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hange of Job Wage System in Public Sector

공기업 직무급여제도 전환 연구

  • Received : 2018.08.14
  • Accepted : 2018.08.27
  • Published : 2018.09.28

Abstract

Job-wage is "a compensation system in which the basic pay is determined by the value of the task regardless of the nature of the person performing the task." The retirement age of workers in 2016 is trying to improve the wage system due to the enactment of the 60-year-old law. The performance salary system introduced in the previous administration try to switch the government of Moon Jae-in. In other words, the introduction of performance salary from the Seniority based Wage and the shift to the job payment system are taking place. This study analyzed case agencies in connection with the transition of job wage to public agencies. In other words, based on the awareness of the employees involved to the contents of the transition of the performance annual salary system to the job wage system analyze empirically. This study finds that there was strong negative perception of the performance-based pay system as a whole and the shift to a job wage system was also highly opposing. It was revealed that efforts to improve the problem are needed to improve performance annual salary system, to reverse the negative perception of job wage, to prepare fair evaluation criteria for performance and job duty and to persuade employees who oppose job change.

직무급은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의 특징에 관계없이 직무의 가치에 따라 기본급이 결정되는 보상체계"이다. 2016년 근로자들의 정년이 60세 법제화의 영향으로 임금체계 개선을 시도하고 있다. 문재인정부에서는 전 정부에서 도입된 성과연봉제를 직무급제도로의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즉, 연공급여에서 성과연봉도입, 그리고 직무급제도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공공 기관들의 직무급여의 전환과 관련하여 사례기관을 조사 분석하였다. 즉, 성과연봉제 관련 직원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성과연봉제의 직무급제도로의 전환 관련 내용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성과연봉제에 전반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강한 점과 직무급제도로의 전환 또한 반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의 개선을 위해서는 성과연봉제와 직무급의 부정적 인식전환을 위한 노력, 성과 및 직무에 대한 공정한 평가기준 마련 등 관련 문제 개선, 직무급전환에 반대하는 직원 설득 등의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유규창, "한국기업의 임금체계: 직무급이 대안인가," 노동리뷰, 2014 2월호, pp.37-54, 2014a.
  2. 박양규, 이동임, 김종인, 임알비나, "직무중심임금 시스템 채택 기업의 운영 효율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경상논총, 제26권, 제4호, pp.43-55, 2008.
  3. S. L. McShane, "Two tests of direct gender bias in job evaluation ratings,"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Vol.63, pp.129-140, 1990. https://doi.org/10.1111/j.2044-8325.1990.tb00515.x
  4. J. F. Mee, Personal handbook, NY: Ronald Press, 1968.
  5. 정성휘, "국내 법률비서의 직무분석 모형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비서학논총, 제14권, 제2호, pp.5-27, 2005.
  6. R. L. Mathis and J. H. Jackson, Human resource management(10th ed.), Mason, OH: South-Western/Thomson, 2001.
  7. G. T. Milkovich and J. M. Newman, Compensation management(8th ed.), New York: McGraw-Hill. 2005.
  8. L. R. Gomez-Mejia, D. B. Balkin, and R. L. Cardy, Managing human resources, Upper Saddle River: Rentice-Hall. 2001.
  9. 박희준, "사무직군 연공급과 직무급 비교: 직무급은 연공급의 대안인가,"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41집, 제1권, 2017.
  10. 박준성, "기업의 직무급제 도입과 활용방안," 임금연구(봄호), pp.102-117, 2007a.
  11. 박준성, "직무급체계의 설계와 운영," 임금연구 (여름호), pp.4-20, 2007b.
  12. 박호환, "직무급 임금제도의 활용 및 운영사례," 임금연구(여름호), pp.122-136, 2007.
  13. 유규창, "기본급 임금체계 대안으로서의 직무급: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 임금연구, 제22집, 제2권, pp.4-17, 2014b.
  14. 박희준, "사무직군 연공급과 직무급 비교: 직무급은 연공급의 대안인가,"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41집, 제1권, 2017.
  15. 이창길, "공공기관의 직무급제도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현대사회와 행정, 제19권, 제2호, 2009.
  16. 김혜진, "공공부문 비정규직 노동조합의 임금체계 개편활동과 직무급제에 대한 인식," 산업노동연구, 제22집, 제3권, pp.1-46, 2016.