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ption about Patient Safety Culture, Patient Safety Competence, and Safety Nursing Activities of Emergency Room Nurses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 환자안전역량, 안전간호활동 관계

  • Received : 2017.06.27
  • Accepted : 2017.08.12
  • Published : 2017.10.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cognition about patient safety culture, patient safety competence, and safety nursing activities for emergency room nurs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1 nurses working in the emergency room among the nurses with more than one year working in 9 general hospitals. The research tools were structured questionnaires of patient safety culture, patient safety competence, and safety nursing activitie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perception of the patient safety culture was 3.51 out of 5, and the patient safety knowledge / attitude at the individual level was the highest. Patient safety competence was 3.60 points out of 5, and sub-domain showed 3.91 for attitude, 3.47 for skill, 3.24 for knowledge. Safety nursing activities showed 3.85 points out of 5 points and sub-area showed the highest level of medication.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afety nursing activities and patient safety culture(r=.40, p<.001), patient safety competence, and safety nursing activities(r=.70, p<.001), patient safety competence and patient safety culture(r=.40, p<.001). Especially, it was found that among the characteristics showing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the safety culture, patient safety competence, and safety nursing activities, the safety education within the last one year was influential. The lowest score in the knowledge domain was found to be the lowest among sub-scales of patient safety competence, and it was found that efforts to increase the knowledge level of patient safety were needed.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 환자안전역량, 안전간호활동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9개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1년 이상의 경력간호사 중 응급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2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도구는 환자안전문화, 환자안전역량, 안전간호활동의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은 5점 만점에 3.51, 개인차원의 환자안전 지식/태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환자안전역량은 5점 만점에 3.60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은 태도 3.91, 기술 3.47, 지식 3.24 순이었다. 안전간호활동은 5점 만점에 3.85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은 투약 간호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안전간호활동과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r=.40, p<.001), 환자안전역량과 안전간호활동(r=.70, p<.001), 환자안전역량과 환자안전문화(r=.40, p<.001) 모두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 환자안전역량, 안전간호활동에 차이를 보이는 특성 중 최근 1년 이내 안전교육을 받은 것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임상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안전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또한 환자안전역량의 하위영역 중 지식 영역의 점수가 가장 낮게 측정되어 환자안전 관련 지식수준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www.ahrq.gov/qual/patientsafetyculture/hospsurvindex.htm.
  2. https://doi.org/10.1093/bja/aeq133
  3. 정준, 서영우, 남은우, "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 영향요인 연구," 병원경영학회지, 제11권, 제1호, pp.91-109, 2006.
  4. 채우리,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과 안전간호활동,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5. 안진선, 김연하, 김연주, "응급실 간호사의 감염노출, 예방행위 수행정도와 영향요인," 근관절건강학회지, 제22권, 제1호, pp.40-47, 2015.
  6. 김명선,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에 대한 인식과 영향요인,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7. 윤정미, 박형숙,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 위험 요인에 대한 위험성 인식과 안전 간호활동," 기본간호학회지, 제21권, 제4호, pp.380-391, 2014. https://doi.org/10.7739/jkafn.2014.21.4.380
  8. Danette Alexander, Terry L. Kinsley, and Christine Waszinski, "Journey to a Safe Environment: Fall Prevention in an Emergency Department at a Level I Trauma Center,"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Vol.39, No.4, pp.346-352, 2013. https://doi.org/10.1016/j.jen.2012.11.003
  9. http://www.e-gen.or.kr/nemc/statistcs_report.do
  10. http://www.mohw.go.kr/
  11. 대한환자안전학회, 환자안전 개념과 적용, 박영사, 2016.
  12. Julius Cuong Pham, Leen Alblaihed, Dickson Sui Cheung, Frederick Levy, Peter Michael Hill, Gabor D. Kelen, Peter J. Pronovost, and Thomas D. Kirsch, "Measuring Patient Safety in the Emergency Department," American Journal of Medical Quality, Vol.29, No.2, pp.99-104, 2014. https://doi.org/10.1177/1062860613489846
  13. J. Fordyce, Fidela S. J. Blank, P. Pekow, Howard A. Smithline, G. Ritter, S. Gehlbach, E. Benjamin, and Philip L. Henneman, "Errors in a busy emergency department," Annals of Emergency Medicine, Vol.42, No.3, pp.324-333, 2003. https://doi.org/10.1016/S0196-0644(03)00398-6
  14. http://www.ahrq.gov/professionals/quality-patient-safety/index.html
  15. Stephen K. Epstein, David S. Huckins, Shan W. Liu, Daniel J. Pallin, Ashley F. Sullivan, Robert I. Lipton, and Carlos A. Camargo Jr, "Emergency department crowding and risk of preventable medical errors," Internal and Emergency Medicine, Vol.7, No.2, pp.173-180, 2012. https://doi.org/10.1007/s11739-011-0702-8
  16. 정민영, 정여정, "음악 감상을 통한 음악중재가 응급실 간호사의 불안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 춘계종합학술대회, pp.1111-1117, 2009.
