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Phenomenological Study on Growth Experience of Youth with Part-time Jobs

아르바이트 청소년의 성장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구승신 (세계사이버대학교 청소년복지상담학과)
  • Received : 2017.07.12
  • Accepted : 2017.09.15
  • Published : 2017.10.28

Abstract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ssence and meaning of part-time job experience, in particular, to deduce growth experience through part-time jobs. This study is based on time-experience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developed by the van Manen. For this research, the research data was collected by reviewing high school student part timer in Gyeonggi-do, those who had experience of average of two-year part time work or currently at work, and by undertaking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of them from the March to April of 2017 with the agreements of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Time-experiences, i.e. part-time job experiences of youths, can be arranged as the following subjects. 'the feeling necessity part-time job and seeking it', 'adapting hard life of part-time', growth-experiencing through part-time work..The necessities for part-time job are feeling up consumption needs, aidsing domestic economy, pursuing independence, social and leisure life, self growth and preparing for the future. Adapting of part-time jobs are mastering, enduring, skillfuling work related to work adatation, and enduring ostracizing of old members, stopping and lasting, building bonds related to relationship adaptation. Growth-experiencing through part-time work are formig rational management for money, mental growth, preparing for the futur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uggestion and limitation of the study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청소년들이 아르바이트를 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것들과 그것의 의미를 탐색하고 특히 아르바이트를 통한 성장경험을 도출하는 것이다. 본 조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연구참여에 사전동의한, 평균 2년의 아르바이트 경험을 가지고, 현재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는 경기도 거주 고교생 7명을 대상으로 2017년 3월부터 4월까지 심층면접을 하였다. 연구 결과 확인된 주요영역은 '아르바이트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고 찾아나서기', '아르바이트의 고된 현실에 적응하기', '아르바이트를 통해 성장경험하기'로 나타났다. 아르바이트에 대한 필요성은 소비욕구 충족, 가정경제 보조, 독립성 추구, 사교 및 여가, 자기성장 및 미래준비로 나타났다. 아르바이트 적응은 업무 적응과 관련하여 '업무 익히기', '견디어내기' '능숙해지기'로, '관계'적응과 관련하여 '텃새에 적응하기', '중단하기와 지속하기', '유대감 형성하기'의 과정으로 나타났다. 아르바이트를 통한 성장경험은 돈에 대한 합리적 관리능력 형성, 정신적 성장, 미래를 위한 준비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을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H. W. Marsh, "Employment during high school: Character building or a subversion of academic goals?," Sociology of Education, Vol.64, July. pp.172-189, 2003.
  2. 김정현, "학생 청소년의 아르바이트 경험에 대한 문화기술지," 청소년복지연구, 제11권, 제3호, pp.69-98, 2009.
  3. 이광호, "청소년 아르바이트(일)의 사회적 의미 이해에 관한 연구 -청소년 생활양식의 변화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제3권, 제2호, pp.25-39, 2001.
  4. 유성렬, "청소년 아르바이트의 변화추이 및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패널자료를 중심으로," 제3회 한국청소년패널 학습대회, pp.187-229, 2006.
  5. 한경혜, "청소년의 아르바이트 경험 : 그 과정과 의미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제11권, 제2호, pp.153-180, 2000.
  6. 조한혜정, 2000년 6월 28일 중앙일보,
  7. 이광호, "90년대 이후 청소년 존재혁신과 사회적 대응방식 변화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10권, 제3호, pp.331-349, 2003.
  8. 황나영, 이자형, "전문계 고등학교 여학생 아르바이트의 경험과 의미," 교육인류학연구, 제14권, 제3호, pp.233-260, 2011.
  9. 김예성, 학교청소년의 시간제 노동 경험과 적응에 관한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2006.
  10. 김혜경, 이광호, "아르바이트 청소년의 이중 노동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10호, pp.23-51, 2014.
  11. D. M. Hansen and P. A. Jarvis, "Adolescent employment and psychosocial outcomes: A comparison of two employment contexts," Youth society, Vol.31, No.4, pp.417-436, 2000. https://doi.org/10.1177/0044118X00031004002
  12. 김예성, "청소년 아르바이트 경험과 학교적응의 관계에 관한 연구: 노동-학업 간 갈등을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제14권, 제2호, pp.213-244, 2007.
