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rovement Plan of the Relevant Law to Protect Professional Support and Rights of Artists

예술인의 직업적 지원과 권리보호를 위한 관련법의 개선방안

  • Received : 2018.06.26
  • Accepted : 2018.07.04
  • Published : 2018.08.28

Abstract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Labor Relations Act, the Social Insurance Act, and the Artists Welfare Act for occupational status and rights of artists, the character of workers, joining exception in the Employment Insurance Act, and applying exception i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ct and the National Pensions Act should be recognized. For this, the scope of workers should be expanded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court and legislation of the Labor Relations Act, and supporting range of social insurance should be expanded by applying exception i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ct and joining exception in the Employment Insurance Act for artists who are currently excluded. Artists' compensation insurance that is an optional entry system and paid entirely by artists need to hav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through insurance support. The Artists Welfare Act also needs to be revised to strengthen legal protection for artists and it is important to secure finances for artists' welfare projects. The standard contract should be mandatory and a career certification system for artists should be established so that artists who need welfare benefits can not be omitted.

예술인의 직업적 지위와 권리보호를 위한 법 제도인 노동관계법, 사회보험법, 예술인복지법의 개선을 통하여 근로자성 인정, 고용보험법 가입특례, 국민건강보험법과 국민연금법 적용특례 등이 인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노동관계법에 대한 법원의 해석이나 입법에 의해 근로자 범위를 확대해야 하고, 현재 제외되어 있는 예술인의 고용보험법 가입 특례와 국민건강보험법 적용 특례 등 사회보험의 지원범위도 넓혀나가야 한다. 보험료 전액 본인부담에 임의가입 방식인 예술인 산재보험제도도 보험료 지원을 통해 제도의 실효성을 가져가야 한다. 예술인복지법 역시 예술인에 대한 법적 보호를 강화하는 등의 내용으로 개정이 필요하다. 또한 예술인복지사업에 대한 재원의 확보도 중요하다. 그리고 표준계약서를 의무화하고 예술인의 경력증명시스템을 구축하여 예술 활동기준을 적용해 복지수혜가 필요한 예술인이 누락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문화체육관광부와 예술인복지재단 주최, 예술인 복지정책 공청회 자료, 2018.4.2.
  2. 최문순, "한국 인디음악의 미래는 있는가," 2017. 1. 19.
  3. 김휘정, "예술인 복지법 시행의 의미와 향후과제," 이슈와 논점, 제11호, 제1권, 2013(2).
  4. 황준욱 등, "프리랜서 고용관계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p.168, 2009.
  5. 윤애림, "ILO 고용관계 권고와 한국의 특수고용 입법논의," 노동법학, 제23호, p.157, 2006(12).
  6. 대법원 1994. 12. 9. 선고 94다22859 판결.
  7. 프랑스 노동법전 L. 7121-3조. L. 7121-4조.
  8.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문화예술인실태조사, 2009.
  9. 서갑원의원 대표발의안, 정병국의원 대표발의안, 전병헌의원 대표발의안, 최종원의원 대표발의안.
  10. 장석춘의원 대표발의, '16.9.28, 의안번호 제2513호 및 제2515호, 고용보험법 일부개정법률안 및 고용보험 및 산업재해보상보험의 보험료징수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
  11. 고용노동부, 2016.
  12.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예술인 복지사업에 대한 인식조사," 20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