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pplicability of Different E-book Production Methods for Books No Longer in Print

절판(絶版)서적의 전자책 제작방법에 따른 효용성 비교 연구

  • 김소라 ((주)악어스캔) ;
  • 김동언 (경희대학교 아트퓨전디자인대학원)
  • Received : 2017.02.02
  • Accepted : 2017.03.22
  • Published : 2017.04.28

Abstract

This thesis will select one of the books that went out of print, and republish it using the ePub and PDF format to observe the effective and economic method to republish it as an e-book. Conclusively, e-book in PDF format was advantageous over ePub production. The ePub has limitations of electronically publishing the books went out of print prior to 21st century when storing the original text was not common, as well as book with complex layouts. The PDF format was able to capture and recreate the sensitivity that can only be presented by vintage books, also adding to the cultural value. To publish PDF e-books, the foremost requirement is to prepare a standardized system that allows comprehensive browsing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book, and also creating an environment for copyrighted publishers to more actively publish e-books by diversifying the distribution platforms and properly allocating the profit generated by use of the copyright. This thesis provides a simulation of e-book publications, for small and medium size publishers and writers who are hesitant to publish e-books, to take more aggressive approach in entering the business.

이 논문은 한 권의 절판도서를 선정해 ePub과 PDF로 실제 제작을 해봄으로써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절판도서를 전자책으로 복간(復刊)하는 방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결과적으로 PDF 전자책은 텍스트 원본이 없는 경우가 많은 2000년대 이전의 절판서적과 레이아웃이 복잡하여 ePub으로 제작하기 어려운 종이책을 전자화하는데 경제적 효용성이 있으며, 옛날 책만이 가진 감성을 그대로 재현함으로써 문화적인 가치도 있었다. PDF 전자책 출간을 위해선 무엇보다 도서의 현황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체계적인 시스템을 통해 절판도서에 대한 적합한 저작권 이익의 배분과 유통플랫폼의 다양화로 저작권을 가지고 있는 출판사가 보다 적극적으로 전자책 출간을 고려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전자책 제작을 망설이는 영세한 출판사나 저작자가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전자책 출간을 고려해 볼 수 있도록 시뮬레이션 역할을 제공하는데 의의를 가진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www.kpa21.or.kr/
  2.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2015년도 하반기 KPIPA 출판산업 동향, 2016.
  3. 로베르 에스까르삐, 책의 혁명, 普成社, 1985.
  4. 김정규,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른 출판 디자인 연구 : 전자책(e-book)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5. http://www.navibook.co.kr/
  6.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056622
  7. 한국저작권단체연합회 저작권보호센터, 글로벌 저작권 보호, 여름호, 2012.
  8. 이용준, 디지털 혁명과 인쇄 매체, 커뮤니케이션 북스, 1998.
  9. 정경숙, 전자책 단말기(Device)를 중심으로 한 전자책의 현황과 활성화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아트퓨전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0. 박기수, "One Source Multi Use 활성화를 위한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전환 연구," 한국언어문화, 제44집, pp.155-176, 2011.
  11. 장은수, 출판의 미래, 오르트, 2016.
  12. http://www.kyobobook.co.kr/contents/publisher/Soldout.jsp
  13. 문현숙, "EPUB3.0 고정형 레이아웃 전자책 구현,"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호, pp.105-112, 2015.
  14. 이광희, ePub 전자책 제작 테크닉, 비엘북스, 2012.
  15. 박상욱, 전자책 제작활동을 통한 교과학습이 자기 주도적 학습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6. 성대훈, 국내 전자책 서비스업체의 현황과 발전 방안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17. 장기영, 책의 미래, 푸른영토, 2011.
  18. http://www.etnews.com/201312240434
  19. 조미현, 한국전자출판을 말한다:전자출판의 저작권 이슈,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2013.
  20. 조대웅, 한국 전자출판의 현실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2.
  21.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30814115001
  22. 박종명, 전자책 활성화를 위한 스낵콘텐츠 활용 연구, 한양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석사학위논문,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