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숭례문 관련 기사의 트렌드 분석

Trend Analysis of News Articles Regarding Sungnyemun Gate using Text Mining

  • 김민정 (숙명여자대학교 소비자경제학과) ;
  • 김철주 ((주)동방문화유산)
  • 투고 : 2016.11.17
  • 심사 : 2016.12.14
  • 발행 : 2017.03.28

초록

국보 제1호인 숭례문은 2008년 2월 10일 화재로 일부가 소실되었으나 화재 이후 복구 작업을 통해 2013년 5월 4일 시민에게 공개되었다. 이로 인해 숭례문은 국가적으로 큰 이슈가 되어 언론의 관심을 받으며 동시에 많은 연구의 대상이 되었다. 본 연구는 문화재로서 숭례문을 키워드로 하여 2002년부터 2016년까지 신문 기사에 대한 빈도분석을 통해 숭례문 관련 어떤 키워드들이 자주 나타나고 있는지에 대해 파악하였다. 또한 추출된 숭례문 관련 키워드들간 연관관계 분석을 통해 키워드간 연결의 맥락을 파악하고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숭례문 화재 전후, 언론사별 주요 키워드 추출을 통해 공통점과 차이점을 보여줌으로써 관점의 다양성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문화재로서 숭례문 관련 키워드는 화재 이후에 나타난 키워드가 전체 기사에서 고빈도어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고 몇 가지 키워드간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화재 전후 키워드에는 명확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언론사별 키워드에서 상위 키워드들은 명확한 차이는 보여주지 않았지만 차상위 키워드들은 차이가 발생하여 언론사별로 주로 다루어진 기사들의 내용은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본 연구는 문화재로서 숭례문 관련 기사에 대해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다량의 데이터를 분석하였음에 의미가 있으며 정보생산자 및 정보소비자들에게 숭례문 관련 기사의 동향과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Sungnyemun Gate, Korea's National Treasure No.1, was destroyed by fire on February 10, 2008 and has been re-opened to the public again as of May 4, 2013 after a reconstruction work. Sungnyemun Gate become a national issue and draw public attention to be a major topic on news or research. In this research, text mining and association rule mining techniques were used on keyword of newspaper articles related to Sungnyemun Gate as a cultural heritage from 2002 to 2016 to find major keywords and keyword association rule. Next, we analyzed some typical and specific keywords that appear frequently and partially depending on before and after the fire and newpaper companies. Through this research, the trends and keywords of newspapers articles related to Sungnyemun Gate could be understood, and this research can be used as fundamental data about Sungnyemun Gate to information producer and consumer.

키워드

참고문헌

  1. 윤홍로, "숭례문 화재의 전말과 복구대책," 건축역사연구, 제17권, 제3호, pp.120-130, 2008.
  2. 한범덕, "문화재 재난관리의 필요성과 발전방향 -숭례문 화재사고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10호, pp.189-197, 2008. https://doi.org/10.5392/JKCA.2008.8.10.189
  3. 김란기, "숭례문 화재가 우리에게 남긴 것," 건축역사연구, 제17권, 제1호, pp.156-157, 2008.
  4. 최종덕, 숭례문 세우기-숭례문복구단장 5년의 현장 기록, 돌베개, 2014.
  5. https://search.naver.com/
  6. 이동희, "신문보도를 통해 살펴본 전통목조건축 화재의 실태분석,"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제16권, 제1호, pp.83-90, 2014.
  7.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 스마트 국가 구현을 위한 빅데이터 마스터플랜, 서울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 2012.
  8. 한진성, 윤지환, "소셜 빅데이터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부산국제영화제(BIFF) 활성화 방안 연구 -영화제 개최 전.후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제40권, 제1호, pp.133-145, 2016.
  9. 김정숙, "빅 데이터 활용과 관련기술 고찰,"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0권, 제1호, pp.34-40, 2012. https://doi.org/10.20924/CCTHBL.2012.10.1.034
  10. 이오준, 박승보, 정다울, 유은순, "소셜 빅데이터를 이용한 영화 흥행 요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호, 제10호, pp.527-538,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0.527
  11. S. Lee, S. Lee, H. Seol, and Y. Park, "Using patent information for designing new product and technology: keyword based technology roadmapping," R&D Management, Vol.38, No.2, pp.169-188, 2008. https://doi.org/10.1111/j.1467-9310.2008.00509.x
  12. 조수곤, 김성범,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산업공학 학술지의 논문 주제어간 연관관계 연구," 대한산업공학회지, 제38권, 제1호, pp.67-73, 2012. https://doi.org/10.7232/JKIIE.2012.38.1.067
  13. 배규용, 박주현, 김정선, 이영섭,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기후변화관련 식품분야 논문초록 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제24권, 제6호, pp.1429-1437, 2013.
  14. 임시영, 임용민, 이재용,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U-City와 Smart City의 연구 동향에 대한 분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제22권, 제3호, pp.87-97, 2014. https://doi.org/10.7319/kogsis.2014.22.3.087
  15. 정용복, 박의섭,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암반공학분야 SCI논문의 주제어 분석," 터널과 지하공간, 제25권, 제4호, pp.303-319, 2015.
  16. 감미아, 송민,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신문사에 다른 내용 및 논조 차이점 분석," 지능정보연구, 제18권, 제3호, pp.53-77, 2012. https://doi.org/10.13088/JIIS.2012.18.3.053
  17. 김유호, "의료민영화 논의에 따른 이슈용어의 연결 중심성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8호, pp.207-214,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8.207
  18. 강성경, 유환, 이영재, "텍스트 마이닝과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재난대응 용어분석," Information Systems Review, 제18권, 제1호, pp.141-155, 2016. https://doi.org/10.14329/isr.2016.18.1.141
  19. 안주영, 안규빈, 송민,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매체별 에볼라 주제 분석-바이오 분야 연구논문과 뉴스 텍스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50권, 제2호, pp.289-307, 2016. https://doi.org/10.4275/KSLIS.2016.50.2.289
  20. 홍지숙, 오익근, "소셜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항공사 이미지 변화 분석-K항공의 램프리턴을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제30권, 제6호, pp.119-133, 2016.
  21. J. E. Ha-Brookshire and J. Hawley, "Trends of Research published by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993-2012) and Outlook for Future Research,"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Vol.32, No.4, pp.251-265, 2014. https://doi.org/10.1177/0887302X14541543
  22. 구주나, 김경아, "한국어 텍스트 마이닝의 특성과 2011 한국경제총조사 자료에의 응용," 응용통계연구, 제27권, 제7호, pp.1207-1217, 2014. https://doi.org/10.5351/KJAS.2014.27.7.1207
  23. http://www.bigkinds.or.kr/
  24. http://www.nrich.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