  17. Carol L. Enns and Jo-Ann V. Sawatzky, "Emergency Nurses' Perspectives: Factors Affecting Caring,"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Vol.42, No.3, pp.240-245, 2016. https://doi.org/10.1016/j.jen.2015.12.003
  18. V. F. Nieva and J. Sorra, "Safety culture assessment: a tool for improving patient safety in healthcare organizations," Quality and Safety in Health Care, Vol.12, No.2, pp.17-23, 2003.
  19. P. J. Pronovost, B. Weast, C. G. Holzmueller, B. J. Rosenstein, R. P. Kidwell, K. B. Haller, E. R. Feroli, J. B. Sexton, and H. R. Rubin, "Evaluation of the culture of Safety: survey of clinicians and managers in an academic medical center," Quality and Safety in Health Care, Vol.12, No.6, pp.405-410, 2003. https://doi.org/10.1136/qhc.12.6.405
  20. D. S. Havens and L. H. Aiken, "Shaping systems to promote desired outcomes: the magnet hospital model,"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29, No.2, pp.14-20, 1999. https://doi.org/10.1097/00005110-199902000-00006
  21. N. G. Castle and K. E. Sonon, "A culture of patient safety in nursing homes," Quality and Safety in Health Care, Vol.15, No.6, pp.405-408, 2006. https://doi.org/10.1136/qshc.2006.018424
  22. 박미정, 김인숙, 함영림, "병원 의료종사자의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측정도구 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5호, pp.332-341,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5.332
  23. 장해나, 환자안전역량 측정도구의 적합성 평가 및 적용: 간호사를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24. F. Milligan and S. Dennis, "Improving patient safety and incident reporting," Nursing Standard, Vol.19, No.7, pp.33-36, 2004. https://doi.org/10.7748/ns2004.10.19.7.33.c3733
  25. Graham D. Glancy and Gary Chaimowitz, "The clinical use of risk assessment," The Canadian Journal of Psychiatry, Vol.50, pp.12-17, 2005. https://doi.org/10.1177/070674370505000104
  26. 김정자, 최신기본간호학, 정담미디어, 2006.
  27. 이금옥, 간호관리자의 리더십과 환자안전관리활동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8. 이지은, 이은남,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환자안전관리활동," 중환자간호학회지, 제6권, 제1호, pp.44-56, 2013.
  29. 이유정, 병원간호사가 지각한 환자안전문화 및 환자안전관리 활동, 을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30. 금주라,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 조직몰입과 환자안전관리활동의 관계,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31. 오정현,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이 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32. 노이나, 병원 근무 직종별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 분석,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33. 김정은, 강민아, 안경애, 성영희, "환자안전과 관련된 병원문화와 의료과오 보고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조사," 임상간호연구, 제13권, 제3호, pp.169-179, 2007.
  34. 신은화,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 인식과 안전간호 활동에 관한 연구,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35. 유선화, 상급 종합병원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 의사결정능력이 환자안전역량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36. 김명희, 중환자실 간호사의 안전문화인식, 태도 및 환자안전간호활동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37. 신현식, 김지수, "중소병원 응급실 간호사 업무에 대한 영향요인," 간호행정학회지, 제21권, 제4호, pp.386-392, 2015. https://doi.org/10.11111/jkana.2015.21.4.386
  38. 이순교, 한국형 환자안전문화 측정도구 개발 및 평가,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39. N. J. Lee, "Development of questionnaires to measure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patient safety competencies," 11th International Congress on Nursing Informatics, Montreal, Quebec, Canada, 2012.
  40. 박소정, 강지연, 이연옥, "병원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안전간호활동에 관한 연구," 중환자간호학회지, 제5권, 제1호, pp.44-55, 2012.
  41. C. Wagner, M. Smits, J. Sorra, and C. C. Huang, "Assessing patient safety culture in hospitals across countries,"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Vol.25, No.3, pp.213-221, 2013. https://doi.org/10.1093/intqhc/mzt024
  42. 이숙현, 중환자실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환자안전역량, 성균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43. 김기경, 송말순, 이계숙, 허혜경, "병원 간호사의 사건보고 불이행 경험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호행정학회지, 제12권, 제3호, pp.454-463, 2006.
  44. 남문희, 최숙희, "간호관리료 등급별 환자안전 및 안전간호활동 인식 비교," 임상간호연구, 제17권, 제20호, pp.138-149, 2011.
  45. http://www.law.go.kr/법령/환자안전법시행령
  46. 김효선, 한정숙,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능력 및 자기효능감이 환자안전역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7권, 제6호, pp.598-608, 2016. https://doi.org/10.5762/KAIS.2016.17.6.598
  47. http://www.mw.go.kr/front_new/index.jsp,
  48. 장금성, 간호사의 임상경력개발 모형구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