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mand Characteristics and Analysis of Changes in Spatial Accessibility of Public Sports Facilities

공공체육시설 수요특성 및 공간적 접근성 분석

  • 김성희 (안양대학교 도시정보공학과) ;
  • 김용진 (한국교통대학교 도시.교통공학과)
  • Received : 2017.04.04
  • Accepted : 2017.05.15
  • Published : 2017.07.28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actual conditions of use of public sports faciliti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users of the facilities through surveys and measured the spatial imbalance of the public sports facilities currently supplied by using gravity potential model. This study also suggests evaluation criteria that may be considered for efficient location selection by examining the change of accessibility to the facilities that meet the needs of users in the future. As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unlike current usage, the users hoped for badminton, weight training and swimming. And we could confirm the demand for the expansion of the multi - purpose indoor gym which can carry out such activities in the areas.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difference in accessibility of the public sports facility, there were some large variations in the regions. It was found that a balanced supply of facilities was needed in terms of equity. In particular, when analyzing by considering the population estimates of 2025, It is analyzed that the accessibility will be reduced to about 60% compared to that of 2015. In addition, it is evaluated as the best alternative in terms of overall efficiency that the location of the facilities should be in Munsan area where population growth is expected in the future.

본 연구에서는 공공체육시설의 이용실태와 희망시설에 대한 수요자 특성을 설문을 통하여 분석하고, 현재 공급된 공공체육시설의 공간적 불균형 정도를 중력 포텐셜 모형을 활용하여 측정하며, 향후 수요자 요구에 부합하는 시설의 신규 입지 시 접근성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효율적 입지 선정 시 고려될 수 있는 평가기준을 제시하였다. 공공체육시설 수요특성을 설문조사한 결과 현재 이용실태와는 달리 배드민턴, 헬스, 수영 등의 종목을 희망하며, 이러한 활동을 위한 실내체육관의 확충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체육시설의 불균형도를 중력 포텐셜 모형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지역별로 큰 편차를 보이고 있었으며, 특히 2025년 인구추정치를 고려하여 분석하였을 때 지역별 공공체육시설로의 접근성은 2015년에 비해 약 60%수준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시민들이 요구하는 실내체육시설의 입지를 대안별로 가정하여 파주시 전체의 접근성을 비교한 결과, 현재 시설공급이 부족하고 향후 인구증가가 예상되는 문산생활권에 입지하는 것이 전체적인 효율성 측면에서 가장 양호한 대안으로 평가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양례, 노인의 체육활동 실태 분석 및 활성화 방안, 체육과학연구원, 2003.
  2. 문화체육관광부, 국민 생활체육 참여 실태조사, 2013.
  3.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개발원, 공공체육시설 균형배치 중장기 계획, 2014.
  4. 이학래, "공공체육시설의 확충방안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제35권, 제4호, pp.443-456, 1996.
  5. 김선경, 공공서비스시설 분배의 지역간 형평성 측정 : 서울시 공공생활체육시설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6. 이금숙, "의료서비스시설 입지문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제1권, 제2호, pp.71-84, 1998.
  7. 고재곤, "지역별에 따른 체육시설 현황과 성과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제43권, 제1호, pp.335-347, 2004.
  8. 김대은, 김장환, 신홍범, "대구광역시 공공체육시설의 공간적 분포 특성과 시설 접근성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제15권, 제5호, pp.33-48, 2010.
  9. 오상훈, 오정석, "도시공공체육시설 공급규모 영향요인분석 : 실내체육시설을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지, 제44권, 제1호, pp.67-75, 2005.
  10. 김흥순, 유지곤, "서울시 생활체육시설의 입지요건 및 적정성 분석," 서울도시연구, 제7권, 제4호, pp.37-52, 2006.
  11. E. Talen and L. Anselin, "Assessing spatial equity : an evaluation of measures of accessibility to public playgrounds," Environment and Planning A, Vol.30, pp.595-613, 1998. https://doi.org/10.1068/a300595
  12. M. F. Guagliardo, "Spatial accessibility of primary care : concepts, methods and challenges,"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Geographics, Vol.3, No.3, pp.1-13, 2004. https://doi.org/10.1186/1476-072X-3-1
  13. A. E. Joseph and P. Bantock, "Measuring potential physical accessibility to general practitioners in rural areas: a method and case study," Social Science and Medicine, Vol.16, pp.85-90, 1982. https://doi.org/10.1016/0277-9536(82)90428-2
  14. 문화체육관광부, 2014년 공공체육시설 균형배치 중장기계획, 2014.
  15. 문화체육관광부, 2013 체육백서,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