  13. 박창남, "청소년의 재학 중 노동경험이 고교졸업후 진로에 미치는 영향," 미래청소년학회지, 제7권, 제4호, pp.107-128, 2010.
  14. 김성언, "청소년의 아르바이트와 비행 간 관계의 검토," 경찰학논총, 제7권, 제2호, pp.431-458, 2012.
  15. D. Entwisle, K. L. Alexander, and L. S. Olson, "Early work histories of urban youth,"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65, No.2, pp.279-297, 2000. https://doi.org/10.2307/2657441
  16. H. W. Marsh and S. Kleitman, "Consequences of Employment during high school: Character building, subversion of academic goals, or a threshold?," American Eucational Research Journal, Vol.42, No.2, pp.331-369, 2005.
  17. K. C. Longest and M. J. Shanahan, "Adolescent work intensity and substance use:The mediational and moderational roles of parenting,"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Vol.69, No.3, pp.703-720, 2007.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7.00401.x
  18. K. C. Monahan, J. M. Lee, and L. Steinberg, "Revisiting the impact of part-time on adolescent adjustment: distinguishing between selection and socialization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Child Development, Vol.82, No.1, pp.96-112, 2011. https://doi.org/10.1111/j.1467-8624.2010.01543.x
  19. 유성렬, "청소년 아르바이트 참여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미래청소년학회지, 제7권, 제4호, pp.47-66, 2010.
  20. 황나영, 이자형, 이기혜, '가정배경과 학교적응을 중심으로 한 고등학생의 아르바이트 시간 결정요인 분석," 한국청소년연구, 제23권, 제1호, pp.223-250, 2012.
  21. 정경은, 이혜경, "청소년의 아르바이트 경험과 진로성숙도 관계," 청소년복지연구, 제7권, 제2호, pp.59-79, 2005.
  22. 구효진, 최진선, "아르바이트 경험과 청소년들의 경제의식 및 근로의식간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제13권, 제4호, pp.39-71, 2006.
  23. M. K. Johnson, "Further evidence on adolescent employment in the transition to adulthood," J. Health Soc. Behaw, Vol.41, pp.276-294, 2004.
  24. H. Markus, S. Cross, and E. Wurf, The role of the self-system in competence. In Steinberg, R. J. & J. Kolligan, Jr. (eds.), Competence Considered, pp.205-226, New Haven, CT:Yale University Press, 1990.
  25. Y. Bersen, "Exploitation or fun? The experience of teenage employment in suburban America," Journal of Contemporary Ethnography, Vol.35, pp.319-340, 2006. https://doi.org/10.1177/0891241606286817
  26. Camerson Allen, Greg, J. Bamber, and Nils Timo, "Fast-food work: are Mcjobs satisfying? (job satisfaction in fast-food restaurants," Employee Relation, Vol.28, No.5, pp.402-420, 2006. https://doi.org/10.1108/01425450610683627
  27. 육혜련, "가출청소년의 아르바이트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청소년복지연구, 제16권, 제1호, pp.327-353, 2014.
  28. M. van Manen, Phenomenology & Practice, Volume1(2007), No.1, pp.11-30, sensitivepedagogy, London, Ont.:Althouse Press;Albany, NY:SUNY Press.
  29. Y. S. Lincoln and E. G. Guba, Naturalistic Inquiry, Newbury Park CA; Sage.
  30. 정현주, 학업중단 청소년들이 위탁형 대안학교에서 겪는 경험,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31. J. Barling, K. Rogers, and K. Kelloway, "Some effects of teenager's part-time employment: the quantity and quality of work make the difference,"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16, pp.143-154, 1995. https://doi.org/10.1002/job.4030160205
  32. D. M. Hansen and P. A. Jarvis, "Adolescent employment and psychosocial outcomes: A comparison of two employment contexts," Youth society, Vol.31, No.4, pp.417-436, 2000. https://doi.org/10.1177/0044118X00031004002
  33. 문성호, 청소년의 노동시장 참여와 비행, 한국청소년개발원 연구보고서, 한국청소년개발원, pp.1-101, 2003.
  34. M. A. Park, Relationship of the juvenile working experience and career maturity, The Graduate School Kyonggi University,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