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일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의 사회적 자본형성과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Working Elderly Persons' Formation of Social Capital and Self Efficacy

  • 이신숙 (순천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투고 : 2016.10.12
  • 심사 : 2016.11.09
  • 발행 : 2017.02.28

초록

본 연구는 노인이 일에 참여함으로써 가져올 수 있는 사회적 자본과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노년기 일에 대한 중요성을 조명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조사대상은 전남에 위치한 K, S, Y 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된 노인을 대상으로 조사를 하였으며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ANOVA, 상관관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의 사회적 자본형성의 정도는 평균 86.5점(중앙치: 81점) 이었고 자기효능감은 평균 43.2점(중앙치: 39점)으로 참여하고 있지 않은 노인의 사회적 자본형성 점수인 79.7점, 자기효능감 점수인 평균 39.1점보다 더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둘째, 일 참여 노인의 사회적 자본형성은 거주지, 종교, 거주상태, 경제상태, 일 참여 빈도, 건강 상태, 배우자 유.무, 한달 평균 수입에서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일 참여 노인의 자기효능감은 사회적 자본형성, 경제상태, 한달 평균수입, 배우자의 유무, 건강상태, 거주형태, 교육수준, 종교, 일 참여빈도에서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셋째, 일 참여 노인의 사회적 자본형성과 자기효능감 간에는 상관관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 참여노인의 사회적 자본형성에 대한 주요 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은 경제상태, 건강상태, 배우자 유.무, 종교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인의 사회적 자본형성에 대한 설명력은 총 13% 이었다. 그리고 일 참여노인의 자기효능감에 대한 주요 변인의 영향력은 호혜적 규범, 경제상태, 네트워크 구축, 사회참여, 거주지, 건강상태, 신뢰감 형성, 연령, 배우자 유.무 순이었으며 이들 변인이 갖는 영향력은 총 34% 이었다. 이들 변인 중 호혜적 규범형성과 네트워크 구축, 사회참여가 전체 영향력의 대부분인 23%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어 사회적 자본형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social capital between self efficacy, and the elderly in participated employment or not. The subjects were 340 elderly people in K, S, Y City in Jeonnam. The statistics used for data analysi were reliability,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one way ANOV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 degree of social capital of the elderly in participated employment was 86.5(median value 81), while the degree of social capital who did not participated was 79.7. And the degrees of elderly's self efficacy was 43.2, those data showed higher than median. while the degree of self efficacy who did not participated was 39.1. Second, The elderly's social capital level in participated employment were significantly according to residence, religion, living state, economic state, frequency of employment, health state, spouse, monthly income, and the elderly's self efficacy level in participated employment were significantly according to social capital, economic state, monthly income, spouse, health state, living state, education, religion, frequency of employment, Third, participation on the employment for elderly' social capital was the highest correlation variable in self efficacy. Fourth,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elderly's social capital level were economic state, health state, spouse, religion, which explained about 13% of the total variance. And the variables that affect elderly's self efficacy level norm, economic state, network, participation, residence, health state, trust, age, spouse, which explained about 34% of the total variance.

