재호, "한, 중, 미 합작 애니메이션 기획에 나타난 과정 연구-KBS 방영 시리즈작품 "파워 마스크" 중심으로," 조형미디어학, 제16권, 제2호, pp.211-215, 2013.
  7. 김동환, "Tableau Public을 이용한 인포그래픽 제작 사례연구," 한국공간정보학회지, 제23권, 제2호, pp.21-29, 2015.
  8. 김민정, 정희진, "정보유형에 따른 인터랙션 표현 기법에 관한 사례 연구-뉴욕타임스의 인터랙티브 인포그래픽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20권, 제1호, pp.145-158, 2014.
  9. 김혜란, 백주미, "아날로그와 디지털이 혼재된 뉴미디어 예술형식의 교육적 역할에 관한 고찰-디지털 펜을 활용한 "라이브 드로잉" 작품사례를 중심으로," CONTENTS PLUS, 제13권, 제6호, pp.101-113, 2015. https://doi.org/10.14728/KCP.2015.13.06.101
  10. 공지흔, 김치용, "지자체 관광자원을 모티브로 한 3D 입체애니메이션의스토리텔링 기획에 관한 연구: 울산 남구와 경북청도의 제작사례를 중심으로,"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제18권, 제2호, pp.260-267, 2015. https://doi.org/10.9717/kmms.2015.18.2.260
  11. 양인화, 김상헌, "소셜 펀드레이징을 통한 인디 레이블의 제작사례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2012 춘계종합학술대회, 2012.
  12. 황순선, "성수동 구두지역 활성화를 위한 벽화 일러스트 제작사례," 일러스트레이션 포름, 제45 권, pp.45-54, 2015.
  13. 강병수, 김재영, 성정환, "트랜스포밍 드레스 설계 및 제작," 디자인융복합연구, 제11권, 제4호, pp.59-70, 2012.
  14. 이용배, "애니메이션 연구: 애니메이션 기법을 활용한 국제영화제용 트레일러 제작 연구: 제8회 부산국제영화제에 사용된 트레일러 제작 사례를 중심으로," 디지털영상학술지, 제1권, pp.231-248, 2004.
  15. 남주현, "문화재의 디지털복원을 위한 3D 애니메이션 사례연구-신라 월성 복원영상 '천년왕국의 부활' 제작과정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19권, 제4호, pp.269-281, 2013.
  16. 박진완, 김탁훈, "Nadal vs Alien/viral content for UEFA Euro 208 애니메이션 제작 사례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제10권, 제1호, pp.229-237, 2009.
  17. http://www.etnews.com/20160218000277
  18. 김탁훈, 이영주,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스톱 모션 애니메이션 퍼펫 제작 연구," 애니메이션연구, 제10권, 제2호, pp.108-128, 2014(6).
  19. 김정호, "3D 컴퓨터그래픽을 도입한 클레이 캐릭터 제작 공정 개발에 관한 연구,"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제11권, 제9호, pp.1245-1257, 2008(9).
  20. 최철영, 김기홍, 채일진, 최규돈, "CG 캐릭터와 미니어처 합성 애니메이션 콘텐츠를 위한 모션콘트롤 카메라 개발 사례 연구," 애니메이션연구, 제 6권, 제4호, pp.106-123, 2010(12).
  21. 최철영, 김기홍, 최규돈, 채일진, "컴퓨터그래픽스 기술을 이용한 효율적인 클레이 룩 애니메이션 제작 공정 구축 사례," 애니메이션연구, 제5권, 제1호, pp.152-169, 2009(6).
  22. 한창환, "캐릭터산업의 정책변인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 제33호, pp.597-616, 2013(12).
  23. H. Kim and J. W. Park, "Textual Visualization based on Readability," Proceeding of ACM SIGGRAPH Asia 2011,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