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ifference of Crisis Communication Strategy and PR Team's Role according to Type of Crisis

위기 유형에 따른 위기 대응 커뮤니케이션 전략 및 역할 차이에 대한 연구

  • Received : 2017.09.11
  • Accepted : 2017.10.24
  • Published : 2017.11.28

Abstract

Situational Crisis communication theory (SCCT), one of the major crisis communication theories, suggests that crisis managers have to choose the most effective crisis response strategy in accordance to the crisis typ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whether the crisis response strategies of Korea companies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s of crisis.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on survey to PR managers, the crisis response strategies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s of crisis. And the role and function of PR team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s of crisis, too. This conclusion can contribute to devising SCCT theory and to develop a more Korea relevant theory.

기업의 위기 관리와 관련된 상황적 위기커뮤니케이션 이론에서는 위기 유형별로 서로 다른 전략이 사용되어야 한다고 본다. 기업의 책임이 높은 경우에는 사과, 개선 방안 제시 등 순응적 전략을 사용하고, 기업의 책임이 낮은 경우에는 공격, 부인 등 대응적 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주장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업에서 실제 홍보 업무를 담당하는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실제 위기 유형별로 사용하는 위기관리 전략에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살펴보았다. 홍보 담당자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실제 기업의 위기 유형별로 위기관리 전략에 차이가 존재 하였다. 기업의 책임이 없는 경우에는 부인 및 공격적 대응 전략이 상대적으로 선호되었고, 기업의 책임이 있는 경우에는 사과 및 개선 전략이 상대적으로 우세하였다. 또한 위기 유형별로 기업 내에서 홍보팀의 역할도 차이가 존재했다. 위기 수준이 높을수록 홍보팀의 역할이 증대되기는 하지만, 의사결정 권한은 약해지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론은 한국에서 위기 관리 전략의 실태를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진열, 이재은,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위기 커뮤니케이션 인식 비교," 국가정책연구, 제26권, 제4호, pp.115-140, 2012.
  2. W. T. Coombs and S. J. Holladay, "Reasoned action in crisis communication: An atribution theory-based approach to crisis management," In D. P. Millar & R. L. Heath (Eds.), Responding to crisis: A rhetorical approach to crisis communication (pp.95-115),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004.
  3. W. T. Coombs, Ongoing crisis communication: Planning, managing and responding, Thousands Oaks, CA: Sage. 1999.
  4. W. T. Coombs, "Choosing the right words : The development of guidelines for the selection of the "appropriate" crisis response strategies," Management Communication Quarterly, Vol.8, pp.447-476, 1995. https://doi.org/10.1177/0893318995008004003
  5. W. T. Coombs and S. J. Holladay, "Communication and attributions in a crisis: An experimental study in crisis communication," Journal of Public Relations Research, Vol.8, pp.279-295, 1996 https://doi.org/10.1207/s1532754xjprr0804_04
  6. 성민정, 김윤지, 천정호, 신서하, 안세희, "조직의 위기 이력과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공중의 위기 인식과 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4권, 제2호, pp.331-358, 2012.
  7. 김영욱, 박소훈, 차희원, "한국인의 집단주의 성향과 귀인 성향, 그리고 위기 커뮤니케이션 수용 간의 관련성: 국가위기로서의 IMF 상황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48권, 제4호, pp.271-299, 2004.
  8. 최정옥, "참여정부의 위기커뮤니케이션전략 - 2004-2005년 조선일보, 한겨레 1면에 나타난 위기 분석 -," 한국광고홍보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pp.171-176, 2006.
  9. 전혜미, 이수범, "식품 기업의 위기관리를 위한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 연구," 호텔경영학연구, 제18권, 제4호, pp.245-260, 2009.
  10. 김재휘, 김정애, "위기대처 커뮤니케이션과 "소비자-기업" 간 긍정적 관계가 기업의 신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2권, 제1호, pp.394-423, 2010.
  11. 이현우, 김윤진, "기업의 사전 명성과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위기 발생 후 명성과 위기인식에 미치는 효과 연구," 홍보학연구, 제15권, 제2호, pp.5-39, 2011.
  12. 민지선, 최성락, "위기관리에 대한 홍보전략 사례 연구," 경영관리연구, 제7권, 제2호, pp.75-99, 2014.
  13. 김영욱, "공격과 방어의 수사학: 황우석 사건 위기 커뮤니케이션 분석," 한국언론학보, 제50권, 제4호, pp.5-33, 2006.
  14. 정희정, 이철한, "식품업계의 위기관리 PR 전략에 따른 수용효과," 언론과학연구, 제13권, 제2호, pp.329-657, 2013.
  15. 민지선, 최성락, "위기 유형별 위기 대응 커뮤니케이션 전략 실태 연구 : 기업 사과문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2호, pp.471-482,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5.15.12.471
  16. W. T. Coombs, "Impact of past crises on current crisis communication: Insights from situational crisis communication theory," Journal of Business Communication, Vol.41, No.3, pp.265-289, 2004. https://doi.org/10.1177/0021943604265607
  17. 박기순, 한은경, PR 캠페인, 한울아카데미, 2008.
  18. 이현우, 최윤형, "위기관리에서 상황적 위기 커뮤니케이션 이론의 전개과정과 향후연구를 위한 제언," 홍보학연구, 제18권, 제1호, pp.444-475, 2014.
  19. 함창대, 황성욱, 글렌카메론, "위기관리 PR 연구의 현황에 대한 분석과 고찰," 홍보학연구, 제15권, 제3호, pp.144-175, 2011.
  20. 이소윤, 김희정, "언론보도 프레임을 통한 지방정부의 위기커뮤니케이션 전략분석 -한라산국립공원 관리권 환원조치 논란을 중심으로," 홍보학연구, 제16권, 제4호, pp.51-90, 2012.
  21. Sisco, Hilary Fussell, Erik L. Collins, and Lynn M. Zoch, "Through the looking glass: A decade of Red Cross crisis response and situational crisis communication theory," Public Relations Review, Vol.36, pp.21-27, 2010. https://doi.org/10.1016/j.pubrev.2009.08.018
  22. W. T. Coombs, "Protecting Organisation Reputations During a Crisis: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ituational Crisis Communication Theory," Corporate Reputation Review, Vol.10, No.3, pp.163-176, Palgrave Macmillan Ltd, 2007. https://doi.org/10.1057/palgrave.crr.1550049
  23. M., Regester and J. Larkin, Risk Issues and Crisis Management, David Pillips, 2002, 박현순 옮김, 전략적 이슈관리 PR-위기를 사전에 예방하기, 커뮤니케이션북스, 2004.
  24. 김영욱 외, "한국인의 위기 커뮤니케이션과 체면의 영향력 위기 유형, 위기 커뮤니케이션, 체면 민감성의 상호작용 중심," 홍보학연구, 제18권, 제3호, pp.155-184, 2014.
  25. 이영한 외, "커뮤니케이션 전략과 매체에 따른 공중의 위기 커뮤니케이션 수용 정도," 홍보학연구, 제16권, 제1호, pp.35-77,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