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Dementia Related Attitudes of the Middle Aged and Their Dementia Preventive Behaviors

중장년층의 치매관련 태도와 치매예방행위에 관한 연구

  • 박미정 (호서대학교 간호학과/기초과학연구소) ;
  • 오두남 (호서대학교 간호학과/기초과학연구소) ;
  • 문혜경 (호서대학교 간호학과/기초과학연구소)
  • Received : 2018.02.06
  • Accepted : 2018.04.13
  • Published : 2018.04.28

Abstract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to examine the dementia related attitudes and dementia preventive behaviors in middle aged an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both sides. In this study, between October 1st and 9th, 2017,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middle aged people in their 40s~60s in Korea through online questionnaires. Finally, 220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t-test One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etc.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52.7% of the subjects were interested in prevention of dementia, but only 5.9% of them had experience of receiving education related to dementia. Second, fear of dementia was higher than cancer, cerebrovascular disease, and cardiovascular disease, but confidence in coping with the disease, expectation of the possibility of maintaining the daily life, expectation of the help of the family and the surrounding people, expectation of the national medical and economic support were significantly lower. Third, as the dementia preventive behaviors were implemented, the confidence in overcoming the disease, the expectation of the possibility of maintaining the daily life, the expectation of the help of the family and the surrounding people, the expectation of the medical and economic support of the country increased and the burden of the treatment cost was lowered. As a result, it is thought that this personal and social effort will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by reducing physical, psychological, social and economic problems caused by dementia.

