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증강현실 마케팅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Augmented Reality Marketing

  • 문한별 (중앙대학교 융합공학부) ;
  • 김진희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
  • 박진완 (중앙대학교 융합공학부)
  • 투고 : 2016.11.18
  • 심사 : 2017.02.01
  • 발행 : 2017.02.28

초록

본 논문은 마케팅 분야에서 증강현실의 사용 현황에 대해 이해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콘텐츠 유형별로 나눠 대표 사례와 특징에 대해 분석하였다. 증강현실의 시장 규모는 증가하고 있으며 마케팅 분야에서는 '증강현실 마케팅'이라는 용어가 보편화될 정도로 증강현실 기술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 증강현실 기술을 마케팅적으로 활용한 사례를 분석하여 유형별 사용 빈도와 특징을 정리하여 향후 증강현실 마케팅 연구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논문은 증강현실 사례를 유형별로 분류하여 분석을 진행한다. 디스플레이 유형은 개인 컴퓨터, 모바일, 공공장소 디스플레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로 나눠 분석하였고 콘텐츠 유형은 정보형, 게임형, 가상체험형, 비주얼 이펙트형으로 분류하였다. 디스플레이 유형은 시간과 장소에 제한 받지 않고 고객과의 1대1 마케팅이 가능한 모바일 디스플레이가 가장 많이 활용되었고, 콘텐츠 유형은 이용자의 관심을 끌고 공유성이 강한 비주얼 이펙트형이 많이 사용되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study the usage of augmented reality(AR) in the marketing field by classifying them into display and content types and analyzing the typical cases and characteristics. The market for AR has been on the increase and has been a big influence in the marketing field, resulting in the generalization of the term "AR marketing." By analyzing the marketing cases which use AR technology and organizing the frequency of use and characteristic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as a basic material for future studies on AR marketing. In this study, AR marketing cases are classified into different categories including display and contents. First, AR display category includes personal computers, mobile, public display, and projection display. AR contents category includes informative content, game contents, virtual experience, and visual effect. While investigating, it was found that the most used type of AR display was mobile, which has the advantage of not being limited by time and place and is also capable of one-on-one marketing with customers. The most used type of AR content was visual effect type, which evokes curiosity and is easily shared among people.

키워드

참고문헌

  1. 편집부, 차세대 IT시장을 리드하는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기술기반 시장동향과 향후 전망, CHO Alliance, 2015.
  2. 박편집부,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의 전망, 하연출판, 2015.
  3. Ronald T. Azuma, "A Survey of Augmented Reality," Teleoperators and Virtual Environments, Vol.6, No.4, pp.355-385, 1997. https://doi.org/10.1162/pres.1997.6.4.355
  4. P. Milgram, "Augmented reality: a class of displays on the reality-virtuality continuum," Telemanipulator and Telepresence Technologies, Vol.2351, No.27, pp.282-292, 1995.
  5. 원종욱, 박준우, "브랜드 경험을 위한 증강현실 APP 활용 방안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5권, 제2호, pp.101-110, 2015.
  6. 김동철, 이주화, 우운택, "증강현실 2.0 기술과 콘텐츠응용기술 현황 및 전망," 정보와 통신, 제28권, 제6호, pp.54-60, 2011.
  7. 이명희, 증강현실을 활용한 광고가 소비자 태도와 구매 효과에 미치는 영향, 서울과학기술대학교.
  8. 김형택, 인터넷 & 시큐리티 이슈, 한국인터넷진흥원, 2010.
  9. http://blog.naver.com/starara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