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Married Women's Experiences in Family Constellation against Induced Abortion

기혼 여성의 임신중절에 대한 가족세우기 경험 연구

  • 최금옥 (선문대학교 통합의학과 가족상담) ;
  • 오규영 (선문대학교 통합의학과 가족상담)
  • Received : 2018.07.19
  • Accepted : 2018.09.13
  • Published : 2018.09.28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married women who had had an abortions experience a change through Family Constellation. The consequent changes will occur in the perception of an abortion experience and in the relation between married women themselves and their family.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9 married women aged 40~60 who have experienced an abortion, and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over 3 periods which were before, right after and one month after the Family Constellation experience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The chief methodology of this study is based on the one by Colaizzi's phenomenological research, and by using the methodology to analyze the data 15 theme collections and 3 categories were deduct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experience of abortion was having negative influence on the whole spectrum of the life of married women who experienced an abortion even though they did not consciously recall the relevant experiences. In the married women's Family Constellation, the agent visualizes the restrained relation which is hidden in unconsciousness and thereby offers an opportunity for married women to untie "knot". Moreover through this opportunity, married women are able to have new perception of their abortion experience and the relation between their family. Furthermore, not only will they be able to recover the relationship with their family, but also emotional stability.

본 연구의 목적은 임신 중절을 경험한 기혼 여성이 가족세우기를 통해 겪는 변화를 알아보는 데 있다. 결과적으로 그 변화는 임신 중절 경험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기혼 여성 본인과 가족 관계에서의 변화가 될 것이다. 본 연구 참여자들은 임신중절을 경험한 40~60 대 기혼 여성 9명이었으며, 자료 수집은 개별적인 심층면담을 통하여 가족세우기 경험 전, 직후, 한 달 후로 3회기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Colazzi의 현상학적 방법론을 바탕으로 이루어졌으며, 분석 결과 15개의 주제 모음과 3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임신중절을 경험한 기혼여성들은 해당 경험을 의식적으로 떠올리지 않았음에도 그 경험이 삶 전반에 걸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결과로 도출할 수 있었다. 기혼 여성이 경험하는 가족세우기는 무의식에 감춰진 긴장관계가 대리인을 통해 가시화되면서, 얽힘을 풀 기회를 제공한다. 그리고 그러한 기회를 통해 기혼 여성은 궁극적으로 임신중절 경험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가족관계의 변화를 겪게 되며, 자신과 가족관계에서 회복력을 키울 뿐 아니라 정서적 안정감을 가지게 되는 경험을 하게 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일환, "낙태죄 폐지 사회적 논의 필요," 연합뉴스 TV, 2017.11.26. http://yonhapnewstv.co.kr/MYH20171126, 2018. 4.28.(검색일)
  2. 이봉숙, 기혼여성의 인공유산과 만성질환 관련요인,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3. 양현아, "낙태에 관한 다초점 정책의 요청: 생명권대(對) 자기결정권의 대립을 넘어," 한국여성학, 제26권, 제4호, pp.63-100, 2010.
  4. 김동식, 김영택, 이수연, 피임과 낙태정책에 대한 쟁점과 과제: 여성의 재생산권과 건강권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4.
  5. 이지연, "처벌과 배제:낙태, 한국의 여성과 국가,"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논문집, 통권 제6호, pp.1015-1028, 2012.
  6. 최광현, 가족세우기 치료 트라우마에 대한 통찰과 해결, 학지사, 2014.
  7. 오규영 역, 가족과 관계의 얽힘을 풀어내는 가족 세우기, 학지사, 2016.
  8. B. Hellinger and G. ten Hovel, Anerkennen, was ist- Gespracbe uber Verstrickung und LOsung, Zusammen mit Gabriele ten Hovel, Munchen :Kosel, 1997.
  9. A. Mahr, Die Weisbeit kommt nicbt zu den Faule,. in: Weber, G. Praxi des Familien- Stellens. Heidelberg, Carl-Auer-Systeme Verlag, 1998.
  10. 최광현, "부모상실의 트라우마에 대한 트라우마 가족치료 사례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 제17권, 제2호, pp.23-41, 2009.
  11. B. Hellinger, Ordnungen der Liebe, Heidelberg, Carl-Auer-Systeme Verlag, 1994.
  12. 박선영, 김서미진 역, 삶의 얽힘을 푸는 가족세우기, 도서출판 동연, 2011.
  13. 이미경, "국가의 출산 정책-가족계획 정책을 중심으로," 여성학논집, 제6권, pp.49-78, 1989.
  14. 이미정, 김영택, 김동식, 낙태행위의 사회경제적 사유 분석과 관련 정책 개선 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0.
  15. 신현호, "낙태죄에 관한 문제," 저스티스, 제121호, pp.370-413, 2010.
  16. 김해중, 인공임신중절실태조사 및 종합대책 연구, 보건복지부, 고려대학교, 2005.
  17. 손명세, 강명신, 장석일, 김해중, 박길준, 남정모, 강대용, 정영철, 박지용, 이일학, 김윤남, 선준구, 서정민, 염지민, 권오탁, 이유리, 이민지, 안현옥, 권오경, 김은경, 김효주, 유효선, 이영주, 이미진, 이성우, 이연호, 이동현, 김한나, 김은미, 전국 인공임신중절 변동 실태조사, 연세대학교, 보건복지부, 2011.
  18. 김분한, 김금자, 박인숙, 이금재, 김진경, 홍정주, 이미향, 김영희, 유인영, 이회영,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비교고찰: Giorgi, Colaizzi, Van Kaam방법을 중심으로," 대한간호학회지, 제29권, 제6호, pp.1208-1220, 1999. https://doi.org/10.4040/jkan.1999.29.6.1208
  19. Y. S. Lincoln and E. G. Guba, Effective Evaluation, 4th Ed., Jossy-bass Publication, 1985.
  20. 강명선, 양성은, "여성의 낙태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9권, 제4호, pp.1-18, 2011.
  21. 홍지수, 한국사회 낙태담론에 대한 여성주의적 분석: 재생산권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