본 연구는 중장년층의 치매관련 태도 및 치매예방행위의 정도, 그리고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7년 10월 1일부터 9일까지 국내의 40~60대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 220부의 설문지가 수거되었다. 자료는 t-test, One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등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 중 52.7%가 치매예방에 대한 관심이 높았으나 단지 5.9%만이 치매와 관련된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었다. 둘째, 암, 뇌혈관질환, 심혈관질환에 비해 치매 발병에 대한 두려움은 높았으나, 질병극복에 대한 자신감, 일상생활 유지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 가족 및 주변인의 도움에 대한 기대감, 국가의 의료 및 경제적 지원에 대한 기대감은 유의하게 낮았다. 셋째, 치매예방행위를 실천할수록 질병극복에 대한 자신감, 일상생활 유지가능성에 대한 기대감, 가족 및 주변인의 도움에 대한 기대감, 국가의 의료 및 경제적 지원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으며, 치료비의 부담감이 낮아졌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노인질환으로만 생각하였던 치매에 대해 중장년층의 인식 변화와 조기예방을 위한 사회적 제도 마련 및 교육, 홍보 활동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개인적, 사회적 노력은 치매로 인한 신체적, 심리적, 사회 경제적인 문제를 감소시켜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것이라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kostat.go.kr
  2. World Alzheimer's Report, World Alzheimer's Report 2015, London, Alzheimer's Disease International, pp.22-23, 2015.
  3. A. E. Sanders, J. Nininger, J. Absher, A. Bennett, S. Shugarman, and R. Roca, "Quality improvement in neurology: Dementia management quality measurement set update,"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Vol.174, No.5, pp.493-498, 2017. https://doi.org/10.1176/appi.ajp.2017.17401
  4. 홍정민, "치매와 경도인지장애에 대한 고찰,"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0권, 제2호, pp.25-30, 2012. https://doi.org/10.20924/CCTHBL.2012.10.2.025
  5. W. Liu, E. Galik, M. Boltz, E. S. Nahm, N. Lerner, and B. Resnick, "Factors associated with eating performance for long-term care residents with moderate-to-severe cognitive impairment,"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72, No.2, pp.348-360, 2016. https://doi.org/10.1111/jan.12846
  6.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 AR_MENU_ID=04&MENU_ID=0403&CONT_S EQ=286138
  7. 박종한, "치매의 원인과 치료," 대한정신약물학회지, 제3권, 제1호, pp.33-42, 1992.
  8. 김명국, 유봉구, "대혈관 혈관성치매와 소혈관 혈관성치매의 행동심리적 증상의 차이,"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제13권, 제4호, pp.196-202, 2012.
  9. R. Blackburn and T. Bradshaw, "Music therapy for service users with dementia: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Vol.21, No.10, pp.879-888, 2014. https://doi.org/10.1111/jpm.12165
  10. 조연진, 고범석, "치매 환자의 인지재활 음악치료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한국음악치료학회지, 제19권, 제1호, pp.117-149, 2017.
  11. 조범훈, 이동영, "치매가족의 치매대상자 재가돌봄의사에 대한 영향요인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2호, pp.320-331,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2.320
  12. http://www.nhis.or.kr/bbs7/boards/B0163/15111?bardKey=36&boardName=B0163&viewType=g eneric&rows=10&sort=sequence&order=desc&p ageNumber=1&messageCategoryKey=&status= &period=&starPointdt=&enddt=&queryField=&q uery=
  13. http://www.nabo.go.kr/Sub/01Report/01_01_Boa rd.jsp?funcSUB=view&arg_id=5301&bid=19
  14. https://www.alz.co.uk/research/world-report-2014
  15. 이지희, 이은희, "치매예방 증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치매 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비교정부학보, 제20권, 제3호, pp.89-117, 2016.
  16. 이미라, "간호사의 치매케어 관련 지식, 치매에 대한 태도 및 치매간호 접근법과의 관계,"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4권, 제12호, pp.357-367, 2016. https://doi.org/10.14400/JDC.2016.14.12.357
  17. 추금량, 양진향, "인병 건강검진 영향 요인: 부산시 거주 중년기 성인을 중심으로," 성인간호학회지, 제18권, 제2호, pp.261-271, 2006.
  18. 김동화, 엄기욱, "치매특별등급제도의 시행 이후, 치매노인 가족의 케어경험에 관한 연구: 케어의 어려움과 필요한 사회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지, 제70권, pp.349-371, 2015.
  19. 김혜진, 정덕유, "지역사회 거주노인의 인지장애, 치매에 대한 지식 및 태도," 한국노년학회지, 제35 권, 제3호, pp.731-743, 2015.
  20. 성미라, 이명선, 장혜영, 이동영, "치매노인 부양 가족들의 극복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대한질적연구학회지, 제11권, p.116, 2012.
  21. 황은혜, 김보경, 김해린, "청소년의 치매에 대한 지식과 태도," 재활간호학회지, 제16권, 제2호, pp.133-140, 2013. https://doi.org/10.7587/kjrehn.2013.133
  22. 문정희, 조인주, "중년층의 치매에 대한 지식과 태도," 인문사회과학연구, 제18권, 제1호, pp.407-433, 2017.
  23. M. Tsolaki, S. Paraskevi, N. Degleris, and S. Karamavrou, "Attitudes and perceptions regarding Alzheimer's disease in Greece," American 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 Other Dementias, Vol.24, No.1, pp.21-26, 2009. https://doi.org/10.1177/1533317508325990
  24. L. Ayalon and P. A. Arean, "Knowledge of Alzheimer's disease in four ethnic groups of older adults,"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Vol.19, No.1, pp.51-57, 2004. https://doi.org/10.1002/gps.1037
  25. 이영주, 김주한, "치매의 임상 양상," 한양의대학술지, 제21권, 제1호, pp.17-23, 2001.
  26. 강찬미, 김정순, 정정희, "치매노인 주부양자의 돌봄수준의 영향요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7권, 제3호, pp.193-201, 2016. https://doi.org/10.12799/jkachn.2016.27.3.193
  27. 선우홍미, 지역사회 노인의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예방행위,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28. T. Reema, R. Adepu, and T. Sabin, "Impact of clinical pharmacist intervention on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kap) of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y & Pharmaceutical Science, Vol.2, No.4, pp.54-57, 2010.
  29. http://www.kostat.go.kr/portal/korea/kor_nw/ 2/ 1/index.board?bmode=read&aSeq=356345
  30. F. Faul, E. Erdfelder, A. G. Lang, and A. Buchner,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39, pp.175-191, 2007. https://doi.org/10.3758/BF03193146
  31. 정영호, 고숙자, "치매 위험요인 기여도 분석과 치매 관리 방안 모색," 보건복지 ISSUE & FOCUS, 제338호, pp.1-8, 2017.
  32. 이윤경,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현황 및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제156권, pp.23-30, 2009.
  33.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 jsp?PAR_MENU_ID=03&MENU_ID=0319&CON T_ SEQ=330876&page=1
  34. 이윤희, 중장년층의 치매에 대한 인식정도와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35. 김현희, 중장년층의 치매지식과 태도 및 건강증진 행위,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36. 이영휘, 우선미, 김옥란, 이수연, 임혜빈, "저소득층 중년여성의 치매 지식, 태도, 자기효능과 예방 행위와의 관계연구," 성인간호학회지, 제21권, 제6호, pp.617-627,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