키워드

참고문헌

  1. 류건식, 김대환, "OECD 노후소득보장체계의 변화 특징과 정책적 시사점," 계간 보험동향, Vol.58, pp.1-31, 2011.
  2. 윤민석, 서울시 일하는 노인 근로 특성과 정책과제, 서울연구원, pp.331-398, 2015.
  3. 이해영, 노인복지론, 서울: 창지사, 2012.
  4. 정경희, 오영희, 강은나, 김재호, 선우덕, 오미애, 이윤경, 황남희, 김경래, 오신휘, 박보미, 신현구, 이금룡, 2014년도 노인실태조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5. 통계청, 2015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 및 고령층 부가조사 결과, 2015.
  6. 김태호, 베이비부모 퇴직자의 사회적 자본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7. 장유미,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가 사회적 자본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8. 조주은, 지역 메가이벤트 참여가 사회적 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자긍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순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9. 진화숙, 일자리 참여 노인의 사회적 자본 형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순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0. 최경옥, 지역사회 사회자본이 청소년 사회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성공회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11. 강미선, 사회적지지가 노인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2. 김미혜, 신경림,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후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제25권, 제2호, pp.35-45, 2005.
  13. 이안나,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만족도가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호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14. 주민경,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후 개념에 대한 암시적 타당화, 호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5. 통계청, 통계로 본 광복 70년 한국사회의 변화, 2015.
  16. 통계청, 2014 고령자 통계, 2015.
  17. 한국건강관리협회, 한국건강관리협회 건강소식 7월호, 2016.
  18. J. W. Rowe and R. L. Kahn, Successful aging, New York: Pantheon, 1998.
  19. 안홍순, 노인복지론, 서울: 공동체, 2014.
  20. P. Bourdieu, "The Social space and the genesis of group," Theory and Society, Vol.14, No.6, pp.723-744, 1985. https://doi.org/10.1007/BF00174048
  21. R. D. Putnam, "The Prosperous community: Social capital and public life," The American Prospect, Vol.13, pp.35-42, 1993.
  22. J. S. Coleman, Foundations of social theory, Cambridge, MA: Harvard Univ. Press, 1990.
  23. 최인자, 노인 일자리사업과 참여만족에 관한 연구: 전주시 노인일자리 참여자를 중심으로,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24. 권구영, 박공식, "노인일지리 사업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7권, 제3호, pp.527-547, 2007.
  25. 권중돈, 노인복지론, 서울: 학지사, 2010.
  26. 오혜연,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가 참여자의 사회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 광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7. 최은희, 노인일자리사업이 참여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28. H. M. Abu-Rayya, "Depression and social involvement among elders," Internet J. of Health, Vol.5, No.1. pp.9-13, 2006.
  29. J. Siegrist and M. Wahrendorf, "Participation in socially productive activities and quality of life in early old age: Findings from SHARE," J. of European Social Policy, Vol.19, No.4, pp.317-326, 2009. https://doi.org/10.1177/1350506809341513
  30. 박상돈, 박순미, 이경희, 노인복지론, 서울: 양서원, 2015.
  31. A. Bandura, "Self 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American Psychologist, Vol.37, No.1, pp.122-127, 1986.
  32. 강수연, 노인 일자리 사업 참여가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신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33. 김경림, 유아교육 종사자의 평생교육 참여에 따른 자기효능감 연구, 광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34. 김은희,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35. 김희주, 주경희, "한국적 성공적 노후 척도를 활용한 노인의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41권, pp.125-158, 2008.
  36. 백인경, 노인의 자원봉사활동과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37. S. L. Anderson and N. E. Betz, "Sources of social self efficacy expections.; Their measurement and relation to career development," J of Vocational Behavior, Vol.58, pp.98-117, 2001. https://doi.org/10.1006/jvbe.2000.1753
  38. S. G. Robinson and E. R. Pizzi, "Maximizing stroke recovery using patient self-care, self-efficacy," Rehabil Uurs, Vol.28, No.2, pp.48-51, 2003.
  39. S. Tedman, E. Thornton, and G. Baker, "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core beliefs perceived self efficacy in adult with epilepsy," Seisure, Vol.4, pp.221-231, 1995.
  40. 김소향, 이신숙, "노인일자리 참여여부에 따른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9권, 제1호, pp.309-327, 2009.
  41. 아산노인복지재단, "고령화 사회,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제25회 재단 창립 기념 심포지움, 2003.
  42. 정은진, 이재덕, 정향윤, "사회적 자본이 긍정적인 자아관을 매개로 행복에 미치는 영향," 제11회 한국교육고용패널 학술대회, 2015.
  43. 유석춘.장미혜, "연구논문; 사회자본과 한국사회," 사회발전연구, 제8권, pp.87-125, 2002.
  44. 원효연, 영어 팀티칭 수업 연구, 나사렛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45. 서지원, "노년기 경제적 복지를 위한 사회투자정책의 방향: 인적자본 및 사회자본의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제12권, 제2호, pp.31-55, 2008.
  46. 김준홍, "사회적 자본, 신체활동 그리고 주관적 건강: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통한 정책의 근거 모색," 보건과 사회과학, 제28권, pp.61-90, 2010.
  47. 신상식, 최수일, "노년기 여가활동이 사회자본 및 삶의 만족 간의 관계," 호텔 관광 연구, 제12권, 제3호, pp.173-189, 2010.
  48. 이정규, "지역사회 중심의 전환훈련 프로그램이 학령기 지적 장애인의 지역사회 적응기술에 미치는 효과," 동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49. J. F. Helliwell and R. D. Putnam, "The Social context of well-being,"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 Vol.359, pp.1435-1446, 2004. https://doi.org/10.1098/rstb.2004.1522
  50. D. G. Myers and E. Diener, "Why is happy?," Psychological science, Vol.6, No.1, pp.10-19, 1995. https://doi.org/10.1111/j.1467-9280.1995.tb00298.x
  51. C. H. Cooley, Human nature and the social order, Transaction Pub, 1992.
  52. G. H. Mead, "Mind, self, and society: From the standpoint of a social behaviorist," Univ. of Chicago press, Vol.1, 1934.
  53. E. Diencr, E. Sandvik, and W. Pavot, "Happiness is the frequency, not the intensity, of positive versus negative affect subjective well-being," Edited by F. Strack, M. Argyle and N. Schwarz, Oxford, England: Pergamon, pp.119-139, 1991.
  54. 권중기, 사회적 자본과 범죄발생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가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55. 박충우, 사회적 자본이 자원봉사활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56. 차정은,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개발을 위한 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57. 임종임, 이신숙, "농촌지역 여성단체의 사회복지 관련 활동이 사회적 자본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7호, pp.300-313,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5.15.07.300
  58. 김경희, 노인일자리 참여자의 생활만족도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7.
  59. 김동배.박은영, "여성노인의 생산적 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38권, pp.339-358, 2007.
  60. 홍석관,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과 비참여노인의 자기효능감과 우울 비교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61. 이현주, 정순돌, 김고은,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저소득층 노인의 사회적 자본 경험과 의미," 노인복지연구, 제60권, pp.143-168, 2013.
  62. 이정복, 노인평생교육에서의 사회적 자본 실태 분석, 가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