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Social Work Students' Evaluation toward Connivers of Exam-Cheating on their Evaluation toward Connivers of Corruptions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Both Perceptions of Their Concern of Dysfunction of Whistle-Blowing and of Necessity of Protection Arrangement for Whistle-Blowers

사회복지전공 대학생들의 시험부정 묵인자에 대한 평가가 사회복지조직의 비리 묵인자에 대한 평가에 미치는 영향 :내부고발 역기능에 대한 염려와 내부고발 보호장치 필요성의 이중매개효과검증을 중심으로

  • 이원준 (창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7.08.16
  • Accepted : 2017.09.11
  • Published : 2017.09.28

Abstract

The predominant concerns of the study consist of: (1) the direct effects of social work students' evaluation toward connivers of exam-cheating on their evaluation toward connivers of corruptio ns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2) the dual mediation effects of their concerning dysfunction of whistle-blowing and needing of protection arrangement for whistle-blowers. The notable findi ngs are as follows: First, the evaluation toward a person conniving at exam-cheating significantl y has an effect on the evaluation toward connivers committing corruptions in social welfare orga nizations($.211^{***}$). Second, the more positive evaluation for connivers of exam-cheating, the more concerning dysfunction of whistle-blowing, the less needing protection arrangement for whistle-blowers($-.191^{^{\prime}***}$). The students, concerning dysfunction of whistle-blowing more, show less neg ative evaluation toward a person, conniving at corruption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245^{***}$). The more needing protection arrangement for whistle-blowers, the less positive evaluation regar ding whistle-blowers in the organizations($-.122^{***}$). Lastly, both mediating effects of the needing protection arrangement for whistle-blowers and concerning about dysfunction of whistle-blowing are significant so dual mediator are proved. Some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based on the study's findings.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를 전공하는 학생들이 시험부정행위를 묵인하는 학우에 대한 평가가, 사회복지조직의 비리 묵인자에 대한 평가에 미칠 수 있는 직접효과와, 내부고발의 역기능에 대한 염려와 내부고발자를 위한 보호장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각각 미칠 수 있는 이중매개효과를 밝히는 것이다. 분석을 통해서 밝혀진 사실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험부정 묵인자'에 대한 평가는 사회복지 조직의 비리 묵인자에 대한 평가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211^{***}$)을 미쳤다. 둘째, 시험부정 묵인자에 대한 호감도가 높을수록 내부고발 역기능에 대한 염려도 증가($.098^{***}$)하였고, 내부고발자를 위한 보호장치의 필요성($-.191^{^{\prime}***}$)은 감소하였다. 그리고 내부고발 역기능에 대해서 염려를 많이 할수록, 사회복지조직 비리 묵인자에 대한 호감도가 증가하였고($.245^{***}$), 내부고발자를 위한 보호장치의 필요성을 많이 인식할 수록, 내부고발자에 대한 호감도는 감소($-.122^{***}$)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내부고발자를 위한 보호장치 필요성(.158; 하한값 .133, 상한값 .217)과 내부고발 역기능에 대한 염려(.074; 하한값 .0433, 상한값 .122)는 각각 유의한 매개효과를 미치는 것이 확인되어 이중매개(double mediators)의 효과가 입증되었다. 밝혀진 주요 내용들을 토대로, 사회복지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모색하기 위해서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대구일보, "인권 유린.각종 비리 근절...내년 장애인 거주시설 폐쇄," http://www.idaegu.com/?c=6&uid=363302 (2017. 5. 14), 2017.
  2. 이원준, "개인기부자들의 정서적, 가시적 효용감이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 자기수용의 매개효과와 삶에 대한 감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1호, pp.166-178,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11.166
  3. 이정은, 신현덕, "크라우드펀딩 사이트의 게시글 정보가 펀딩 성공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6호, pp.54-62,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6.054
  4. 권혁인, 이승하, 나윤빈, "크라우드펀딩의 성공.실패 사례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7호, pp.125-136,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7.125
  5. 박광국, 주효진, 김옥일, "조직내 내부고발에 대한 인식유형 분석," 한국행정학보, 제35권, 제1호, pp.109-125, 2001.
  6. 박흥식, "내부고발 (whistle-blowing): 이론, 실제, 그리고 함축적 의미," 한국행정학보, 제25권, 제3호, pp.769-782, 1991.
  7. 고길곤, 조수연, "관행수용도와 부패: 시민의 관행수용도 영향요인에 대한 분석," 한국행정학보, 제46권, 제3호, pp.213-239, 2012.
  8. 이원준, "사회복지전공 대학생들의 컨닝에 대한 인식이 사회복지조직의 내부고발자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학교사회복지, 제38권, pp.201-224, 2017.
  9. 신성자, 이원준, "사회복지전공 대학생들의 내부고발에 대한 긍정적 인식 및 부정적 인식이 사회복지조직의 내부고발자에 대한 평가에 미치는 영향: 컨닝 고발자에 대한 평가의 매개효과와 통제능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지역사회연구, 제25권, 제1호, pp.63-88, 2017.
  10. 이원준, 이희진, "사회복지전공 대학생들의 사회적 책임성이 사회복지조직의 내부고발자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옹호개입의지의 매개효과와 기독교 유무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신앙과 학문, 제72호, 2017.
  11. T. Barnett, "Why Your Company should have a Whistle-blowing Policy," SAM Advanced Management Journal, Vol.57, No.4, pp.37-43, 1992.
  12. 김기범, 김시업, "내부고발자에 대한 지각," 한국심리학회:사회 및 성격, 제20권, 제4호, pp.47-59, 2006.
  13. A. Bandur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Vol.84, No.2, pp.191-215, 1977.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14. N. Garmezy, "Children in poverty: Resilience de spite risk," Psychiatry, Vol.56, No.1, pp.127-136, 1993. https://doi.org/10.1080/00332747.1993.11024627
  15. F. Walsh, Strengthening family resilience, Guilford Publications,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