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한부모가족 담론의 균열과 변형된 정상가족 신화로의 포섭 -KBS1 다큐 공감 <아이가 행복입니다>의 서사분석을 중심으로-

Disintegration of Discourse in Single-parent Family and its Persuasion in the Modified Myth of Normal Family -Focusing on Narrative Analysis of KBS Documentary 'Gong-gam' -

  • 김환희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
  • 고병진 (이화여자대학교 여성학과)
  • 투고 : 2018.06.01
  • 심사 : 2018.07.31
  • 발행 : 2018.08.28

초록

이 연구는 한부모가족 담론이 TV 다큐멘터리에서 재현되는 양상을 확인한다. 정상가족 신화가 한계를 드러내는 현 상황에서, 다양한 분석대상으로 한부모가족 연구를 확장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싱글대디와 미혼모 이야기를 동시에 다룬 KBS1의 다큐 공감 <아이가 행복입니다> (2015)의 서사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싱글대디와 미혼모는 공통적으로 '결핍된 상황'을 극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싱글대디는 어머니의 역할까지 모두 수행하는 반면, 미혼모는 어머니의 역할조차 완수하지 못하는 비대칭적 묘사가 두드러졌다. 또한, 다큐멘터리의 서사는 결손가족과 정상가족을 대비시키고 고정된 성역할을 재생산하며, 해당 사안을 개인의 영역으로 소급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묘사는 한부모가족을 변형된 정상가족 신화로 편입시키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결국, 새로운 담론의 부재에서 오는 근본적인 문제인바, 중요한 것은 충돌하는 가족 담론을 재현하고 확장하는 미디어의 역할일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spect of the single-parent family discourse in the TV documentary.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normal family myth shows limitations in reality,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ingle-parent family research based on various analysis subjects.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nducted a narrative analysis of KBS1's documentary 'Gong-gam' (2015), which deals with single daddy and single mom's stories at the same time. Single daddy and single mom are commonly described as overcoming the 'deprived situation'. However, asymmetric description was outstanding in that single daddy is depicted as performing the role of mother as well whereas the single mom appears to be unable to perform even the mother's role. Also, the narrative in the documentary compares broken family with normal family and reproduces the fixed sex role, which considers the problem an individual area. Such description can be seen as a process of persuading them into a "modified normal family myth". However, as the fundamental problem is the absence of new discourse, the role of the media to reproduce and expand the conflicting family discourses will be important.

키워드

참고문헌

  1.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 Detail.do?idx_cd=1578, 2018.5.7.
  2. 이원형, "'싱글맘들의 유쾌한 질주'를 위하여," 여/성이론, 제19호, pp.300-309, 2008.
  3. 유현석, "다큐멘터리를 이해하는 방법: 진실과 리얼리티," 사회과학연구, 제15권, 제1호, pp.83-101, 2009.
  4. J. Fiske, Television culture(2nd ed.), London; New York : Routledge, 2011, 곽한주 역, 텔레비전문화, 서울: 컬처룩, 2017.
  5. B. Nichols, Introduction to Documentary, Bloomington: Indiana University Press, 2001, 이선화 역, 다큐멘터리 입문, 파주: 한울, 2005.
  6. 이박혜경, "여성주의 시각에서 본 결혼과 가족," 한국여성연구소 지음, 새 여성학강의, 서울: 동녘, 1999.
  7. 이재경, 가족의 이름으로: 한국 근대가족과 페미니즘, 서울: 또하나의문화, 2003.
  8. K. Gerson, The Unfinished Revolution: Coming of Age in a New Era of Gender, Work, and Famil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9.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576, 2018.5.7.
  10. http://index.go.kr/potal/visual/VisualDtlPageDetail.do?idx_cd=3027, 2018.5.7.
  11. 김혜경, "가족, 허물기와 다시 쌓기," 한국여성연구소 지음, 새 여성학 강의: 한국사회, 여성, 젠더, 파주: 동녘, 2005.
  12. 이재경, 가족의 이름으로: 한국 근대가족과 페미니즘, 서울: 또하나의문화, 2003.
  13. 이박혜경, "여성주의 시각에서 본 결혼과 가족," 한국여성연구소 지음, 새 여성학강의, 서울: 동녘, 1999.
  14. 서정애, "십대미혼모의 임신경험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제20권, 제1호, pp.281-208, 2009.
  15. 김혜영, "십대 청소년 미혼모의 출산 및 양육경험-주체와 타자의 경계에서," 한국여성학, 제26권, 제4호, pp.101-131, 2010.
  16. 권희정, "입양실천에서 나타나는 정상가족 담론과 미혼모 자녀의 '고아' 만들기," 페미니즘 연구, 제15권, 제1호, pp.51-98, 2015.
  17. 신필식, "1970년대 신문기사를 통해 본 한국 미혼모 보호사업과 미혼모의 사회적 재현 변화 연구," 한국여성학, 제33권, 제4호, pp.323-357, 2017.
  18. 문은영, "서울시 한부모가족 실태조사를 통해 본 부자가족의 현황과 문제점," 공공사회연구, 제1권, 제2호, pp.135-174, 2011.
  19. 이주연, "드러난 웃음 속 해결되지 않은 문제들-<과속 스캔들>에 대한 독해," 씨네포럼, 제11호, pp.167-183, 2010.
  20. 김환희, 이소윤, 김훈순, "TV드라마와 젠더담론의 균열과 포섭: 이혼녀와 미혼모의 재현," 미디어, 젠더&문화, 제30권, 제3호, pp.5-40, 2015.
  21. 김경희, "뉴스 구성 관행과 고정관념의 재생산-텔레비전 뉴스의 미혼모 보도 사례 분석," 미디어, 젠더&문화, 제30권, 제1호, pp.5-45, 2015.
  22. 최현주, "텔레비전 드라마에 묘사된 성역할의 전도(reverse)와 그 함의: 남성 전업주부 드라마 <불량주부>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22권, 제4호, pp.401-438, 2008.
  23. 김선영, "한국 가족의 현실: 생애주기에 따른 가족이슈-TV 드라마 <엄마가 뿔났다>가 선택한 가족 이슈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35권, 제2호, pp.161-192, 2009.
  24. 김지영, 김동규, "TV 드라마가 재현하는 '혼외관계 '-전통적 가족주의와 현대적 욕망의 충돌- 1990년대 이후 지상파 TV 드라마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이론, 제13권, 제1호, pp.44-93, 2017.
  25. 이은실, TV 휴먼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의 특성에 관한 연구: KBS2 <인간극장>을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26. S. Chatman, Story and Discourse: Narrative structure in fiction and film, Ithaca, NY: Cornell University Press, 1978, 김경수 역, 영화와 소설의 서사구조, 서울: 믿음사, 1990.
  27. T. Todorov, The poetics of prose, R. Howard Trans.,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1977.
  28. 박정은, 이훈, "캠핑은 어떤 가족을 위한 것인가-캠핑에 관한 미디어 담론분석을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제39권, 제4호, pp.95-112,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